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놀이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감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Play Activities on Children's Nature-Friendly Attitudes and Emotions

  • 투고 : 2009.07.01
  • 심사 : 2009.11.11
  • 발행 : 2009.12.31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educational effects of soil play activities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soil play activities on children's nature-friendly attitudes and emotions. Fifty 5-year-old children enrolled in K-kindergarten in Y-city were randomly selected for the study. Assessment of nature-friendly attitudes and emotions was by 11 questions selected from Musser & Diamond's (1999) Pro-environmental Attitude Test (adapted by Lee, Hye Sun, 2006) and from Bar On and Parker's (2000/2001) Emotion Test, an Emotional Quotient Scale for Young Children.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Soil Play Activities program acquired more nature-friendly attitudes and emotions tha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soil play activities can improve nature-friendly attitudes and emotions of 5-year- old childre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자(2000). 흙 체험활동을 통한 유아의 창의적 표현력 신장. 경기교육, 14(9), 35-38.
  2. 곽은미(2001). 유아의 가정환경과 감정지능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선영(2004). 유아의 숲 속 산책과 머무르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선희(2006). 자연체험학습이 학생의 정서지능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세진(2005). 흙과 하늘에 대한 자연체험활동의 교육적 의미탐색.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은순(2006). 통합상황에서의 집단모래놀이 프로그램이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준희(2005). 자연물을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 및 과학적 탐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남효창(2004). 나는 매일 숲으로 출근한다. 서울 : 창림출발.
  9. 문미옥(2008).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총론 이해. 유치원 교육과정의 이해. 한국유아교육학회 부산울산경남지회 교사연수자료집, pp.11-38.
  10. 민정선(2005). 자연미술활동의 교육적 의미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민현숙(2003). 자연 친화적 체험학습이 유아의 감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미령(2004). 식물 가꾸기를 통한 아동의 정서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언휘(2004). 산책을 통한 자연탐구활동의 경험 세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진옥(1986). 모래놀이, 물놀이가 유아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신원섭(2007). 숲으로 떠나는 건강 여행. 서울 : 지성사.
  16. 안화자(2007). 생태체험활동에 따른 유아의 생명존중 인식과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진주산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윤구병(2002). 스스로 살아남기, 더불어 살아남기.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창립총회 및 기념강연 자료집, pp.14-30.
  18. 윤석경(2004). 점토를 이용한 연극치료 사례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윤영배(2008). Orff 접근법에 의한 유아 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음악적성, 감성 지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윤현경(2006). 생태교육이 별건가, 숨 쉬는 흙을 만지면 창의력도 더불어 자란다 흙의 힘으로 아이를 키우자. 맘&앙팡, 4.
  21. 이경민(2002). 유아의 지능, 감성지능, 창의성의 관계 및 관련변인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영석.이정화.김미경(2001). 유아를 위한 감성지능 척도 개발연구. 연구보고 RR 2000-VI-5(교과교육 공동연구소), 747-769.
  23. 이윤하(2005). 유아교육기관의 생태건축 : 건축과 리모델링. 생태유아교육연구, 4(1), 55-87.
  24. 이찬숙(2006). 감성프로그램이 유아의 감성지능 및 도덕적 판단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지, 10(1), 101-121.
  25. 이혜선(2006). 전통동요를 활용한 자연친화 놀이가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임재택.김은주.하정연.권미량.조채영(2006).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 운영. 경기 : 공동체.
  27. 정경주(2002). 자연생태체험활동이 학생의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정영희.김혜정(2006). 장애유아 통합교육이 일반유아의 감성지능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3), 307-339.
  29. 정희숙(2006). 창조영성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연친교성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정희정(2004). 불교 생명존중사상에 기초한 자연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조형숙(2005). 유아를 위한 자연친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연구. 학술진흥재단 연구보고서.
  32. 한혜영(2007). 자연친화적 생태교육활동이 유아의 감성지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허윤정(2001). 통합적 접근에 의한 동물 기르기가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Barber, J., & Torquati J. (2005). Dancing with trees infants and toddlers in the garden. Young Children, 60(3), 40-47.
  35. Bar-On, & Parker, D. A. (2000). Bar-On emotional Quotient inventory : Youth version technical manual. New York : Multi-Health System.
  36. Lowry, C. A. (2007). Identification of an immune-responsive mesolimboconical serolonergic system : Potential role in regulation of emotional behavior. Neuroscience, 146(2), 756-772. https://doi.org/10.1016/j.neuroscience.2007.01.067
  37. Moore, R. C., & Wong, H. H. (1997). The life history of an environmental schoolyard : Creating environments for rediscovering nature's way of teaching. Berkeley. CA : MIG Communications.
  38. Strickland, E. (2001). What children learn through outdoor play. Early Childhood Today, 15(7),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