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nderstanding on the Fossiliz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화석 형성 과정에 대한 중학생들의 이해

  • Hwang, Koo-Geun (Branch school of Geom un Middle School) ;
  • Cho, Kyu-Seong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l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Huh, Min (Faculty of Earth Systems and Environmantal Sciences and Korea Dinosaur Research Center,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황구근 (거문중초도분교) ;
  • 조규성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 ;
  • 허민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한국공룡연구센터)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Experiments to explain fossilization have been introduc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Most of them have explained the processes by the mold and cast formed by imprint of bivalve or leaf. The processes explained in the textbooks are more similar to that of trace fossil than body fossil, because the external molds from experiment are imprints after the model was taken off. However fossils of the figures in the textbooks are mostly body fossils. Therefore, the students may be willing to equate the experiment process with the fossilization of the body fossils. The misconceptions were confirmed in this study by the questionnaire which asked 9th grade students on this subject. Many students thought that the body fossils were fossilized imprints and the fossils of terrestrial organism were formed on land without transportation, that is, they did not understand well about biostratinomy and crustal movement. The misconception about the environment in which fossils formed was already reported in a survey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has not revised until ninth grade. Therefore, to remove the misconception related to the fossilization, the fossil models in the experiments may be replaced by trace fossils, or new experiments for body fossil should be designed.

초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생물의 화석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화석 만들기 실험이 소개되어 있다. 대부분의 실험들은 조개나 잎을 이용하여 몰드와 캐스트를 만드는 실험으로 생물체가 빠져나간 후 흔적이 화석화되는 생흔 화석의 형성 과정과 유사하게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교과서에 제시된 대다수의 화석 자료들은 사체가 속성 작용을 겪은 후 보존되는 실체 화석으로 학생들은 이 실체 화석의 화석화 과정을 실험 과정과 동일시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오개념은 9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 확인할 수 있었는데 그 결과 다수의 학생들이 실체 화석을 생흔 화석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육상 생물들이 사체의 이동 없이 육상에서 화석화된다고 생각하여 화석의 퇴적 과정과 지각 변동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화석화 과정에 대한 오개념은 이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확인된 바 있는데 이번 연구 결과 이 오개념이 9학년 학생까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화석화 과정과 관련된 오개념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실험에 사용되는 모델을 생흔 화석으로 바꾸거나 실체 화석의 화석화 과정을 위한 새로운 실험 과정이 설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만식, 정창희, 이원식, 한인섭, 박은호, 이창진, 김일희, 장병기, 정병훈, 윤용, 이태욱, 한천옥, 2001, 중학교 과학 2. 교학사, 서울, 287 p
  2. 교육부, 2002, 초등학교 자연과 교과서(4-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서울, 96 p
  3. 김정률, 고현덕, 김재현, 김남일, 임용우, 동효관, 김선주, 남철주, 김영순, 이준용, 2001, 중학교 과학2. 블랙박스, 경기도, 272 p
  4. 김정률, 이정선, 1999, 지구과학교사와 고등학생들의 화석에 대한 흥미도와 이해도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0, 143-150
  5. 김찬종, 김희백, 박시진, 오차환, 양재철, 장흥식, 정진문, 조현수, 최후남, 한송희, 현종오, 홍경희, 김명수, 2001, 중학교 과학 2. 디딤돌, 경기도, 292 p
  6. 박봉상, 김윤우, 홍달식, 박문수, 정대영, 심국석, 심중섭, 최진복, 장정찬, 최병수, 진만식, 2001, 중학교 과학 2. 동화사, 서울, 296 p
  7. 배영부, 이유미, 2000, 구성주의 관점에 의한 자연과 '지층과 화석' 단원의 교수-학습. 한국지구과학회지, 21, 219-229
  8. 백광석, 양승영, 1998, 한국 함안층 하부에서 발견된 백악기 새 발자국에 관한 일차 보고. 지질학회지, 34, 94-104
