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Clothing Image and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of Middle Aged Women

중년여성의 의복이미지와 의복쇼핑성향의 관계 연구

  • Ryoo, Sook-Hee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Keimyung University) ;
  • Shin, Soo-Ray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Keimyung University)
  • 류숙희 (계명대학교 패션 디자인학과) ;
  • 신수래 (계명대학교 패션 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9.04.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clothing image and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of middle aged women. For this purpose, the subjects of 300 adult women from in their 40’s to 50’s, living in Daegu area were sampled out by convenient sampling method. The result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1)a factor analysis identified six different types of clothing image: classy, bold, plain, feminine, casual, and peculiar. 2)five different types of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were identified: conspicuous, conformable, hedonic, uniqueness conscious, and quality conscious. 3)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clothing images affected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of middle aged women. This meant that significant relationships existed among these variables and there wa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image and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자(1986). 한국과 미국 여대생의 가치관과 의복선택행동에 관한 비교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4(3), 32-42
  2. 구자명, 이명희(1999). 성인여성의 가치의식과 의복쇼핑성향 및 의복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3), 459-470
  3. 김세희(2003). 의복 쇼핑 성향의 개념적 구조 규명과 측정 도구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김소영(1994). 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과 점포애고행동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완석, 유연재(2003). 한국판 소비자 독특성 욕구척도(KCNIFU): 척도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4(1), 79-101
  6. 김유덕, 김미영(2004). 중·노년층 여성의 의복추구 이미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6), 746-757
  7. 김은애(1992). 가치관과 의복이미지 및 의복디자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철민(1996). 한국인의 가치관과 소비 행동의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김현주(1996). 의복스타일 이미지 선호와 자기이미지와의 관계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류숙희, 김보연(2002). 라이프스타일이 의복스타일 이미지 평가와 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6(2), 227-238
  11. 류현주(2001). 성인여성의 자기 이미지와 쇼핑성향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문미아, 박혜선(2002). 남자 중·고등학생의 자기이미지와 의복추구이미지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5), 748-759
  13. 민동원(1999). 의복의 상징적 소비에 관한 질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박광희(1997).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소비자의 유형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1(1), 10-18
  15. 박광희(2000). 소비자의 가치와 의복쇼핑성향과의 관계 연구. 소비자연구, 11(1), 49-58
  16. 박혜선(1991). 의복동조에 관한 연구 : 의복동조동기의 유형, 관련변인 및 준거집단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7. 배현숙(1999). 노년층 여성의 의복 자아이미지와 의복구매유형 및 선호디자인과의 관계.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서은희(1995). 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 충남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19. 신수래(2008). 중년여성의 가치관과 의복이미지의 관계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6(5), 111-121
  20. 신수아(1998). 백화점 카드소지자의 의복구매행동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신수연(1999). 여대생들의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점포속성중요도, 정보원의 이용, 자기이미지의 차이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7(6), 54-67
  22. 심정희(2006). 중년 여성의 자기 이미지 유형화에 따른 의복이미지 평가와 선호. 한국의류학회지, 30(11), 1608-1617
  23. 유명의(1993). 의복의 과시적 소비현상과 사회계층과의 관계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4. 유 희(1995). 소비자의 가치의식과 의류제품평가.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이명희, 김현주(1997). 의복스타일 이미지 선호와 자기이미지와의 관계 연구. 복식, 33, 41-53
  26. 이명희, 유경숙(1998). 외향성-내향성, 성별 및 연령과 의복이미지 선호에 관한 연구. 대학가정학회지, 36(12), 105-114
  27. 이미아(2005). 독신 여성의 독립주의 성향이 소비가치와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28. 이미용(1991). 과시소비 영향요인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9. 이선재(1987). 한국여성의 가치관과 의복디자인 선호도와의 상관성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1(1), 29-42
  30. 이숙희, 임숙자(2003). 선호 의복이미지와 편익에 의한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7(1), 100-110
  31. 이은영(1998). 복식의장학. 서울: 교문사
  32. 이은영(1999). 패션마케팅. 서울: 교문사
  33. 임경복(2001). 소비자의 가치체계가 의복관여도와 쇼핑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7), 1321-1331
  34. 임경복(2007). 소비자의 가치체계가 추구 의복 이미지와 의복 소비 가치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5(5), 810-824
  35. 임숙자(1992). 여대생의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 의복행동변인과 사회심리 변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6. 정미실(1991). 규범적 및 정보적 영향에 의한 의복동조성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7. 정인희(1992). 의복이미지의 구성요인, 계층구조 및 평가차원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정인희(2001). 여자 대학생의 의복 추구 이미지와 소재 선호에 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9(4), 629-638
  39. 정인희, 이은영(1996). 의복과 자기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20(1), 207- 217
  40. 최수현(1996). 미혼여성의 가치관과 의복쇼핑성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1. Babin, B. J., Darden, W. R., & Griffin, M.(1994).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Jounal of Consumer Research, 20, 644-656 https://doi.org/10.1086/209376
  42. Darden, W. R., & Howell, R. D.(1987). Socialization effects of retail work experience on shopping orientation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5(3), 52-63 https://doi.org/10.1007/BF02722171
  43. Eckman, D. M., & Kadolph. S. J.(1990).Toward a model of the instore purchase decision process: Consumer use of criteria for evaluation women's apparel.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8, 13-22 https://doi.org/10.1177/0887302X9000800202
  44. Gutman, J.(1982). A Mean-end Chain Model based on consumer categorization processes, Journal of Marketing, 46(spring), 60-72 https://doi.org/10.2307/3203341
  45. Hawkins, D. L., Best, R. J., & Coney, K. A.(1989). Consumer Behavior(4th ed.). Homewood, IL: Irwin Inc
  46. Howard, J.(1977). Consumer behavior applicatios and theory. New York, NY: McGraw-Hill Book Company
  47. Howell, R. D.(1979). A multivariate examination of a patronage model: The impact of values and life style on shopping orient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isty of Arkansas
  48. Lynn, M., & Harris, J.(1997). The Desire for Unique Consumer Products: A New Individual Differences Scale. Psychology & Marketing, 14, 601-616 https://doi.org/10.1002/(SICI)1520-6793(199709)14:6<601::AID-MAR5>3.0.CO;2-B
  49. McDavid, J. W., & Harari, H.(1974). Psychology and social behavior. New york: Haper & Row
  50. Shim, S., & Kotsiopulos, A.(1992). Patronage behavior of apprarel shopping: Part I. Shopping orientation, store attributes, information sourc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0(2), 45-57 https://doi.org/10.1177/0887302X9201000208
  51. Sproles, G. B., & Kendall, E.(1986). A Methodology for profiling consumer's decision-making styles. Jounal of Consumer Affairs, 20, 267-279 https://doi.org/10.1111/j.1745-6606.1986.tb00382.x
  52. Vinson, D. E., Scott, J. E., & Lamont, L. M.(1977). The role of personal values in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41(April), 44-50
  53. Westbrook, R. A., & Black, W. C.(1985). A motivation based shopper typology. Journal of Retailing, 61(1), 79-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