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Worker Status Change Type of the Household Heads on Household Income Since Korean Financial Crisis-excel

외환위기 이후 가구주의 종사상지위 변화유형이 가계소득증감여부에 미치는 영향

  • Yoon, Jung-Hai (Department of Consumer and Child Studies, Inha University) ;
  • Song, Hyun-Ju (Department of Consumer and Child Studies, Inha University)
  • 윤정혜 (인하대학교 소비자아동학과) ;
  • 송현주 (인하대학교 소비자아동학과)
  • Published : 2009.12.0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household head’s worker status change type on household income and household head’s income using a total combined sample of 2,578 households from Korea surveyed in 1998 and 2002 KLIPS(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Binary logit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household incomes were likely to decrease significantly when household head’s changed worker status from a regular employee, a temporary employee or a daily worker, or an employer or a self-employed to no job status, or from a regular employee to a temporary employee or a daily worker, an employer or a self-employed, or from an employer or a self-employed to a regular employee compared to a regular employee status maintenance. In contrast, household head’s incomes were likely to increase significantly when household head’s changed worker status from a temporary to a regular employee compared to a regular employee status maintenance. Women household head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ikelihood of the decrease of household head’s income compared to men household heads. Household heads beyond their forti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ikelihood of the decrease of household head’s income compared to household heads in their thirties age-group counterparts. Household heads with education level beyond high school gradua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ikelihood of the increase of household head’s income compared to household heads with the education level of high school graduation. This study shows that a more comprehesive labor policy is needed for achieving sustainable household income inflow.

Keywords

References

  1. 강이주, 성영애(1999). 가계소득감소 경험여부가 가계의 경제적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연구, 10(2), 71-83
  2. 구인회(2002). 빈곤층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빈곤이행: 경제 위기 이후의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48, 82-112
  3. 김지경, 조유현(2003). 젊은 여성의 첫 출산 후 노동시장 복귀에 관한 분석. 노동경제논집, 26(3), 181-207
  4. 김양희, 곽인숙, 윤정혜, 이승미, 정현숙, 최규련 외(1999). 가장의 실직 전 직업유형에 따른 실직가정의 생활실태와 대처방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2), 93-104
  5. 성영애(2003). 가구주 직업에 따른 연령별 가계재무구조의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1(1), 39-58
  6. 성영애(2006). 패널자료를 이용한 가계부채 변동 관련 요인 분석. 소비자학연구, 17(4), 39-60
  7. 성영애(2008). 패널자료를 이용한 가계적자탈출과 진입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19(2), 115-134
  8. 소연경(2000). 도시가계의 소득계층별 소비지출구조 분석-IMF 이전과 이후 비교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8(12), 1-14
  9. 양세정(2002). 경제위기상황에서의 소득감소에 따른 가계 경제구조 대응행태 고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6), 81-93
  10. 유길상, 어수봉, 정인수, 강순희, 금재호, 김재구 외(1998). 고실업시대의 실업대책. 한국노동연구원 연구보고서
  11. 윤정혜, 성영애(1998). 한.일.미가계의 소비구조 비교를 통한 한국가계의 소비표준 설정 방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3), 155-168
  12. 윤진호(1990). 한국의 불안정취업층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윤진호(1998). IMF시대의 노동시장과 고용위기의 극복방안. 황해문화, 18, 46-71. 새얼문화재단
  14. 윤진호(2002). IMF경제위기와 인천지역 노동시장의 변화, 경상논집 16(2), 인하대학교 산업경제연구원
  15. 이성균(2001). 경제 위기와 노동시장 지위변동: 계급적 지위와 종사상 지위를 중심으로. 산업노동연구, 7(2), 67-96
  16. 이성림(2009). 경제위기 전후 가계경제의 변화와 진단. 경제 환경 변화에 따른 소비자교육의 방향, 공정거래위원회, (사)한국소비자교육지원센터 정기심포지엄, 37-64
  17. 장지연(2001). 비정규직 노동의 실태와 쟁점: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2001년 가을호 통권 51호, 68-96
  18. 채구묵(2002). IMF 경제위기 이후 비정규근로자의 증가원인 분석 및 과제. 한국사회학, 36(5), 143-169
  19. 최현수(2002). 경제위기 이후 도시노동자가구의 빈곤역동성 및 빈곤기간 연구. 보건사회연구 22(1), 37-67
  20. 통계청(1997-1999). 경제활동인구조사 1997-1999
  21. http://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Search.jsp?idx_cd=1063&stts_cd=106301&clas_div=C&idx_sys_cd=&idx_clas_cd=1
  22. 한국노동연구원(2005). 한국노동패널 1-6차년도 조사자료 Code 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