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tological Categorizing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Rocks and Crust, Plate Tectonics

암석과 지각, 판구조론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존재론적 범주화

  • Received : 2009.04.15
  • Accepted : 2009.06.11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udents' ontological categories about rocks and the earth's crust and plate tectonics. A total of 169 high school students in the first grade were involved in the study, and in order to extend the boundary and tendency of the research, structuralized questions and coding frame were generated. Additionally, the results from all students were codified in four levels according to coding frame (matter, transformation, proto-process, and process). Followings are the results. First, the ontological categories of students about the concepts of this research were classified dominantly into a matter and transformation within the boundary of 67% of rocks, and 75% of the crust. The propensity of plate tectonics in terms of ontological category were analyzed by being codified into 68% of process category which proved to have relatively process-oriented perspective. Secondly, the inclination to allocate ontological categories of each students in terms of field concepts were confirmed in 16% and 31% per each student that were codified into process categories and matter categories. Most students that were codified into matter category responded to high tendency to view the world as a combination of simple substances. Moreover, the students had ontological faith that speculates only through a state or an incident in terms of concepts that form a structure of knowledge.

이 연구는 암석과 지각, 판구조론에 대한 학생들의 존재론적 범주화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에는 고등학교 1학년 169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연구 영역에 대한 학생들의 존재론적 범주화 경향을 밝히기 위해 질문지를 개발하고 부호화 틀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모든 학생 결과물들은 부호화 틀에 따라 4 단계(물질, 전환, 초기적 과정, 완료적 과정)의 범주로 부호화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연구 영역의 개념들에 대한 학생들의 존재론적 범주화는 암석 영역의 개념들에서 62%로 그리고 지각 영역의 개념들에서 75%로 우세하게 물질과 전환 범주로 분류되었다. 판구조론 영역에 대한 개념들의 존재론적 범주화 경향은 65%가 과정 범주로 부호화됨으로써 비교적 과정 지향적 관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둘째, 학생 개개인의 영역별 개념들에 대한 존재론적 범주 배정 경향은 모든 영역에서 과정 범주와 물질 범주로 부호화된 학생의 비율이 각각 17%, 30%로 확인되었다. 응답 분석 결과에서 물질 범주로 부호화된 대부분의 학생들은 세계를 단순한 물질의 조합으로 보는 경향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지식 구조를 형성하는 개념들에 대하여 현상이나 사건 자체로만 사고하는 존재론적 신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