  9. 소현수, 안태인, 최승언, 박건식, 목창수, 김종권, 김득호, 구수길, 박완규, 김완섭, 김영산, 2001, 중학교 과학 2. 두산, 경기도, 263 p
  10. 양승영, 1998, 교재로서의 화석표본. 한국지구과학회지, 19, 495-504
  11. 윤철수, 양승영, 2001, 한국최초의 대형 익룡 이빨 화석. 고생물학회지, 17, 69-76
  12. 이광만, 허동, 이경운, 정문호, 방대철, 이기성, 안태근, 정상윤, 복환근, 정익현, 벅병훈, 박정일, 정수도, 김경수, 박지극, 송양호, 이천기, 2001, 중학교 과학 2. 지학사, 경기도, 279 p
  13. 이성묵, 채광표, 김기대, 이문원, 권석민, 손영윤, 노태희, 정지오, 서인호, 김영수, 김윤택, 이세영, 2001, 중학교 과학 2. 금성출판사, 303 p
  14. 이정선, 김정률, 1999, 지구과학 교과서의 화석 관련 내용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0, 151-155
  15. 이창훈, 정은영, 최원호, 2006, 2005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과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서울, 237 p
  16. 정완호, 권재술, 김범기, 검성하, 백성혜, 우종옥, 이봉호, 이석형, 정진후, 최병순, 2001, 중학교 과학 2. 교학사, 서울, 278 p
  17. 정철환, 문병찬, 김해경, 2005, 제7차 교육과정 지구과학 관련 교과서에서의 화석사진에 대한 산출지역 및 척도 표기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6, 477-488
  18. 최돈형, 김동영, 김봉래, 김재영, 노석구, 신영준, 이기영, 이대형, 이면우, 이명제, 이상인, 전영석, 2001, 중학교 과학 2. 대일도서, 서울, 296 p
  19. 황구근, 허민, 백인성, 2002, 마산시 호계리 부근의 백악기 진동층에서 산출된 용각류 공룡발자국 화석. 지질학회지, 38, 361-375
  20. 황구근, 허민, 백인성, 2004, 경상남도 창녕군 도천리의 백악기 진동층에서 산출된 용각류 공룡의 보행열. 지질학회지, 40, 145-159
  21. Benton, M. and Harper, D., 1997, Basic Palaeontology. Longman, Hong Kong, China, 342 p
  22. Clarkson, E.N.K., 1998, Invertebrate palaeontology and evolution. Blackwell Science, Malden, USA, 452 p
  23. Dong, Z., Paik, I.S., and Kim, H.J., 2001, A preliminary report on a sauropod from the Hasandong Formation (Lower Cretaceous), Korea In Deng, T. and Wang, Y. (eds.), Proceedings of the Eighth Annual Meeting of the Chinese Society of Vertebrate Paleontology. China Ocean Press, Beijing, China, 41-53
  24. Dodd, J.R. and Stanton, R.J.Jr., 1990, Paleoecology. John Wiley and Sons, NY, USA, 713 p
  25. Huh, M., Hwang, K.G., Paik, I.S., Chung, C.H., and Kim, B.S., 2003, Dinosaur tracks from the Cretaceous of South Korea: Distribution, occurrences and paleobiological significance. Island Arc, 12, 132-144 https://doi.org/10.1046/j.1440-1738.2003.00386.x
  26. Huh, M., Lim, J.D., Paik, I.S., Hwang, K.G., Lee, Y.I., and Paik, K.H., 2006, A research report on the Boseong dinosaur egg site, Korea. Korea Dinosaur Research Center, Gwangju, Korea, 229 p
  27. Hwang, K.G., Huh, M., Lockley, M.G., Unwin, D., and Wright, J.L., 2002, New pterosaur tracks (Pteraichinidae) from the Late Cretaceous Uhangri Formation, SW Korea. Geological Magazine, 139, 421-435
  28. Hwang, K.G., Lockley, M.G., Huh, M., and Paik, I.S., 2008, The reinterpretation of dinosaur footprints with internal ridges from the Upper Cretaceous Uhangri Formation, Korea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258, 59-70 https://doi.org/10.1016/j.palaeo.2007.10.029
  29. Kim, J.Y., Kim, S.H., Kim, K.S., and Lockley, M.G., 2006, The oldest record of webbed bird and pterosaur tracks from South Korea (Cretaceous Haman Formation, Changseon and Sinsu Islands): More evidence of high avian diversity in East Asia. Cretaceous Research, 27, 56-69 https://doi.org/10.1016/j.cretres.2005.10.005
  30. Lockley, M.G. and Hunt, A.P., 1995, Dinosaur tracks and other fossil footprints of the western United States. Columbia University press, NY, USA, 338 p
  31. Taylor, P.D. and Lewis, D.N., 2005, Fossil invertebrates. Harvard Natural History Museum, London, UK, 208 p
  32. Thulborn, R.A., 1990, Dinosaur tracks. Chapman and Hall, London, UK, 410 p
  33. Yang, S.Y., Lockley, M.G., Greben, R., Erickson, B.R, and Lim, S.K., 1995, Flamingo and duck-like bird tracks from the Late Cretaceous and Early Tertiary: Evidence and implications. lchnos, 4, 21-34 https://doi.org/10.1080/1042094950938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