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User Satisfaction of Landscape Component Factors for Outdoor Space of Culture Art Center

문화예술회관 옥외공간 경관구성요소의 이용만족도 연구

  • 이경진 (공주대학교 조경학과) ;
  • 강준모 (공주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Received : 2008.11.04
  • Accepted : 2009.01.14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direction in outdoors space planning and design after direction through user characteristic analysis through spectacle component establishment of culture art center outdoors space through on-the-site analysis and literature investigation to culture art center of Seoul city and capital region 17 places in this research. The data was collected from classification and bisection kind, subdivision kind, and great classification composed to 17 items. User satisfaction side and Variable that is looked below satisfaction than average appeared to bench, pergola, sculpture facilities, pavement facilities, border facilities. And these facilities were analyzed dissatisfaction. When see satisfaction model, when make up culture art center or similar facilities in local government hereafter because parking facilities and rest area cause big effect in satisfaction, is judged that is item to consider most preferentially. In most case, parking lot security from outdoors space, resting place security, security of field performance facilities etc. taking a serious view because tendency that users see performance or use most vehicles except neighborhood walking area for a rest, a walk etc.. is trend. But, is judged that physical side so that can feel satisfaction as space security of quantitative side is important but users utilize substantially and side that is the program are more important in hereafter.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오(1999) 지역문화공간의 특성과 기능-서울시 중구 구민회관을 사례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김성일(1991) 중요도-성취도 분석에 의한 공원 경영평가. 한국임학회지 80(1) : 103-108
  3. 김은태(2002) 문화예술회관 이용실태에 따른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삼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신화경(2005) 지역사회 여가개발을 위한 주5일근무자의 여가행태분석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5) : 190-199
  5. 양재천(2004) 충남권 문화예술회관의 운영에 관한 연구-천안, 공주, 서산문예회관을 중심으로-, 중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오정학, 김유일(2001) 중요도-성취도분석에 의한 주제공원 계획요소 평가-에버랜드를 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29(4) : 34-43
  7. 이상철, 고수정, 장철영(2006) 조직운영주체별 상대적 효율성 분석: 문화예술회관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44(3) : 179-205
  8. 이시경, 조광식(2006) 기초자치단체 문화예술회관 운영의 비교분석: 대구시 북구, 창원시, 의성군의 사례.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7(1) : 109-132
  9. 조근태, 조용곤, 강현수(2005) 계층분석적 의사결정(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서울: 동현출판사
  10. 조성덕(2001) 옥외공간의 경관조명계획에 관한 연구-강원대학교 캠퍼스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채서일(2004) 사회과학조사방법론. 서울: 학현사
  12. 채원호, 손호중, 김옥일(2004) 문화예술회관의 운영합리화 방안에 관한 연구-분석적 계층화과정 기법(AHP)의 적용-. 한국행정논집 16(2) : 287-311
  13. 채원호, 김옥일(2002) 지방자치단체 문화예술회관의 실태분석 및 적정운영모형 모색. 영남지역발전연구 30(0) : 51-71
  14. 최광선(1985) 도심 고층사무소 건축물 옥외공간 이용에 관한 조사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최근호(2002) 문화예술회관에서 다목적 사용과 전문사용에 의한 공간계획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함종관(2002) 대구지역 문화시설의 공간구성 실태에 관한 연구, 경일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Saaty, T. L.(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planning, Priority Setting, Resource Allocation. New York : McGraw-Hilll
  18. http://www.sejongpac.or.kr
  19. http://art.incheon.go.kr/index.html
  20. http://www.issi.or.kr/munwha_01.asp
  21. http://www.ayac.or.kr
  22. http://ansanca.iansan.net
  23. http://www.uac.or.kr
  24. http://www.gunpoart.net
  25. http://spart.gys.or.kr
  26. http://www.yanju.go.kr/admin_information
  27. http://www.bwar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