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the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a Teaching and Learning Curriculum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Self-Identity: With a Focus on the 'Self-Identity Development' Units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자아정체감 형성을 돕는 교수 - 학습 과정안 개발과 수업 적용 효과 :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교과'자아정체감의 발달'영역을 중심으로

  • Lee, Hyun-Jung (Kyongpo Girls’ Middle School) ;
  • Cho, Byung-Eun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Published : 2009.04.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a teaching and learning curriculum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self-identity, one of the most important developmental tasks during adolescence, and its effectiveness. This research analyzed the contents concerning self-identity and its subordinate concepts in 12 different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7th graders. Based on the analysis, a teaching and learning curriculum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s’' self-identity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classes through discretional creative activities.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um was analyzed by conducting a survey on the students before and after its application. Assessments were also conducted on the lessons applied. As a result, the lessons designed to help the development of self-identity increased the scores of self-identity, as well as all subordinate concepts, including subjectivity, self-acceptance, future planning, intimacy, stability and uniqueness. An ANCOVA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enhanced results of the survey after the classes were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the classes proved helpful to the students as the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remained effective even after the other influencing factors affecting selfidentity were controlled.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1997). 실과(기술.가정)교육과정
  2. 교육인적자원부(2007).실과(기술.가정)교육과정
  3. 구창모(2004). 청소년의 여가활동유형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3(5), 91-100
  4. 구창모(2005). 체육계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4(1), 57-66
  5. 김사엽(2003). 청소년의 여가스포츠활동 참가에 따른 인지된 자유감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6(2), 497-511
  6. 김성일, 김남희(2001).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의사소통유형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발달, 14(1), 75-89
  7. 김영애(1990). 모-자년간 커뮤니케이션 형태가 청소년의 사회성 및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8. 김형태(1986). 청소년기 자아정체감의 발달 및 측정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민하영, 권기남(2004). 저소득층 아동의 학교적응: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정체감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5(2), 81-92
  10. 민수진, 최웅재, 김성훈(2003). 중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체육학회지, 13(1), 21-28
  11. 민하영, 권기남(2004). 저소득층 아동의 학교적응: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정체감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5(2), 81-92
  12. 민하영, 김경화, 이영미(2007). 남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대한 성지식과 성가치관의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6(1), 39-47 https://doi.org/10.5934/KJHE.2007.16.1.039
  13. 박아청(2003). '한국형 자아정체감검사'의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17(3), 73-392
  14. 박아청(2004). 청년기 자아정체감의 발달단계의 특성분석. 교육심리연구, 18(1), 301-312
  15. 박아청, 이승국(2000). 청소년의 성과 연령에 따라 자아정체감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들의 구조분석. 교육학논총, 20(2), 255-282
  16. 박장희, 정옥분(2002). 복합순환모델에 의한 가족체계유형과 청년기 자아정체감발달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0(10), 49-63.
  17. 서봉연(1975). 자아정체감 형성에 관한 심리학적 일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서봉연(1986).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확립. 한국아동학회 86년 추계심포지움
  19. 송설희(1993). 가족유형과 지각된 부모의 수용-거부가 청소년의 자아정체 감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유안진, 민하영(2001). 시설보호아동의 자아정체감 및 내적인 통제소재와 보육사가 평가한 행동문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19(2), 97-109
  21. 유지연(1998). 정신장애인 가족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윤명숙(1989). 중학생의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이강이(2002). 가정의 소득수준과 지각된 부모의 양육행동 및 학령기 아동의 자아정체감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0(10), 65-76
  24. 이억범, 김연희(2004). 대학생의 다중지능, 학교환경, 자아정체감 및 진로결정수준 간의 인과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39-53
  25. 이차선(1999).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변인 분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6. 이현림, 천미숙(2003).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분석. 청소년학연구, 10(4), 511-541
  27. 정원식(1974). 비행청소년의 자아구조 및 가정환경에 관한 연구. 학생지도연구, 7(1), 1-12
  28. 조학래(1996).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9. 최성열(2001).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정체감간의 관계. 아동교육, 10(1), 119-132
  30. 한세영(2005). 청소년 자아정체감 발달의 최근 국내연구동향과 전망. 생활과학연구논총, 9(1), 31-43
  31. 홍성애(1988). 가정환경과 가족체제 상호작용 유형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Erikson, E. H.(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Y: Norton
  33. Marcia, J. E.(196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go identity statu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1-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