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유아교육

  • 최석란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인간개발학부 아동학) ;
  • 김영숙 (한국국제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09.08.16
  • Accepted : 2009.11.11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has made a great progress during the last thirty years. However, understand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a challenging task because of the diversity of the fields. Currently 38% of 3-5 year old children are enrolled in kindergarten. And several efforts to develop and distribute the standard curricula on a national level were underwent successfully. Researches are rapidly expanding in volume and the topics are becoming diverse. Focuses of researches moved from the area of cognitive development, science and mathematics in 80s, social and emotional aspects in 90s to language, curriculum and teacher education in 2000s. One of the emerging issues is the inclusion of kindergarten to public education system and free kindergarte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second issues is more interdisciplinary policies are in need related to the low-birth rate in nation. The third one is about teacher training policy. The fourth one is related to the health, nutrition and safety of young children. And the fifth issue is moving educational system and policies that provide better future of young children while focusing on the children in low income families and children with absolute poverty.

Keywords

References

  1. 고영미.이기섭(2007). 쟁점연구 : 우리나라 사립유치원 및 인간보육시설의 단계별 법인화 방안 연구. 유아교육연구, 27(5), 87-109.
  2. 고은미.황해익(2008). 유아측정능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도구 개발 연구. 유아교육연구, 28(4), 265-288.
  3. 곽노의.이용자(2006). 북한 의무교육제도와 보육제도. 유아교육연구, 26(5), 53-77.
  4. 교육통계(2008). 웹사이트 http://std.kedi.re.kr/index.jsp에서 2009년 8월 20일 인출.
  5. 권미경.신은수(2007). 3, 4, 5세 유아의 과학적 문제 해결과정을 통한 자성체와 비자성체에 대한 과학적 지식의 변화. 아동학회지, 28(1), 55-69.
  6. 권영례(1990).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형태와 유아의 과학적 태도 및 성취와의 관계. 아동학회지, 11(2), 24-43.
  7. 권은주.황갑성(1997). 표준교육비 산출에 의한 사립 유치원 교육재정 분석. 유아교육연구, 17(1), 46-65.
  8. 김경희(1981). 한국 아동의 왼쪽-오른쪽 개념 발달. 유아교육연구, 3, 5-13.
  9. 김경희.황혜정(1999). 교사의 평정에 의한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9(2), 141-156.
  10. 김규수(2001). 포스트모더니즘적 유아교육관 고찰. 유아교육연구, 21(1), 161-176.
  11. 김미숙(2006). 영아 학급에서의 사회적 네트워크(social network) 구성과 그 기능의 발달 : 활동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7(4), 165-184.
  12. 김영신(1981). 텔레비젼 광고가 어린이 언어 정서 교육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 15-28.
  13. 김영연(1996). TV 유아교육프로그램과 유아음악교육. 유아교육연구, 16(2), 109-123.
  14. 김영옥(1998). 유아교육기관의 교육환경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18(1), 105-129.
  15. 김영옥(2003).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 개발 연구. 아동학회지, 24(5), 105-118.
  16. 김정민(2006). 사회적 상황의 제시 유무에 따른 아동의 성역할 개념의 유연성. 아동학회지, 27(3), 189-205.
  17. 김정원.최정옥(2006). 가정과 연계된 요리활동이 유아의 기초과학개념 및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7(2), 39-53.
  18. 김정희.문혁준(2007). 유아교육기관 운영자의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에 대한 교사 개인특성과 조직특성의 중재효과. 유아교육연구, 27(6), 143-163.
  19. 문미옥(2004). 한국 유아교육의 주체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논의. 유아교육연구, 24(6), 135-154.
  20. 문미옥.김영옥.나정.양옥승.이기숙.임재택(2007). 쟁점연구 : 교육부 고시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 총론 시안 개발 연구. 유아교육연구, 27(1), 37-72.
  21. 박경자(1981). 유아의 물체영속성개념 발달에 관한 실험연구. 아동학회지, 2, 1-16.
