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Salted Seafood in Korean Women

우리나라 주부들의 젓갈에 대한 인식 및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 Kim, Ji-Eun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
  • Kim, Jung-Hyun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
  • Jung, In-Kyung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 김지은 (중앙대학교 가정교육과) ;
  • 김정현 (중앙대학교 가정교육과) ;
  • 정인경 (중앙대학교 가정교육과)
  • Published : 2009.07.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salted seafood in Korean women. We also asked them about their opinions on how to increase the production range of popular salted seafood. Data were collected from 1,137 women and were analyzed with SAS 9.1 program. Women aged between 40 and 59 had higher positive perception of salted seafood than women aged between 20 and 39. The older age group (i.e. 40 to 59) believed that the production of salted seafood, such as like as Kimchi and soy sauce, should be globalized because of their taste and nutritional value. However, the younger age group (i.e. 20 to 39) had negative perceptions of salted seafood because of their unhygienic production and excess amount of salt. Women aged 50 and over used salted seafood frequently as a side dish or seasoning to make Kimchi, stew, or soup. The younger age group preferred to purchase a small package (200g or less) of salted seafoods from the grocery store instead of preparing it themselves. When purchasing salted seafood, they considered the taste, manufacturer, and expiration date. Finally, all interviewees agreed on the importance of salted seafood as part of traditional Korean cuisine, and wanted to see further local development. However, manufacturing and packaging processes need to be standardized, and hygiene and nutritional contents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achieve good quality local production. To succeed and develop high quality salted seafood, younger consumers need to be enticed with better nutritional value, taste, and hygienic production. Furthermore, the production range of popular salted seafood needs to be expanded beyond Kimchi and Soy Sauce. Hence new recipes are needed.

Keywords

References

  1. 강이주, 이두련(2001). 김치의 상품화로 전통 소비문화를 선도한 두산 종가집의 성공요인과 향후 과제. 소비문화연구, 4(3), 163-185
  2. 구난숙(1997a). 대전지역 주부들의 한국발효식품 소비실태.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6(4), 714-725
  3. 구난숙(1997b). 시판 전통발효식품에 대한 대전지역 소비자들의 반응 및 구입현황. 지역사회영양학회지, 2(3), 388-395
  4. 김미경(1988). 우리나라 일부지역의 젓갈관리에 관한 조사 연구. 윤서석박사 정년 퇴직기념논집, 141-162
  5. 김영명(2008). 젓갈류 산업의 현황과 전망. 식품과학과 산업, 41(4), 16-33
  6. 김은미, 김영명, 조진호, 우순자(1998). 젓갈 및 수산물 첨가 김치에 대한 주부의 기호도 및 의식조사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3(1), 19-26
  7. 도순덕, 이영미, 장학길(1993). 지역별 젓갈의 이용도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9(3), 222-229
  8. 박영호(1996). 수산식품 가공학. 서울: 형설출판사
  9. 박진선(2000). 대형할인점, 가격할인 치중보다 매장 특성에 따른 서비스 개선에 힘써야. 서울: 월간소비자. www.consumer.co.kr
  10. 방도혁(2006). 우수농산물관리제도 활성화대책 및 실천사례 조사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안선정(2006). 서울과 대전 지역 주부의 지역김치에 대한 인식과 소비 실태 조사. 한국조리학회지, 12(4), 199-212
  12. 안성기(1995). 젓갈의 생산과 이용 및 전망. 한국조리과학회지, 11(4), 426-435
  13. 윤계숙(1995). 전통 밑반찬의 인지도와 이용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I-장아찌류-.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0, 457
  14. 윤서석(1974). 한국식품사 연구. 서울: 신광출판사
  15. 윤숙자, 황수정(2005). 서울지역 주부들의 김치에 대한 인지도 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4), 405-415
  16. 이동필(2006). 전통 우리술의 세계화를 위한 정책과제. 식품산업과 영양, 11(2), 1-9
  17. 이서래, 전향숙(1988). 한국고유의 발효식품에 관한 연구 - 발효식품의 소비 실태 및 미래예측-. 한국음식문화연구원논총 1, 137
  18. 이성우(1986). 고려이전의 한국식생활사 연구. 서울: 향문사
  19. 이원동(2001). 한국젓갈의 현황과 현대화 과제. 식품산업과 영양, 6(3), 23-27
  20. 이응호, 차용준(1985). 저식염 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6.저식염 멸치젓 및 조기젓의 정미성분. 한국수산학회지, 18(4), 325-332
  21. 장지현(1986). 우리나라 전래의 양념류. 한국조리과학회지, 2(2), 87-94
  22. 조연숙, 홍상욱, 한재숙(1988). 전통음식에 관한 도시 주부들의 외식조사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3(3), 281-292
  23. 통계청(1995). 한국 통계월보. 서울: 통계청
  24. 통계청(2005). 보도자료 - 2005 인구주택총조사 잠정집계결과. 서울: 통계청
  25. 한국식품과학회(1992). 식품연구 문헌 총람(I). 서울: 한국식품과학회
  26. 한국식품과학회(1992). 식품연구 문헌 총람(II). 서울: 한국식품과학회
  27. Cha, Y. J.(1992). Volatile Flavor Component in Korean Salt-Fermented Anchov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3), 719-718
  28. Mori, K. S.(1984). The ripening process of food. Korin Ltd, Tokyo: 631
  29. Shank, F. R., Larsen. L., Scarbrough. F. E., Vanderveen, J. E., & Forbes, A. L.(1983). FDA perspective on sodium. Food Technology, 37(7). 73-77
  30. Shank, F. R., Park, Y. K., Harland, B. F., Vanderveen. J. E., Forbes, A. L., & Prosky, L.(1982). Perspective of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on Dietary sodium.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80(1), 2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