산불적지에서 숲 가꾸기 실행 유무와 산불위험성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Fire Danger Rating on Forest Characteristics of Thinning Area and Non-thinning Area on Forest Fire Burnt Area

  • 이시영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 이명욱 (한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염찬호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 권춘근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 이해평 (강원대학교 소방방재학부 소방방재공학)
  • 발행 : 2009.08.31

초록

본 연구는 산불적지에서 숲 가꾸기 실행 유무와 산불위험성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2007년에 산불이 발생했던 강원도 강릉시, 삼척시 및 경북 울진지역에 총18개소의 세부조사구를 선정하여 숲 가꾸기 실행 유무, 피해수종, 산불진행방향, DBH, 총수고, 지하고, 임목고사여부, 편면연소율, 수관피해율, 임목밀도, 지하고, 숲 가꾸기 산물의 방치유무, 조사지의 위치(GPS), 해발고도, 조사사면의 방위, 산지경사, 지형을 각각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숲 가꾸기 실행지의 편면연소율은 24.7%인 반면, 미실행지의 편면연소율은 60.2%로 숲 가꾸기 미실행지가 실행지에 비해 약 35.5% 높게 나타났고, 수종별로는 소나무가 참나무류 보다 피해가 크게 나타났다. 임목고사율의 경우도 숲 가꾸기 미실행지가 실행지에 비해 약 41.4%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숲 가꾸기 실행지의 산물들이 근접해 있는 임목이 그렇지 않은 임목에 비하여 10${\sim}$20%의 편면연소 피해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임목주변에 숲 가꾸기 산물이 있을 경우, 독립적으로 있는 임목보다 연소물량이 많아 산불강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적재된 간벌목이 산림 내에 많이 쌓여있는 경우에는 이로 인하여 재발화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숲 가꾸기 산물을 임외로 걷어 내리거나 다른 용도로의 활용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18 plots were selected for particular investigation on Gangneung area and Samcheok area and Uljin area, where forest fire was occurred after thinning in 2007. After selection, a relationship between a damage of forest fire and thinning were compared and analyzed. Many factor such as a damaged species, a thinning or non-thinning, a direction of forest fire head, DBH, a height of tree, a mortality of tree, a leeward scorching ratio, a crown damage ratio, a forest tree standing crop density, a crown base height, a leaving of thinning slash, a location of plot (GPS), elevation, an aspect of slope, an angle of slope, and a topography were measured. Therefore, we analyzed a relationship with forest fire. In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t was founded that the leeward scorching ratio was 24.7% on thinning area whereas 60.2% on non-thinning area. Subsequently, leeward scorching ratio on thinning area was increased by about 35.5% more than on non-thinning area. In the result of analysis about tree species, a forest of pine tree was more damaged than forest of oak tree. The mortality of tree was increased by about 41.4% on non-thinning area. When stands were close to thinning slashes, these were more damaged by 10${\sim}$20% than other stands for increasing of amount of a combustion material. Especially, as potential of re-ignition increased for more cumulated thinning slash, it will be more important to require a method for a periodical removing or practical utilization of slash.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시영, 이해평, '한국의 산불발생 실태분석', 한국소방학회지, Vol.20, No.2, pp.54-63(2006)
  2. 채희문, '산림미세연료에 의한 초기 산불확산에 관한연구', 박사학위논문, pp.1-2(2003)
  3. 강전유, 김상욱, 김영채, 김종갑, 김준선, 박승찬, 박용구, 이수욱, 이시영, 이영신, 이찬호, 이현호, 정상배, 현정호, '삼림환경보전학', 향문사, pp.49-50 (1997)
  4. 산림청, 임업통계연보, 제35호, pp.204-223(2004)
  5. 국립산림과학원, 지속가능한 산림자원관리 표준매뉴얼, pp.17-32(2005)
  6. 산림청, '제5차 산림 기본계획', http://www.forest.go.kr (2008)
  7. YTN뉴스, '제5차 산림 기본계획', http://www.ytn.co.kr (2008)
  8. Josep D. Lowe, 'Wildland Firefighting Practics', Delmar, pp.14-45(2001)
  9. 오정수, '숲 가꾸기를 통한 산불에 강한 숲 만들기 기술', 산불에 강한 숲 만들기 기술 심포지엄, 한국임업신문.산림청, pp.29-73(2005)
  10. 산림청, '숲 가꾸기 5개년 추진계획', pp.4-5(2003)
  11. News Rural Fire Service, 'Standards for Asset Protection Zones', pp.1-11(2006)
  12. News Rural Fire Service, 'Standards for Pile Burning', pp.1-4(2006)
  13. News Rural Fire Service, 'Application Instructions for a Bush Fire Hazards Reduction Certificate', pp.1-11(2006)
  14. 박영주, 이시영, 신영주, 김수영, 김영탁, 이해평, '소나무와 떡갈나무의 주요 부위별 착화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논문발표 논문집, pp.303-307(2008)
  15. 이시영, 이해평, 박흥석, 산불화재공학, 동화기술, p.33(2007)
  16. 산림청, 숲 가꾸기 산물이 산림재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용역연구보고서, pp.91-92(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