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Hwal-ot at the Field Museum of Chicago

시카고 필드 박물관 소장 활옷에 대한 연구

  • Kwon, Hea-Jin (Dept of Apparel Design, Hanyang Women's College) ;
  • Hong, Na-Young (Dept. of Clothing and Textile, Ewha Womans University)
  • Published : 2009.07.31

Abstract

Hwai-ot is the embroidered bridal red robe that represents the beauty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As there are very few remains of Hwal-ot that are pass to date, the study on Hwal-ot has been limited to the Hwal-ot of Princess Bok-on and some civilian Hwal-ot relics. In this study, I tried to perform a positive research on Hwal-ot of the latter Joseon dynasty by inspecting these Hwal-ot remains housed at Field Museum of Chicago. This study has its meaning in the fact that it tried to illuminate diverse features and beautiful form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Hwal-ot by comparing those possessed by overseas museums with the ones in Korean museums. Number 33157 Hwal-ot has very unique pattern with both embroidery and gold imprint decorated. It has less embroidery than the Princess Bok-on's Hwal-ot but has much diverse gold imprint patterns. Other four Hwal-ot remains, other than the number 33157,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the Hwal-ot housed at Changdeok-gung, whose reproductions are also kept at Dankook University Muesum and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which makes it possible to deduce that they hav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Royal Hwal-ot of the latter Joseon dynasty.

Keywords

References

  1. 손경자 (1997). 활옷의 형태와 문양에 관한 연구 - 현대 유물을 중심으로. 복식, 1. pp. 49~58
  2. 임현정, 조오순 (2003). 활옷에 나타난 색상과 문양의 상징성에 관한 고찰. 생활과학연구, 7, pp. 1~13
  3. 전혜숙, 김숙경 (2000). 조선 후기 활옷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연구논문. 8, pp. 203~222
  4. 허명희 (1983). 조선조 복식의 원삼과 활옷의 형태와 문양연구. 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이상은 (1983). 조선왕조후기 활옷의 연구 - 복온공주의 활옷을 중심으로. 복식, 7, pp. 71~81
  6. 윤은재 (1997). 해외박물관 소장 한국 복식 문화재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독일 퀼른 동아시아 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8. Young Yang Chung (2005). Silken Thread. New York: Abrams. p.356
  9. ibid.. pp. 356~388
  10. 대전세계박람회조직위원회 (1993). EXPO '93 시카고 엑스포 참가 전시품 특별전 도록
  11. 고종실록 30권, 30년 (1893) 11월 기사. '미국박람회출품대원인 정경원을 소견하다.'
  12. 손경자 (1977). 활옷의 형태와 문양에 관한 연구. 복식, 창간호, pp. 49-58
  13. Kisook Suh(2006). The Documentary Value of Repairs to the Hwarot, the Korean Bridal Robe. Textile Society of America, pp. 79-87
  14. ibid.. p. 83
  15. 부산박물관(編) (2005). 조선여인의 美. 부산: 부산박물관. pp. 30~31
  16. 이순홍 (1983). 조선왕조후기 활옷의 연구. 복식, p. 79
  17. 이길표 (2000). 朝鮮後期 서울 班家의 昏禮. 서울: 한국전통생활문화학회, p. 142
  18. 석주선 (1971). 韓國服飾史. 서울: 보진재, p. 737
  19.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2005). 名選-下. 서울: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p.114
  20. Young Yang Chung. op. cit.. p. 379
  21.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미국 부르클린 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국립문화재연구소, p. 273
  22. 위의 책, p. 274
  23. 위의 책, p. 273
  24. 이학 (1986). 한수문화. 서울: 한국자수문화협회, p. 245
  25. 한국고전번역원, 신동국여지승람. 한성부. 자료검색일 2009.7.29, www.itk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