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Simulation of Textile Using Geometric Patterns Found in the Design Mural Paintings of Goguryeo Dynasty Tombs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기하학문양을 이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시뮬레이션

  • Jung, Hyung-Ho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Eun-J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Bae, Soo-Jeo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9.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geometric patterns which can be reinterpreted in a modern sense and textile designs which can be commercialized in the mural painting of Goguryeo Dynasty's tomb. Of 42 tombs where genres and portraits could be observed, the costume style of Goguryeo dynasty could be mainly observed in the tombs built in the 4th and 5th centuries. Since geometric patterns found in the portrait could be represented in a modern sen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the patterns of a necktie which is one of cultural products by applying geometric patterns in the mural painting of Goguryeo Dynasty's tomb in the 5th century with many patterns distributed. The scope of patterns was limited to a square, a triangle, a circle, and a diagonal line which were the basic of geometric patterns found in the mural painting. The methods of study were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study. Adobe Photoshop CS3 was used to edit geometric patterns found in the mural painting of Goguryeo Dynasty's tomb in the 5th century. By extracting a square(${\square}$), a triangle(${\vartriangle}$), a circle(${\bigcirc}$), and a diagonal line(${\diagdown}$) from edited images, predicted images were proposed before products were made. Finally textile designs were made through the simulation of edited design patterns in the necktie and handkerchie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positiv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 designs applying the characteristic of geometric patterns and the construction of Korean image.

Keywords

References

  1. 윤찬종 (2007). 한국 문화원형 3D애니메이션 콘텐츠 개발 육성 방안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98-205
  2. 배영동 (2005). 문화콘텐츠화 사업에서 '문화원형' 개념의 함의와 한계. 인문콘텐츠, 6. pp. 39-54
  3. 육용조 (2004). 고구려 고분벽화를 이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작품제작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4
  4. 박영신 (2000). 고구려 고분벽화 이미지 텍스타일 디자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
  5. 안창현 (1999).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기하학문양에 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의류학과 논문집, 제7호, pp. 539-555
  6. 최충식 (2006). 한국전통문양의 이해와응용-2. 서울:창지사, p. 385
  7. 문양이란 (2007.5.2). 주거복지연대. 자료검색일 2008.12.4. http://www.google.co.kr/
  8. 아니엘라 야페, 이희숙 역 (1995). 미술과 상징. 열화당, p. 9
  9. 박지연 (2008). 고구려 고분벽화 문양을 통한 패턴 디자인 수업 연구: 중학교 2학년 미술교과 영역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미화 (2008).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장식문양 분석: 동, 식물 문양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안소영 (2004). Noin-Ula와 고구려의 복식 및 문양 연구와 이를 반영한 에스닉 스타일 의복 디자인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3-75
  12. 안창현 (2003). 고구려고분벽화에 나타난 장식문양 연구. 服飾, 53(4), pp. 131-148
  13. 육용조. 앞의 책, pp. 35-53
  14. 박종수 (2003). 高句麗 古墳壁畵의 宗敎的 意味에 대한 硏究: 宗敎形態論的 接近을 中心으로. 한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곽동해, 조효숙 (2003). 고구려 고분벽화의 장식문양 소고. 高句麗硏究, 16, pp. 523-543
  16. 아니엘라 야페, 이희숙 역, 앞의 책, p. 9
  17. 안창현, 앞의 책, p. 550
  18. 한국문화재보호협회 편 (1998). 한국의 무늬. 서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p. 41
  19. 최해정 (1989).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문양과 상징성에 관한 고찰. 세종대화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6
  20. 정병모 (1998). 고구려 고분벽화의 장식 문양도에 대한 고찰. 강좌미술사, 10(1), p. 143
  21. 한국문화재보호협회 편 (1998). 한국의 무늬, 서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p. 59
  22. 안창현. 앞의 책, p. 549
  23. 2010 S/S Color-Trend.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09.7.24,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
  24. 디자인 (□+○+△+/)는 의장등록 하였음(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08-0052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