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linical Report of Sasang Constitutional Prescription Treatment on 81 Acne Patients

사상(四象) 처방(處方)으로 치료한 여드름 환자 81례의 임상보고(臨床報告)

  • 탁미진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 탁명림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 윤화정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 고우신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Published : 2009.08.25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asang constitutional prescription with peeling and MTS on Acne patients. Methods : We treated 81 acne patients with sasang constitutional prescription with peeling and MTS. After treatments we compared the before and after photos, and estimated by Korean Acne Grading System. Results & Conclusions : 1. Patients were comprised of 59 females and 22 males. And there were 30 adolescent and 51 postadolescent acne patients. Out of 81 acne patients, there were many 41 postadolescent female acne patients. 2. Sasang constitutional distribution was comprised of 74 Soyangin, 5 Soeumin and 2 Taeeumin 3. Yangkyuksanhwa-tang(48.1%) and Yangdokbackho-tang(40.7%) were used much in 81 acne patients. 4. Before the treatment, 92.3% of Yangkyuksanhwa-tang group and 63.6% of Yangdokbackho-tang group had mild acne symptom and acne grade mean of Yangdokbackho-tang group was higher than another groups. 5. Peeling times mean of 81 acne patients was 2.54 times and MTS times mean was 4.57 times. Acne grade was improved when peeling times were higher. 6. Before the treatment, 81 acne patients were comprised of 81.5% mild symptom and 18.5% severe symptom patients and acne grade mean was 2.75. After the treatment. there were only mild symptom patients and acne grade mean was 1.04.

Keywords

References

  1. 대한피부과학회 간행위원회. 피부과학. 여문각. 2001:461-4.
  2. 전국 한의과대학 피부외과학. 교재편찬위원회. 한의피부외과학. 2007:486-90.
  3. Goulden V, Clark SM, Cunliffe WJ. Post-adolescent acne: areview of clinical features. Br J Dermato.l. 1997;136:66-70. https://doi.org/10.1111/j.1365-2133.1997.tb08748.x
  4. Thiboutot DM, Strauss JS. Diseases of the sebaceous glands,In: Freedberg IM, Eisen AZ, Wolff K, Austen KF, GoldsmithLA, Katz SI, editors. Textbook of dermatology. 6thed. New York: McGraw-Hill. 2003:672-676.
  5. 이상훈, 조한석, 송나르, 정석준, 김철우, 조희진, 김광호, 김광중. 여드름 환자의 삶의 질. 대한피부과학회지. 2006;44(6):688-95.
  6. 정혜윤, 지선영. 여드름에 대한 동서의학적 고찰. 동서의학. 1997;22(4):51-3.
  7. Cunliffe WJ, van de Kerkhof, Caputo R, Cavicchini S, Cooper A, Fyrand OL, et al.. Roaccutane treatment guidelines:results of an international survey. Dermatology. 1997;194:351-357. https://doi.org/10.1159/000246134
  8. 윤홍진, 채병윤. 면포효능에 관한 加味活血湯의 실험적 연구. 경희의학. 1991;7(3):312-21.
  9. 임희선. 加減枇杷淸肺飮이 면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외관학회지. 2000;13(1):1-21.
  10. 노삼웅, 채병윤. 면포에 응용되는 加味當歸芍藥湯의 효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동의학회지. 2000;4(1):33-52.
  11. 노현찬. 白附子散이 면포에 미치는 실험적 연구. 대전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1998.
  12. 김성범, 김경준. 連翹敗毒散加味方이 염증상태의 면포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2;15(1):50-62.
  13. 형양기. 玉容散이 면포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1998.
  14. 서형식. 升麻胃風湯加味가 면포에 미치는 실험적 연구. 대전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1998.
  15. 유진곤, 서형식. 如意金黃散이 여드름 유발균과 염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7;20(2):77-88.
  16. 홍석훈, 노석선. 淸上防風湯加味方이 面皰에미치는 影響.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2;15(1):315-35.
  17. 최관호, 서형식. 顚倒散이 여드름 유발균과 염증에 미치는 영향.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7;20(2):89-101.
  18. 이진아, 홍승욱. 補中益氣湯加味方으로 치료한 여드름 환자의 임상보고.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8;21(2):191-7.
  19. 김민애, 김미보, 신상호, 변석미, 고우신, 이호섭, 박선규, 윤화정. 여드름의 한의학적 치료에관한 고찰.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학회지. 2008;21(2):102-111.
  20.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사상의학. 집문당. 2004.
  21. 성경제, 노영석, 최응호, 오정준, 이주홍, 김선우, 김낙인. 한국형 여드름 중증도 시스템. 대한피부과학회지. 2004;42(10);1241-7.
  22. 강민정,함정희. 청소년기와 성인기 여드름의 임상 양상 및 여드름에 관한 인식도의 비교분석. 대한피부과학회지. 2000;38(5):589-599.
  23. Simpson N. Antibiotics in acne: time for rethink. Br JDermatol. 2001;144:225-227. https://doi.org/10.1046/j.1365-2133.2001.04119.x
  24. 최인화. 여드름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외관과학회지. 2000;13(2):140-51.
  25. 이정숙, 노석선. 좌창(여드름)에 관한 문헌적고찰. 대전대혜화의학. 1993;1(2):155-7.
  26. 박기항. 면포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방외관학회지. 1990;3(1):63-9.
  27. Cunliffe WJ, Gould DJ. Prevalence of facial acne vulgaris in late adolescence and in adults. Br Med J. 1979;1:1109-1110. https://doi.org/10.1136/bmj.1.6171.1109
  28. 金昌玟, 柳順燮. 東醫四象精解. 아카데미서적. 2000:3-23.
  29. 이정찬. 신 사상의학론Ⅱ. 목과토. 2003:178-180, 241-249.
  30. 朴爽彦. 東醫四象大典. 의도한국사. 1977:281-5.
  31. 서웅, 송정모. 소양인 신정처방의 형성과정에 대한 고찰. 사상의회지. 1997;9(1):213-43.
  32. 朴性植, 金智鎔, 崔載永. 凉膈散火湯活用에 對한 臨床的硏究. 사상의학회지. 1998;10(2):455-471.
  33. 金鎭成. 凉膈散火湯의 效能에 關한 實驗的硏究. 사상의학회지. 1989;1(1):113-23.
  34. 한동석. 東醫壽世保元註釋. 성리회출판사. 1967:260.
  35. 배효상. 四象藥方의 特徵과 形成過程에 대한 연구. 동국대 석사학위논문. 2001.
  36. 박성식. 東武遺稿藥性歌에 대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01;13(2):8-27.
  37. 염태환. 東醫四象處方集. 행림출판. 1991:82-3.
  38. 조세왕, 박성식. 凉膈散火湯이 Allergy性 接觸皮膚炎에 미치는 影響. 사상체질의학회지. 2001;13(3):89-101.
  39. 윤보현, 박성식. 凉膈散火湯이 Atopy 皮膚炎에 미치는 影響. 사상체질의학회지. 2004;16(2):84-98.
  40. 전준영, 박성식. 陽毒白虎湯이 移植 皮膚 拒否反應 遲延에 미치는 影響. 사상체질의학회지. 2003;15(2):161-165.
  41. 함명옥. 박피술을 이용한 여드름 치료의 만족도. 한국피부미용향장학회지. 2006;1(1):71-85.
  42. 정종영. 여드름. 엠디월드. 2007:447-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