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권영례.이영자.이정욱(1988). 3, 4, 5세 유아를 위한 수학교육과정 모델개발의 준거. 서울 : 창지사.
- 권점례(2002). 일상생활 문제를 통한 어림 학습 지도 방안. 청림수학교육, 10. 한국교원대학교 수학교육연구소.
- 권점례.신인선(1998) 어림 학습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확회지, 7, 273-285.
- 김병희(2006). 어림셈 학습지도를 통한 수 감각의 발달 : 초등학교 4학년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봉석(1992). 어림셈과 암산에 관한 고찰 청림수학교육, 2. 한국교원대학교 수학교육연구소.
- 김성희(1994). 초등학교 아동의 어림셈 능력과 전략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숙자(1992). 유아 수놀이 경험과 교육. 서울 : 양서원.
- 김숙자(1999). 유아 수학 교육의 과제와 방향. 1999년도 한국 유아교육학회 하기 워크숍. 5-23.
- 김숙자.김현정(2005). 유아 수놀이 교육. 서울 : 문음사.
- 김은정(2006) 문제해결에 기초한 유아 기하활동 구성 및 적용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김재현(1999). 어림 측정에 활용될 수 있는 벤치마크 개발에 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 김용대(1999). 1940년대 초등학교 5학년의 어림셈 지도 방법. 한국수학교육학회 수학교육논문집, 9, 177-186.
- 나귀옥(2002). 취학 전 유아의 수 및 연산의 기초개념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1), 83-113.
- 류승민(2006). 어림측정 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쿄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류희찬(1992).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개정 방향에 대한 소고. 청림수학교육, 2. 한국교원대학교 수학교육연구소, 64-65.
- 박승주(2007). 초동학교 고학년 아동들이 사용하는 어림측정 전략에 관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왼 석사학위논문.
- 박한식(1991). 한국수학교육사. 서울 : 대한교과서주식회사.
- 소현남(1996). 어림셈에 대한 초등학교 아동의 인식과 어림셈 전략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신은수(1997). 유아의 수량 어림하기 능력 발달에 관한 기초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논문집.
- 양리나(2003). 벤치마크전략을 통한 어림측정능력 신장 방안.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양승희.조인숙(2001). 유아기 측정 능력과 수학 개념 및 문제 해결 능력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길이, 면적, 부피에 관하여. 열린유아교육연구, 5(3), 103-122.
- 오재연.이지현(2004). 수어림하기 활동이 유아의 수 세기와 수표상에 마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9(1), 1-21.
- 이지현(1999). 유아 수교육 내용 및 방법에 관한 문화 심리적 고찰. 유아교육연구, 19(1), 111-131.
- 염연희(2005). 비표준 단위를 이용한 길이측정활동이 유아의 길이측청능력과 수학접근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전희영(2001). 유아의 측정능력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정재은(1996). 4, 5세 유아의 어림하기 능력에 관한 연구 : 수량, 길이, 면적에 관하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귀향(1996). 국민학생들의 길이, 넓이 및 부피 측정 능력 평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효남(1993). 어림셈 학습이 산수와 계산 능력과 학습 흥미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효정.정정희(2007). 유아교사변인과 가정환경변인이 유아의 수개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7(4), 377-399.
- 홍혜경(1994). 유아 수학교육과정에 관한 비교적 고찰-한국, 미국, 구 소련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14(1), 221-237.
- 홍혜경(2004). 유아-초등 저학년의 연계적 수학교육과정을 위한 기초연구. 유아교육연구, 24(2), 289-310.
- 홍혜경.이정욱.정정희(2006). 유아 수학능력검사 도구개발. 유아교육연구. 26(5), 377-400.
- Baroody, J., & Coslick, Honald T. (2005). 수학의 힘을 길러주자 왜? 어떻게?. 권성룡.김남균.김수환.김용대.남승인.규성림.방정숙.신중식.이대현.이봉주.조완영.조정수(번역). 서울 : 경문사.
- Baroody, A. J., & Getzke, M. (1991). The estimation of set size by potentially gifted kindergarten-age childre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2(1), 59-68. https://doi.org/10.2307/749554
- Charesworth, R. (1996). Experience in math for young children. New York : Delmar Publish.
- Charesworth, R., & Lind, K. K. (1990). Math and science for young children. Albany, NY : Delmar.
- Harte, S. W., & Glover, M. J. (1993). Estimation is mathematical thinking. Arithmetic Teacher, 41, 75-77.
- Hughes, M. (1986). Children and Number. New York : Basil Blackwell.
- Gelman, R., & Gallistel, C. R. (1978). The children's understanding of number. Cambridge, MA : Harvard University Press.
- Siegler, R. S., & Booth, J. L. (2004). Development of Numerical Estimation in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75(2), 428-444.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4.00684.x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Mathematics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 NCTM.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Mathematics [NCTM] (1995). Assessment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 The Council.
- ational Council of Teachers Mathematics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 NCTM.
- Newman, R. S. (1984). Children's numerical skill and judgement of confidence in estim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37, 107-123. https://doi.org/10.1016/0022-0965(84)90061-4
- Newman, R. S., & Berger, C. F. (1984). Children's numerical estimation : Flexibility in the use of count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 55-64. https://doi.org/10.1037/0022-0663.76.1.55
- Reys, R. E. (1992). Research on computational estimation : What tens us and some questions that need to be addressed. Hiroshima Journal of Mathmaties Education. 1, 105-112.
- Reys, R. E., & Bestgen, J. B. (1981). Teaching and assessing computational estimation skill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2, 117-127.
- Reys, R. E., Bestgen, J. B., Rybolt, J. E, & Wyatt, J. W. (1982). Processes used by good computational estimator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3, 183-201. https://doi.org/10.2307/748555
- Reys, R. E., & Reys, R. E. (1986). Mental computation and computational estimation-Their time has come. Arithmetic Teacher, 33(7), 4-5.
- Smart, J, R. (1982). Estimation skill in mathematic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82, 642-649. https://doi.org/10.1111/j.1949-8594.1982.tb10072.x
- van den Heuvel-Panhuizen, M. (2001). Estimation. In M. Van den Heuvel-Panhuizen(Ed.) Children learn mathematics. A learning-teaching trajectory with intermediate attainment targets for calculation with whole numbers in primary school(173-202). Utrecht University, Netherlands : Freudenthal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