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Bocheonga" of Joseon and China

조선과 중국의 "보천가" 연구

  • Published : 2009.09.15

Abstract

Korean historical constellations and their names are similar to Chinese ones. Although Korean historical astronomy is influenced by China, they have distinct differences in each shape and names of the constellations. We, therefore, compare Bocheonga (步天歌) of the early Joseon dynasty (朝鮮, $1392{\sim}1910$) preserved in Gyujanggark (奎章閣) with that of the Sui dynasty ((隋代, $581{\sim}618$ of China written by Wang Ximing(王希明) in terms of star charts and descriptions of the contents. We find out that the two books are partly different all over the books. First, there are definite differences in preface, three area of constellations (三垣) in the heaven, and the description of the Milky Way. Second, some of constellations show different in shape, the number of stars. Especially connecting pattern in some constellations shows different in each other. Third, Joseon Bocheonga describes their colors for some stars. These mean that Joseon has a unique tradition of star maps unlike Chinese one. We also summarize the differences an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Joseon star charts compared with Chinese ones.

한국의 전통 천문학은 과거 중국의 영향을 받아 여러 면에서 중국과 비슷하지만 별자리 모양이나 별이름 등에서 중국과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규장각에 보관중인 조선 초기의 보천가와 중국 수대(隋代, $581{\sim}618$) 왕희명(王希明)이 저술한 보친가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두 보천가에 그려진 천문도 별자리 모양과 연결선 그리고 본문 설명에 대하여 각각 비교하였다. 두 책을 비교 분석한 결과 별자리 설명의 여러 부분에서 전반적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두 서적의 구성에서 서문과 삼원 별자리, 은하수 설명은 확연한 차이를 보여 준다. 둘째, 보천가에 그려진 전반적 별자리 그림은 비슷하지만 별자리의 연결선과 별의 개수가 여러 곳에서 다르게 그려져 있다. 셋째, 조선의 보천가는 중국 왕희명 보천가와 달리 별자리 설명에서 별의 색깔을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두 나라 보천가의 차이점과 조선 보친가의 고유한 특징을 찾아 논문에 정리하였다. 조선 보천가와 중국 보천가의 여러 차이점은 우리 고유의 천문지식과 체계가 고려시대 이전부터 꾸준히 전해져 왔음을 짐작케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일권 2006, 인류의 문화유산: 고구려 고분벽화 (서울: 연합뉴스), p.36
  2. 나일성 1996, 동방학지, 93, 41
  3. 박경규 1995,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4. 박창범 1998, 한국과학사학회지, 20, 113
  5. 박창범, 양홍진 2009, 한국과학사학회지, 31, 1
  6. 송두종 2006, 한국의 고천문학 및 천상열차분야지도 워크숍 논문집, 편집자: 이은석, 양홍진 (대전: 한국천문연구원), p.25
  7. 이용복 2007, 천상열차분야지도와 전통 천문도: 제1회 소남천문학사연구소 심포지엄 (서울: 소남천문학사연구소), p.31
  8. 이용복 2008, 黃帝內經에 나타난 天文 現象과 별자리, 특별 세미나 (반룡 고천문연구회)
  9. 진준규 1978, 中國天文學史(上)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p.204
  10. 橋本敬造 1998, 東アジアの古代文化, 97, 13
  11. 石雲里 1998, 中國科技史料, 19, 69
  12. 任繼愈 1993, 中國科學技術典籍通彙, 任繼愈 主编(河南: 河南敎育出版社)
  13. 藏廷鍻 1993, 天象陰陽匯錄 (上海: 上海文藝出版社)
  14. 周曉睦 2004, 步天歌硏究 (北京: 中國書店)

Cited by

  1. TRADITIONAL STAR CHARTS IN CHINA AND KOREA vol.28, pp.3, 2013, https://doi.org/10.5303/PKAS.2013.28.3.037
  2. A STUDY OF THE CONSTELLATION MAPS IN MT. TAEBAEK'S HARVEST CEREMONY FLAG vol.25, pp.4, 2010, https://doi.org/10.5303/PKAS.2010.25.4.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