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Boheo-tang and Boheo-tang plus Cervi Pantotrichum Cornu : on Immune Response in Postpartum mice

보허탕(補虛湯)과 보허탕가녹용(補虛湯加鹿茸)이 산후 생쥐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 Lee, Eun-Hee (Dept. of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osuk University) ;
  • Kim, Tae-Hee (Dept. of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osuk University)
  • 이은희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 김태희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oheo-tang (B) and Boheo-tang plus cervi pantotrichum cornu (B+CP) on immune response in postpartum C57BL/6N mice. Methods: Normal saline(control), B and B+CP (8${\mu}{\ell}$/g) were administerd p.o. twice a day for 20 days. Subpopulation of T and B lymphocyte were accessed by flow cytometric analysis. Results: Splenic T and B lymphocytes were increased by the treatment of B. Subpopulation of cytotoxic T lymphocytes in the splee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both treatment of B and B+CP. Subpopulation of cytotoxic T lymphcytes in the thymu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both treatment of B and B+CP. IL-4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treatment of B+CP.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reatment of Boheo-tang and Boheo-tang plus cervi pantotrichum cornu can improve postpartum immune response in C57BL/6N mice.

Keywords

References

  1. 李梴. 編注醫學入門. 서울:대성문화사. 1990:64-8.
  2. 서정민 등. 가미補虛湯Ⅰ이 생쥐의 면역조절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1):88-102
  3. 한방여성의학 편찬위원회. 한방여성의학 II. 서울:정담출판사. 2007; 340-1, 436-40
  4. 이종년 등. 가미대보탕(加味大補湯)이 생쥐의 면역조절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5):16-29
  5. 허준. 동의보감. 서울:법인문화사. 1999 :1638
  6. 方廣. 丹溪心法附餘. 서울:대성문화사. 1982:749-63
  7. 河北醫學院校釋. 靈樞經校釋.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82:237-8
  8. 김현종 등. 黃芪湯加味方이 출산 후 생쥐 및 흰쥐의 면역반응과 조혈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3):26-46
  9. 高僖卿. 補虛湯이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10. Shortman K. and Jackson H. The differentiation of T lymphocytes.Ⅰ. Proliferation kinetics and interrelationships of subpopulations of mouse thymus cells. Cell. Immunol. 1974;12:230-46 https://doi.org/10.1016/0008-8749(74)90075-6
  11. Engvall E, Perlmann P.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III. Quantitation of specific antibodies by enzyme-labeled anti-immunoglobulin in antigen-coated tubes. J. Immunol. 1972;109:129-35
  12. 辛民敎. 床本草學. 서울:남산당. 1986:166, 173, 221-2, 254-61, 380-1, 464-5
  13. 黃度淵. 증맥방약합편. 서울:행림출판사. 1987:84-105, 127-9, 215-6, 255-6
  14. 박소월 등. 補虛湯과 生化湯의 산후회복효과에 대한 비교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2):118-28
  15.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교수 공편저. 본초학. 서울:영림사. 1991:545-6
  16. 김동환 등. 木香生化湯과 木香生化湯加鹿茸이 산후회복 및 유즙분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1):111-27
  17. 심용섭, 유동렬. 산후에 활용되는 補虛湯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전대학교한의학연구소. 한의학논문집. 1992:227-33
  18. 진천식. 생화탕 및 補虛湯의 진통 및 적출 자궁근에 미치는 실험적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7;10(1):121-31
  19. 차봉오 등. 補虛湯의 효능에 관한 연구. 경희의학. 1992;8(1):22-35
  20. 이경임. 加味補虛湯이 난소적출백서의 성호르몬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21. 송종석 등. 가미보중익기탕이 생쥐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4):1-16
  22. 趙鐘寬. 면역에 관한 동양의학적 고찰. 서울:東洋醫學. 1985:23
  23. 河北醫學院校釋. 靈樞經校釋.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82:237-8
  24. 具本泓. 면역과 알레르기. 대한한의학회지. 1990;11(2):9-10
  25. 菊地浩吉. 최신면역학. 서울:집문당. 1985:31-5
  26. 蔡禹錫. 면역질환의 한방개념과 치료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1990;11(2):55-8
  27. Abbas AK, Lichman AH, Poper JS.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New York:Saunders Co. 1994:241-60
  28. Kuby J. Immune-system cells, in Immunology 4th ed. New York:W.H. Freeman and Company. 2003:5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