  22. 박유미.심숙영.강성희(2006). 온라인 수학 콘텐츠가 유아의 수 연산 발달과 수학적 접근 태도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27(1), 139-151.
  23. 박향아(1987). 한.일 유치원 교육과정의 비교학적 일 고찰. 유아교육연구, 7, 79-97.
  24. 백경임(1981). 불타의 재가아동관. 아동학회지, 2, 55-66.
  25. 백은주.조부경(2004).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 자기 평가 도구 개발. 유아교육연구, 24(4), 95-117.
  26. 서지영.서영숙(2002). 유치원교사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2(4), 229-250.
  27. 서현.김영옥(2006). 유치원 생활에서 나타나는 유아 혼잣말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26(3), 83-107.
  28. 신동주.Ingrid Engdahl (2006). 쟁점연구 : 스웨덴의 유아교육제도. 유아교육연구, 26(5), 79-92.
  29. 양연임.김영실(2001), 유아의 문식성과 컴퓨터로 쓰기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아동학회지, 22(2), 301-313.
  30. 양옥승(1987). 유아교육과정연구의 재개념화. 유아교육연구, 7, 5-23.
  31. 양옥승(2002). 유아교육과정 모형의 변화 방향 탐색 : 역사적 접근. 아동학회지, 23(5), 77-88.
  32. 양옥승(2004). 보살핌의 텍스트로서 유아교육과정 이해. 유아교육연구, 24(4), 247-262.
  33. 엄정애.송정.박미경(2009). 교사를 통해 본 유치원 현장의 음악교육과 실행의 어려움. 유아교육연구, 29(1), 133-158.
  34. 우남희(1999). 조선시대 아동용 교재들 속에 나타난 정서지능. 아동학회지, 20(1), 3-14.
  35. 유구종(2006). 유아교육용 인터넷 콘텐츠 평가척도 개발 연구. 유아교육연구, 26(5), 287-306.
  36. 이경희(1980). 지역별로 본 우리나라 유아환경의 실태 조사와 바람직한 유아환경의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이동학회지, 1, 40-64.
  37. 이경희.최정윤(2003). 어린이박물관에서의 미술감상을 위한 체험식,비체험식 전시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3(3), 91-109.
  38. 이기숙.조경자.채종옥.김소양(1992). 유아교육의 통합적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2, 91-112.
  39. 이문옥(1994). 유아의 읽기 쓰기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의 특성. 유아교육연구, 14(2), 39-56.
  40. 이민정.성소영.나귀옥.김정화(2007). 쟁점연구 : 지역사회 중심 교,보육기관 설립을 통한 가정보육 시설 통합관리방안. 유아교육연구, 27(6), 31-48.
  41. 이병래.김선영(2007). 쟁점연구 : 대학교육과정에서의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 양성을 위한 통합교육과정 구성. 유아교육연구, 27(5), 111-133.
  42. 이상금(1983). Montessori 프로그램과 Kamii 프로그램의 교사역할에 관한 일고찰. 유아교육연구, 4, 53-64.
  43. 이상금(1986). 한국 초기 유치원 교육의 성립과정. 유아교육연구, 6, 5-22.
  44. 이상화.최석란(1998). 인지-사회적 학습활동이 유아의 사회적지식과 사회적기술 증진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19(1), 85-99.
  45. 이연승(2000). 포스트 모더니즘적 관점에서 본 아동발달지식과 유아기 교사교육. 아동학회지, 21(3), 41-51.
  46. 이영.이혜경(1989). 발달적 종일제 영유아 교육 프로그램 평가연구. 유아교육연구, 9, 81-96.
  47. 이은해.이기숙(1995).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의 타당화를 위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5(1), 157-178.
  48. 이정환.이영자.배소연(1992). 유아교육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교육 체계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12, 113-140.
  49. 이춘자.박은혜(2003). 웹 토론방을 통한 수업사례토론에서 유아교사의 사고과정 및 자기 조절 학습 능력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3(3), 21-42.
  50. 이혜은.황해익(2006).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기초한 수학영역평가도구 개발. 유아교육연구, 26(6), 117-134.
