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Regulated Heavy Metals Content in Wastes Emitted from Industrial Processes

산업공정폐기물 중 규제대상 중금속류의 함량 특성

  • Jeon, Tae-Wa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Resource Recirculation Research Center) ;
  • Lee, Dong-Ji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Resource Recirculation Research Center) ;
  • Yoon, Jung-I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Resource Recirculation Research Center) ;
  • Oh, Gil-Jong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Resource Recirculation Research Center) ;
  • Hwang, Dong-Gu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Resource Recirculation Research Center)
  • 전태완 (국립환경과학원 자원순환연구센터) ;
  • 이동진 (국립환경과학원 자원순환연구센터) ;
  • 윤정인 (국립환경과학원 자원순환연구센터) ;
  • 오길종 (국립환경과학원 자원순환연구센터) ;
  • 황동건 (국립환경과학원 자원순환연구센터)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regulated hazardous substances in specific wastes. Regulated heavy metal such as Cu, Pb, Cd analyzed the 108 waste samples that it choice from the representative facilities. Analytical method used content test method, suggested on the basis of analytical method of developing country, and the results as compared with limited standard in Austria Petroleum, primary metalworking and electronic industry had high content of Cu more than 100 mg/kg of Austria limited standard. Pb detected high level concentration the sample that dust producted at Primary metalworking industry. In case of total Cr was show that high content at KSIC 18, 19, 23 etc but result analyzed Cr(VI), it was shown that high level at dust producted from sewing clothes and fur industry.

본 연구에서는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지정폐기물 중 폐기물관리법상 규제되고 있는 유해물질류 7종의 함량 특성을 조사하였다. Cu, Pb 등과 같이 규제되고 있는 중금속의 배출 가능성이 높은 표본사업장을 선정하여 9개 업종, 90개 사업장에서 슬러지, 폐촉매 등 폐기물 종류별 시료 108건을 채취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선진국의 분석방법을 토대로 제안한 함량시험방법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함량기준으로 관리하고 있는 오스트리아의 규제기준과 비교검토하였다. 그 결과 Cu는 모든 업종에서 비교적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특히 코크스.석유정제품 제조업, 1차 금속산업, 전자부품,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제조업에서 발생된 오니, 분진, 소각재 등의 폐기물이 오스트리아 기준 100 mg/kg 보다 높은 농도로 나타났다. Pb은 1차 금속산업에서 발생된 분진에서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총 크롬의 경우에는 상업분류코드 18, 19, 23 등에서 높은 농도로 나타났다. 또한 Cr(VI)을 분석한 결과, 봉제의복 및 모피 산업에서 발생된 분진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USA, Toxic Substance Control Act Inventory(1991)
  2. 남궁완, 이동훈, 폐기물처리공학, 동화기술(2001)
  3. 환경부, 유해화학물질 함유제품 관리현황 및 향후과제 (2005)
  4. Babara F. Bass etc., Toxic Watch, Inform, Inc.(1995)
  5. George Tchobanoglous and Hilary Theisen, Integrated Solid Waste Management, McGraw-Hill, Inc.(1993)
  6. 최협성, 김영희, 김균, 정인호, 이동호, 조정호, 변용진, 이근선, 전상수, "산업장 폐기물의 유해 중금속 함량 조사", 춘계학술연구발표회 논문초록집, 대한환경공학회, pp. 514-515(1998)
  7. 박주량, 김백영, 김진한, 정종태, 박수영, "생활쓰레기 소각재의 중금속 함량 및 용출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관리학회, 8(4), 427-433(2002)
  8. 환경부, 폐기물관리법(2008)
  9. http://www.umweltbundesamt.at/
  10. EPA, RCRA Orientation Manual(2006)
  11. http://www.epa.gov/epadswer/hazwaste
  12. 국립환경과학원, 지정폐기물 중 신규 유해물질의 항목설정 및 시험방법 확립에 관한 연구(I), (2004)
  13. 국립환경과학원, 지정폐기물 중 신규 유해물질의 항목설정 및 시험방법 확립에 관한 연구(II), (2005)
  14. 국립환경과학원, 지정폐기물 중 미규제 유해물질 규제항목 확대에 관한 연구(I), (2006)
  15. 전태완, 신선경, 이정아, 이형섭, "지정폐기물 중 미규제 중금속류의 용출특성," 대한환경공학회지, 30(2), 213-217(2008)
  16. US EPA SW-846(2008)
  17. US EPA Method 3050b, Acid Digestion of Sediments, Sludges, and Soils(2007)
  18. US EPA Method 3060a, Alkaline Digestion for Hexavalent Chromium(2007)
  19. US EPA Method 9010C, Total And Amenable Cyanide Distillation(2008)
  20. US EPA Method 9013, Cyanide Extraction Procedure for Solids and Oils(2008)
  21. 국립환경과학원, 일본의 하수오니 시험방법(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