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esalination Methods for Application of Outdoor Iron Artefacts

옥외 철제문화재 적용을 위한 탈염처리 방법 연구

  • Lee, Hye-Youn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Cho, Nam-Chul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Woo-Hyun (Jungang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이혜연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조남철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김우현 (중앙문화재연구원 보존과학실)
  • Received : 2009.02.02
  • Accepted : 2009.03.09
  • Published : 2009.03.01

Abstract

Outdoor iron artefacts are easily corroded by salts, especially $Cl^-$ion, from environmental pollutants and acid rain because of their location, so that they need conservational treatments such as stabilization. However the conservation of outdoor iron artefacts are limited to be consolidated for the present and there are a few the studies for the desalinization. The general desalinization method is that objects are immersed in reagent such as alkaline corrosion inhibiting solutions targeting on buried iron artefacts, thus they are not available for outdoor iron artefacts. In this study, concerning those difficulties, the different desalting method is experimented that materials soaked in alkaline solutions attach to objects and they are packed by waterproof to avoid evaporation. This paper experiment burial iron artefacts at first in order to fine out an adaptable method for outdoor iron artefacts. The soaking materials are Korean traditional paper, gauze, cotton wipers, spill pads and the desalting regent is NaOH 0.1M. Additionally the exiting desalinization method which is to immerse objects in solution is performed to compare. The analyses are microscopes, SEM-EDS, X-ray diffraction, pH meter and Ion chromatography. The result is that spill pads show the best desalting effect out of other materials similar to immersing desalting method.

옥외 철제문화재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환경오염인자나 산성비에 의한 염($Cl^-$)의 영향으로 부식이 발생되기 때문에 탈염처리 등 보존처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옥외 철제문화재의 보존처리는 강화처리에 한정되어 있어 염에 대한 손상정도나 염을 제거하는 탈염처리 방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탈염방법은 주로 매장 철제문화재를 대상으로 하여 탈염용액에 침적시키는 방법이기 때문에 옥외 철제문화재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탈염용액을 재료에 흡수시켜 철제문화재에 흡착시키고 증발을 막기 위해 방수 필름으로 포장하는 탈염 방법을 실험해 보았다. 옥외 철제문화재에 적용 가능한 탈염처리 방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우선 매장 철제문화재를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며, 탈염흡수재료로는 전통한지, 거즈, cotton wipers, 흡습지를 선정하였고, 탈염용액은 NaOH 0.1M를 사용하였다. 또한 기존의 침적탈염방법을 함께 실행하여 흡착탈염방법과의 효율성을 비교해 보았다. 본 탈염실험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실체현미경과 SEM-EDS, XRD, pH측정과 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IC)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흡습지가 기존 탈염 방법과 유사한 탈염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L.S. Selwyn, P.J. Sirois, V. Argyropoulos, "The corrosion of excavated archaeological iron with details on weeping and akaganeite". Studies in Conservation, 44, p217-232, (1999). https://doi.org/10.2307/1506652
  2. M. McNeil, L.S. Selwyn, "Electrochemical Processes in Metallic Corroison". Handbook of archaeological science, (2001).
  3. 김사덕, 황진주, 강대일, "대리석 문화재에 대한 산성비의 영향". 보존과학회지, 7, p19-22, (1998).
  4. 문환석, 황진주, 정영동, "출토 철제 유물의 탈염처리 방법 고찰". 보존과학연구, 17, 국립문화재연구소, (1996)
  5. 김은숙, "금속유물 보존처리에 관한 연구-전등사 소장 철제범종 보존처리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6. 김수기, 강창구, 이오휘, "용두사지 철당간(국보 제41호)보존처리". 호암미술관 연구논문집, 5, (2000)
  7. 정광용, "금속문화재의 보존관리". 보존과학 기초연수교육,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8. L.S.Selwyn, W.R.McKinnon, V.Argyropoulos, "Models for chloride ion diffusion in archaeological iron". Studies in Conservation, 46, p109-120, (2001) https://doi.org/10.2307/1506841
  9. David A.Scott, "Copper and Bronze in Art: Corrosion, Colorants, Conservation, Getty Publication p374-376, (2002)
  10. "은평뉴타운 사업부지내(제2지구 C공구) 유적 발굴 조사 약보고서". 중앙문화재연구원, (2007)
  11. S,Reguer, P. Dillmann, F. Mirambet, "Buried iron archaeological artefacts :Corrision mechanisms related to the presence of Cl-containing phases". Corrosion Science, 49, p2726-2744, (2007) https://doi.org/10.1016/j.corsci.2006.11.009
  12. 전익환 "출토 철제유물의 부직생성물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