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Estimation Activities on Operation and Measurement Abilities of Children

어림하기 활동이 유아의 수 연산과 측정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정정희 (경북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최효정 (포항대학 유아교육과) ;
  • 권미정 (중리초등학교 병설유치원)
  • Received : 2008.12.31
  • Accepted : 2009.01.16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stimation activities on children's operation and measurement abilities. Subjects were 60 five-year-old children. This experiment used the untreated control group design with pretest and posttest. Instruments used to collect data were the Number and Operation and Measurement tests part of the Test of Mathematics Ability for Young Children (TMAYC) developed by Hong, Lee and Chung (2006). ANCOVA was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of the posttest showed that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children's operation and measurement abilities than the control group. Results imply that an estimation program can be an effective teaching model for improving children's operation and measurement abilities.

Keywords

References

  1. 권영례.이영자.이정욱(1988). 3, 4, 5세 유아를 위한 수학교육과정 모델개발의 준거. 서울 : 창지사.
  2. 권점례(2002). 일상생활 문제를 통한 어림 학습 지도 방안. 청림수학교육, 10. 한국교원대학교 수학교육연구소.
  3. 권점례.신인선(1998) 어림 학습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확회지, 7, 273-285.
  4. 김병희(2006). 어림셈 학습지도를 통한 수 감각의 발달 : 초등학교 4학년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봉석(1992). 어림셈과 암산에 관한 고찰 청림수학교육, 2. 한국교원대학교 수학교육연구소.
  6. 김성희(1994). 초등학교 아동의 어림셈 능력과 전략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숙자(1992). 유아 수놀이 경험과 교육. 서울 : 양서원.
  8. 김숙자(1999). 유아 수학 교육의 과제와 방향. 1999년도 한국 유아교육학회 하기 워크숍. 5-23.
  9. 김숙자.김현정(2005). 유아 수놀이 교육. 서울 : 문음사.
  10. 김은정(2006) 문제해결에 기초한 유아 기하활동 구성 및 적용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김재현(1999). 어림 측정에 활용될 수 있는 벤치마크 개발에 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2. 김용대(1999). 1940년대 초등학교 5학년의 어림셈 지도 방법. 한국수학교육학회 수학교육논문집, 9, 177-186.
  13. 나귀옥(2002). 취학 전 유아의 수 및 연산의 기초개념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1), 83-113.
  14. 류승민(2006). 어림측정 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쿄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류희찬(1992).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개정 방향에 대한 소고. 청림수학교육, 2. 한국교원대학교 수학교육연구소, 64-65.
  16. 박승주(2007). 초동학교 고학년 아동들이 사용하는 어림측정 전략에 관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왼 석사학위논문.
  17. 박한식(1991). 한국수학교육사. 서울 :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8. 소현남(1996). 어림셈에 대한 초등학교 아동의 인식과 어림셈 전략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신은수(1997). 유아의 수량 어림하기 능력 발달에 관한 기초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논문집.
  20. 양리나(2003). 벤치마크전략을 통한 어림측정능력 신장 방안.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양승희.조인숙(2001). 유아기 측정 능력과 수학 개념 및 문제 해결 능력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길이, 면적, 부피에 관하여. 열린유아교육연구, 5(3), 103-122.
  22. 오재연.이지현(2004). 수어림하기 활동이 유아의 수 세기와 수표상에 마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9(1), 1-21.
  23. 이지현(1999). 유아 수교육 내용 및 방법에 관한 문화 심리적 고찰. 유아교육연구, 19(1), 111-131.
  24. 염연희(2005). 비표준 단위를 이용한 길이측정활동이 유아의 길이측청능력과 수학접근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전희영(2001). 유아의 측정능력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정재은(1996). 4, 5세 유아의 어림하기 능력에 관한 연구 : 수량, 길이, 면적에 관하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정귀향(1996). 국민학생들의 길이, 넓이 및 부피 측정 능력 평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정효남(1993). 어림셈 학습이 산수와 계산 능력과 학습 흥미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최효정.정정희(2007). 유아교사변인과 가정환경변인이 유아의 수개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7(4), 377-399.
  30. 홍혜경(1994). 유아 수학교육과정에 관한 비교적 고찰-한국, 미국, 구 소련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14(1), 221-237.
  31. 홍혜경(2004). 유아-초등 저학년의 연계적 수학교육과정을 위한 기초연구. 유아교육연구, 24(2), 289-310.
  32. 홍혜경.이정욱.정정희(2006). 유아 수학능력검사 도구개발. 유아교육연구. 26(5), 377-400.
  33. Baroody, J., & Coslick, Honald T. (2005). 수학의 힘을 길러주자 왜? 어떻게?. 권성룡.김남균.김수환.김용대.남승인.규성림.방정숙.신중식.이대현.이봉주.조완영.조정수(번역). 서울 : 경문사.
  34. Baroody, A. J., & Getzke, M. (1991). The estimation of set size by potentially gifted kindergarten-age childre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2(1), 59-68. https://doi.org/10.2307/749554
  35. Charesworth, R. (1996). Experience in math for young children. New York : Delmar Publish.
  36. Charesworth, R., & Lind, K. K. (1990). Math and science for young children. Albany, NY : Delmar.
  37. Harte, S. W., & Glover, M. J. (1993). Estimation is mathematical thinking. Arithmetic Teacher, 41, 75-77.
  38. Hughes, M. (1986). Children and Number. New York : Basil Blackwell.
  39. Gelman, R., & Gallistel, C. R. (1978). The children's understanding of number. Cambridge, MA : Harvard University Press.
  40. Siegler, R. S., & Booth, J. L. (2004). Development of Numerical Estimation in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75(2), 428-444.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4.00684.x
  41.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Mathematics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 NCTM.
  42.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Mathematics [NCTM] (1995). Assessment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 The Council.
  43. ational Council of Teachers Mathematics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 NCTM.
  44. Newman, R. S. (1984). Children's numerical skill and judgement of confidence in estim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37, 107-123. https://doi.org/10.1016/0022-0965(84)90061-4
  45. Newman, R. S., & Berger, C. F. (1984). Children's numerical estimation : Flexibility in the use of count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 55-64. https://doi.org/10.1037/0022-0663.76.1.55
  46. Reys, R. E. (1992). Research on computational estimation : What tens us and some questions that need to be addressed. Hiroshima Journal of Mathmaties Education. 1, 105-112.
  47. Reys, R. E., & Bestgen, J. B. (1981). Teaching and assessing computational estimation skill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2, 117-127.
  48. Reys, R. E., Bestgen, J. B., Rybolt, J. E, & Wyatt, J. W. (1982). Processes used by good computational estimator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3, 183-201. https://doi.org/10.2307/748555
  49. Reys, R. E., & Reys, R. E. (1986). Mental computation and computational estimation-Their time has come. Arithmetic Teacher, 33(7), 4-5.
  50. Smart, J, R. (1982). Estimation skill in mathematic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82, 642-649. https://doi.org/10.1111/j.1949-8594.1982.tb10072.x
  51. van den Heuvel-Panhuizen, M. (2001). Estimation. In M. Van den Heuvel-Panhuizen(Ed.) Children learn mathematics. A learning-teaching trajectory with intermediate attainment targets for calculation with whole numbers in primary school(173-202). Utrecht University, Netherlands : Freudenthal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