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raxis" which are Perceived by Elementary Students on Practical Arts Education

초등학생들의 생활과 연계된 실과교과의 실천성 연구

  • Byun, Hyo-Jun (Home Econom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Youhyeon Elementary School) ;
  • Lee, Ki-Young (Department of Consumer & Child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Soo-Hee (Home Econom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변효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가정교육전공.서울유현초등학교) ;
  • 이기영 (서울대학교 소비자아동학부) ;
  • 이수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가정교육전공)
  • Published : 2009.10.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actical problems that 6th grade students are facing, how they perceiv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praxi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relating to the problems, and whether the content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is useful for solving practical problems of 6th grade student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and include in-depth interviews in order to make up for the quantitative research.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garded Practical Arts education as the subject matter through which they learn skills of life. They thought it is useful to their present and future life and to nurture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Furthermo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 that the meaning of practice in Practical Arts education lies not in praxis as practical action, but in just practice as technical action. 2. According to the survey based on their perception and their practical problems, 66.9% of students answered the learning content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s not useful in solving their problems. And only 33.4% of students answered the learning content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s useful in solving their problems. Negative view was predominan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does not reflect much of the practical problems that 6th grade students face. Through these results, Practical Arts education turns out to be hardly related with students' life, though it is the subject matter of students' real life.

Keywords

References

  1. 강대석(2001). 하버마스와 실천의 문제. 문예미학, 8(1), 249-262
  2. 곽상만(2000). 실과교육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한국실과교육학회 학술대회집, 3-12
  3. 교육부(1997).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서울: (주)대한교과서
  4. 교육부(199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 서울: (주)대한교과서
  5. 교육인적자원부(2007).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제2007-79호. 서울: (주)대한교과서
  6. 김경미(1993). 우리나라 가정학 본질 규명에 관련된 근본 개념들에 관한 분석적 연구. 이화교육논총, 4, 171-191
  7. 김기수(1997).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지혜와 교육의 실제. 교육철학, 17, 9-27
  8. 김영나(2003). 여자중학생의 당면문제에 대한 가정교과의 실천성.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영희(1996). 비판과학으로서의 가정학 개념의 재정립과 가정학 교육의 방향. 대한가정학회지, 34(6), 343-344
  10. 김용익(2002). 중학교 학생들에게 형성되어 있는 실과교과의 이미지. 한국농업교육학회지, 34(4), 97-116
  11. 김재복, 이경환, 허경철(1999).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서울: 교육과학사
  12. 김재호(2006). 초등학생의 가족체계와 자기 효능감 및 진로 태도 성숙의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김지선(1996). 학업성적과 자아개념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김진순(1990). 초.중등학교 기술교과 교육내용의 계열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5. 김태오(1991). Habermas의 Praxis 이론과 그 교육실천적 논의. 교육철학, 9, 151-168
  16. 김항아, 유태명(1995). 우리나라 가정학의 당면 문제점과 그 역사적.철학적 배경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3(1), 1-18
  17. 김혜자, 이은희(2001). 초등 실과 가정영역의 과거, 현재, 미래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4(2), 71-95
  18. 박미정(2006). 가정과교육의 미래 발전 전략 탐색: 정체성과 임파워먼트 및 비전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 백광희, 김영희(2003).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가정 영역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6(1), 119-133
  20. 양정혜(2006). 실과교육과정의 교육내용선정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9(1), 115-126
  21. 어성연(2006). Quality of life : Another Approach to curriculum Development in Practical Arts Education.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8(2), 205-219
  22. 유태명(1992). 교육과정의 국제적 비교-가정과 교육 방향의 재조명을 위한 가정학 철학 정립의 중대성. 한국가정과교육학회 92년도 제 4차 학술대회집, 43-59
  23. 유태명(2007).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론에 기초한 가정과교육에서의 실천 개념 고찰을 위한 시론( I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9(2), 13-34
  24. 유태명, 장혜경, 김주연, 김항아, 김효순(2004). 실천적 가정과 수업 I. 서울: 신광출판사
  25. 윤지현(2000). '생활양식'의 고찰을 통한 실과 교육 목적의 재개념화.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3(1), 143-168
  26. 이무근(1998). 초등 실과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탐색.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1(1), 345-356
  27. 이수희(1999). 중등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재개념주의 관점에 기초한 통합 교육과정 모형 개발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8. 이수희(2007). 선진국 가정과 교육과정 동향 및 개정 교육과정 운영의 내실화 방안. 시.도 교육청 교육과정 핵심 요원 연수 자료집, 23-38
  29. 이연숙(2005).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가정교과의 대안적 모형에 대한 토론.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대회집, 75-93
  30. 이영세, 김양희(1997). 가정학이 추구하는 가정의 안녕과 복지의 개념에 대한 연구- 비판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2), 185-200
  31. 이학주(1987). 실천의 의미와 교육. 인천교육대학교 논문집. 343-365
  32. 이학주(1989). 실천적 행위의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 마르크스와 듀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3. 장선철, 송미현(2004). 고등학생의 외모 만족도와 자아 존중감 및 학교 적응의 관계. 청소년학 연구, 11(3), 115-133
  34. 정모근(1995). 노작교육의 원리와 교육적 가치. 부산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 6, 205-229
  35. 정업식(2008). 자기관리 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학업성취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백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정희욱(2003). 초.중.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와의 관계: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청소년학 연구, 10(4), 443-458
  37. 조경원, 김경자, 김선숙(2000). 창조적 지식 기반 사회의 교육과정 개발 연구를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실태 조사. 교육과학연구, 31(2), 1-505
  38. 조붕환(2006). 초등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아동교육, 15(3), 5-21
  39. 조용환(1999). 질적 연구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40. 조학래(1997).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사회복지연구, 4, 186-210
  41. 채정현, 박미정, 김성교, 유난숙, 유미숙, 김성희(2006). 교실속에 들어간 따뜻한 부모준비 교육. 서울: 교문사
  42. 천민필(1993). 국민학교 아동의 스트레스 요인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최동규, 최정혜(1999). 실과 교육에 대한 교사 및 행정가의 인식과 지원방향. 한국실과교육학회 1999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97-316
  44. 최유현(1996). 초등 실과 교육의 정체성과 정당성에 관한 이론적 탐색. 한국실과교육학회지, 9(2), 475-504
  45. 최유현(2001). 실과교육학. 서울: 형설출판사
  46. 최유현, 이정진, 조순기, 송정연(2000). 초등학교 아동 및 교사들의 실과 수업에 대한 인식. 한국 실과 교육학회 2000년도 정기 학술 발표대회 논문집, 113-137
  47. 최정혜(1997). 초등 실과교육의 정체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0(1) 63-76
  48. 한미현, 유안진(1995). 한국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3(4) 49-64
  49. 한종혜, 박성옥, 이영환(1997). 친구, 가족, 교사의 사회적 지지 및 자아가치감에 따른 아동의 스트레스. 한국생활과학회지, 6(1), 15-27
  50. Brown, M. M.(1980). What is Home Economics Education. Minnesota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51. Brown, M. M., & Paolucci, B.(1979). Home Economics: A Definition, Alexandria, VA: Americ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52. Spradley, J. P.(2003). The Ethnographic Interview.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문화기술적 면접법. 박종흡(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1979년 원저발간)
  53. Tashakkori, A., & Teddlie, C.(2001). MIXED METHODOLOGY: Combin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London: Sage Publication. 통합연구 방법론-질적.양적 접근 방법의 통합. 염시창(역). 서울: 학지사. (1998년 원저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