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인단오제의 고형(古形)에 관한 탐색 - '여원무'와 '호장굿'을 중심으로 -

Search for an archaic form of Jain-Danoje - Focucing on 'Yeowonmoo' and 'Hojanggut' -

  • 투고 : 2009.06.28
  • 심사 : 2009.07.17
  • 발행 : 2009.08.31

초록

근대 이후 자인단오제의 노정은, 1960년대 이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와 중요무형문화재 지정을 배경으로 복원 재현되었던 대부분의 연행민속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들 연행 민속은 대개 전승의 단절과 재현의 과정에서 탈맥락화(Decontextualization)했고 새로운 전승의 길로 접어들면서 재맥락화(Recontextualization)하고 있다. 현재의 자인단오제는 1970년 문화재지정조사 당시의 모습을 일정하게 간직하고 있다. 그러나 1936년 자인단오제의 마지막 모습은 물론이고 자인현읍지를 비롯한 몇몇 문헌에 실린 것과는 분명히 다르다. 이와 같은 차이는 재현의 과정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것이 나의 판단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옛 문헌과 초창기의 보고서, 그리고 현행 텍스트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특히 자인단오제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해온 여원무와 호장굿의 고형을 탐색하고 현행 텍스트와 비교해 봄으로써 재현의 과정에서 일어난 양상을 드러내보려고 했다. 검토 결과, 현재 연행되고 있는 여원무와 호장굿의 모습은 1960년대 이후 전국민속경연대회와 무형문화재 지정을 의식하고 창출된 텍스트였다. 이 텍스트는 전근대사회에서 전승된 읍치축제의 구조와 흐름, 그리고 연행의 양상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구성된 것이다. 재현에 관여한 지식인들은 자인단오제의 실상을 전하는 여러 읍지 가운데 1895년 본을 바탕으로 고형을 탐색하였다. 이 과정에서 선입견을 가지고 문맥을 이해함으로써 한장군제의 실상을 파악하지 못했고 여원무의 실체를 바로 보지 못했다. 또한 호장이 주도하는 오신을 가장행렬로 오해하고 단오제의 한 구성요소로 인정함으로써 우리 축제 특유의 오신과는 다른 텍스트가 통용되기에 이르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Jain-Danoje's course since modern is not different with almost all of folk performances, which were restored and reconstructed with a background of the designation of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National folk arts contest sine the 1960s. Generally, these folk performances were decontextualized in course of extinction and reappearance, and recontextualized in course of new directions on tradition. Also, the performances were interpreted differently and transformed by the main constituents of reappearance. Jain-Danoje nowadays has a regular form just at that time that has been designated as a cultural heritage at 1970s. But, today's Jain-Danoje is clearly different with the last appearance in 1936 and some Literature and jainhyun-eupji. I think such differences would stems from the process of reproduction. From this perspective, I had investigate Old literature and the early days report, and the current text. Especially, I will show the considerable change which has been occurred in the Yeowonmu and Hojanggut, the central role to configure that identity, by comparing past and today. As a result of consideration, today's form of the Yeowonmu and Hojanggut are created texts that mind the designation of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National folk arts contest. These texts has been reproduced without understanding about structure and current of folk festival and state of performance which has been transmitted on premodern society. some intellectuals search for an archaic form of Jain-Danoje based on jainhyun-eupji that created in 1895, except the other jainhyun-eupji. Moreover, because of the understanding with a bias, they can't grasp the meaning about the religious service for Hanjanggun, and they can't see the facts of Yeowonmoo. In addition, they were aware of 'o-sin' that led by Hojang as a fancy dress parade in a carnival, and that is recognized as a component of Jain-Danoje, so there was other text which is different from our own festiva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