  51. 이화도(2007). 쟁점연구 : 프랑스 유아교육 및 보육 행정체계 연구. 유아교육연구, 27(5), 5-31.
  52. 이화도.Vergnaud Gerard(2006). 쟁점연구 : 유아교육 학제개편 방향성 정립을 위한 프랑스 유아교육제도 이해. 유아교육연구, 26(4), 5-29.
  53. 이효숙.심성경(2001). 유아음악극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지도실태. 유아교육연구, 21(3), 267-291.
  54. 임수진.이정욱(1999). 미술비평 활동이 유아의 미적 반응 및 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0(2), 187-204.
  55. 임은애(2008). 동작, 그림, 언어를 통합한 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이해력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8(5), 197-222.
  56. 장영숙.최미숙.황윤세(2004).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교육신념 및 교수 효능감과 총체적 언어교수법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4(2), 23-43.
  57. 정미라.홍용희.엄정애.이순영(2000). 유치원 종일제 프로그램의 운영실태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0(1), 59-79.
  58. 정재후.김명순(2003). 전자동화 및 인쇄동화 유형과 읽기 이해 수준에 따른 아동의 이야기 이해 차이. 아동학회지, 24(5), 15-26.
  59. 정정희.최효정.권미정(2009). 어림하기 활동이 유아의 수 연산과 측정 능력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30(1), 109-125.
  60. 조복희(1981). 우리나라 농촌아동의 발달단계별 보존 개념. 아동학회지, 2, 41-54.
  61. 조부경.김영실.신은수(2006). 쟁점연구; 어린이 삶의 관점에서 본 바람직한 유아교육학제 개편. 유아교육연구, 26(3), 5-32.
  62. 조부경.백은주(2003). 유치원 교사의 발달 수준을 고려한 장학 모형 개발. 유아교육연구, 23(1), 105-131.
  63. 조성연.김선영(2006). 쟁점연구 : 영국의 초등학교 조기 취학을 통해 본 우리나라의 유아교육학제 개편 방향. 유아교육연구, 26(4), 51-73.
  64. 조은진.안남이(2002). 지리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지리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지도 이해능력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3(6), 81-101.
  65. 주영희(1983). 유아의 언어 및 사고능력의 연구. 유아교육연구, 4, 79-96.
  66. 지성애.백선희.채영란(2007). 쟁점연구 : 영국의 영유아 교육, 보육지원 제도. 유아교육연구, 27(5), 135-155.
  67. 지옥정.전경숙(1982). 텔레비젼 유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탐색적 연구. 아동학회지, 3, 83-96.
  68. 천희영(2005). 웹기반 유아교사연수 프로그램의 학습 결과에 대한 영향 변인의 부석 : 부산지역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교육연구, 25(2), 47-78.
  69. 최석란.김영숙(2000). 유아 쓰기 포트폴리오 평가준거를 위한 기초연구. 아동학회지, 21(3), 107-117.
  70. 최석란.김영숙(2003). 문해포트폴리오를 통한 유아교육기관과 가정간의 유아 읽기 및 쓰기 연계 모델 개발 및 적용. 유아교육연구, 23(1), 169-188.
  71. 최양미(2000). 율곡의 인성론과 아동교육관 연구. 유아교육연구, 20(2), 243-257.
  72. 탁옥경.배지희(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 과정에 참여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27(4), 327-353.
  73. 하정연(2004).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일과 운영과 환경구성에 관한 실천 사례연구. 유아교육연구, 24(3), 95-118.
  74. 한국아동학회(2004). 한국아동학의 연구 : 동향과 전망. 학지사.
  75. 한국유아교육학회(2005). 유아교육학의 이해. 양서원.
  76. 홍혜경(1989). 아동의 수 (數) 세기를 활용한 학습방법의 수적능력에 대한효과. 유아교육연구, 9, 117-134.
  77. 홍혜경.김영옥(2001). 유아사회교육과 수학교육의 통합적 접근을 위한 기초 연구. 유아교육연구, 21(1), 2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