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ographic Characteristic Analysis in Beacon Mounds Using GIS Techniques

GIS기법을 이용한 봉수대의 지형특성분석

  • 한기봉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지형정보협동과정) ;
  • 이지영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지형정보협동과정) ;
  • 강인준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Received : 2009.11.12
  • Accepted : 2009.12.10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Beacon Mounds play a important role in defence and communication extending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to the period of Chosun. About the research of beacon mounds have focused on investigation in old literature. This research analyzed geographic factors such as altitude, cross section, distance and visible distance affect in selecting location of beacon mounds. And it was presumed how each beacon mound geographic characteristics was considered in selecting location of beacon mounds. As a result, it is presumed that communicating among beacon mounds and watching the coast were affected by ge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electing location of beacon mounds was considered by several geographic factors.

봉수대는 예로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국방 및 통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그동안의 봉수대에 대한 연구는 고문헌을 통한 조사에 집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봉수대 입지 선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인 고도, 단면도, 봉수대간의 거리 및 가시권 등의 지형요소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봉수대의 입지 선정 시 지형적 요소가 어떻게 고려되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봉수대의 지형 특성은 신호전달에서는 봉수대간의 거리와 가시거리가 상관이 있었고 조망에 있어서는 해안과의 거리와 가시범위가 상관이 있었다. 봉수대의 위치 선정에 있어서는 한가지의 지형요소뿐만 아니라 어려 지형요소들이 복합적으로 고려되었다고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방군사연구소 (1997). 한국의 봉수제도, pp.99-102.
  2. 강인준, 2004, 측량지형정보공학II, 동명사. pp.378-381.
  3. 김경추 (2001). 조선시대 봉수제도와 입지연구, 지리학연구. Vol.35, No.3, pp.277-280.
  4. 김남신, (2005), GIS 실습 -아크뷰를 활용한 지도제작과공간분석, pp.300-307.
  5. 김성준 등, (2002), GIS개념과 기법, pp.373-376.
  6. 김주용 등. (2002). GIS기법을 이용한 한국 영산강 하류구석기 유적 분포특성 연구. 선사와 고대. pp.174-176.
  7. 이귀혜 (2001). 부산지방 봉수대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3-17, 23-48.
  8. 이상호 (2004). 조선후기 울산지역 봉수군에 대한 고찰, 울산대학교 역사문화학과 석사학위논문, pp.10-11.
  9. 이진영 등 (2005). GIS 중첩분석을 이용한 요지 유적 분포 예측의 시범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권 4호, pp.167-168.
  10. 오동하 (2000). 조선시대 연변봉수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가정관리학과 박사학위논문, pp.35-44.
  11. 장은미 등 (2006). 조선시대 왕릉의 공간적 분포 특성,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Vol. 14, No.3, pp.292-294.
  12. 황재훈 등, (2004), 청주시 우암산 중심의 조망경관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Vol.39, No.2, pp.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