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ies on Cropping System for Year-Round Cultivation of Forage Crops in Gyeongnam Province

경남지방에서 조사료 주년생산 작부체계에 관한 연구

  • Kang, Dal-Soon (G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Kim, Dae-Ho (G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Shin, Hyun-Yul (G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Son, Gil-Man (G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Rho, Chi-Woong (G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Kim, Jung-Gon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RDA)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Present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field of G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in Jinju city for two continuous cropping seasons to develop several adaptable and valuable year-round forage-producing system for elevating self-sufficiency and dollar-saving by reduced importing of crude forage. Twenty cropping systems were tested in experiment using whole crop barley (WCB), oat, rye, Italian ryegrass (IRG), and triticale in winter season and com, sorghum,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 and oat in summer time.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 showed highest fresh forage yield among experimented summer season crops, and followed com. Com produced the most dry matter yield, and followed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sorghum and oat in ord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former winter crops on fresh and dry matter production succeeding summer time crops. Among winter season forage crops tested, oat showed the highest fresh and dry matter when clipped on mid-May, and followed triticale, IRG, rye and WCB. Winter-time cultivated crops showed no clear effect on the growth and forage (fresh and dry matter) producing ability of following summer crops. There was the most protein content in oat plant among summer season planted crops, and in sorghum for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in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 for neutral detergent fiber (NDF), respectively. While, com showed highest value of relative feed value (RFV) and total digestive nutrients (TDN) among those crops. Among winter crops, the highest crude protein was in oat plant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ADF and NDF, while, relatively higher value of RFV was recognized with rye and triticale. Also, triticale contained more TDN as compare to other forage crops. The cropping combinations such as com followed by (fb) rye and maize fb triticale were regarded as promising systems having higher dry matter producing ability among tested combinations. Considering TDN producing potential, the combinations with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 fb triticale andlor rye were would be suitable ones, coincidently. There was a tendency which elevating pH, electric conductivity (EC) and organic matter (OM) contents in soil after experiment comparing to before planting. More crude protein content in plant was shown at mid-May clipping as compared to the forage at April cut in all winter season grown crops. ADF and NDF contents were increased by delayed clipping showing decreased tendency of RFV and TDN in plant. In conclusion, many cropping systems would be available using above mentioned forage crops according to farmer's conditions and scale, etc.

주년 조사료 생산을 위한 작부체계에서 하계작물에서는 수수${\times}$수단그리스 교잡종이 청예수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옥수수이었으며, 건물수량은 옥수수>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수수>귀리의 순이었다. 작부체계에서 동계작물의 종류가 하계작물의 청에 및 건물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통계적 유의성을 볼 수 있었다. 동계작물들의 청에 및 건물 생산량은 5월 중순 예취시 귀리가 가장 많았으며, 트리티케일>이탈리안 라이그라스>호밀>청보리의 순이었다. 앞작물로 재배된 하계작물의 종류가 동계작물의 청예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보였다. 하계작물의 사료가치는 귀리가 조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ADF는 수수, 그리고 NDF는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이 다소 높았다. 또한 옥수수가 RFV와 TDN이 가장 많았다. 동계작물의 사료가치는 조단백질 함량은 귀리가 가장 높았으나, ADF와 NDF 등의 섬유소 함량은 작물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RFV는 호밀과 트리티케일에서 높았으며, 귀리가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TDN 함량은 트리티케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년 조사료 생산을 위한 작부조합별 건물 생산량은 옥수수와 호밀, 옥수수와 트리티케일에서 가장 높아 유망한 작부체계로 보였다. 한편 옥수수와 트리티케일, 옥수수와 호밀, 그리고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과 트리티케일/호밀의 작부체계가 TDN 생산량을 고려할 때 유망한 작부조합으로 나타났다. 토양 pH, EC 및 유기물 함량은 시험전에 비해 시험후에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예취시기별 동계작물의 사료가치를 검토한 결과 조단백질 함량은 4월 중순보다 5월 중순 예취시 많았으며, ADF와 NDF 함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 하였다. 또한 RFV와 TDN 함량은 생육후기로 갈수록 낮아졌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유용, 이효원, 하종규, 한인규. 2003. 사료학. 한국방송통신대학 출판부
  2. 김정갑, 한만수, 김건엽. 1994. 답리작 대맥의 사료화 이용에 관한 연구. I. 생육단계별 건물축적형태와 생산성. 농업논문집 36(2):536-541
  3. 농촌진흥청. 2008. 사료용 맥류 최대생산 이용기술 개발
  4. 박호기, 김영두, 신만균, 서석기, 채재석, 고재현, 장영선. 1988. 남부지방에 적합한 사료작물과 수도 작부체계에 관한 연구. 농시논문집(축사편). 30(1):33-46
  5. 송진달, 임근발, 양종성. 1988. 호맥(Secale cereale L.)의 청예이용을 위한 재배모형에 관한 연구. I. 답리작호맥의 수확시기별 청예사료생산 및 Silage 품질. 한초지. 8(3);165-168
  6. 신정남, 윤익석. 1983. 생육시기가 Silage 조제 및 소화시험. 축시연보 :848-852
  7. 양종성. 1989. 청예대맥 및 호맥의 건물 축적 형태에 대한 생리적 분석과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원광대 박사학위 논문
  8. 이석순, 이정모. 1989. 흑조위축병이 심한 남부지방에서 옥수수를 중심으로 한 사료작물 작부체계. 한작지 34(1):30-39
  9. 이성규. 1988. Silage용 옥수수와 두과작물의 간작에 관한 연구. I. Silage용 옥수수(Zea mays L.)와 동부(Vigna sinensis King)의 간작이 생장특성과 건물 및 유기물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81:47-54
  10. 이성규. 1990. Silage용 옥수수와 두과작물의 간작에 관한 연구. V. Silage용 옥수수와 두과작물의 간작이 건물수랼, silage의 영양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0(2):110-114
  11. 이형석, 이인덕, 박덕섭, 박연진, 김선균, 금종수. 2001. 국내 유통 조사료의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한초지. 21(3):109-114
  12. 채규인. 1992. 호남평야지에 알맞은 청예사료작물의 작부체계에 관한 연구. 전북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한인규, 김동암, 조무환, 한건준. 1995. 최대 청예사료 생산을 위한 수단그라스계 잡종 및 호밀 2모작 작부체계에서의 적정 파종량 및 질소시비 수준. 한축지. 37(6):661-668
  14. 황종진, 성병렬, 연규복, 안환식, 이종호, 정규용, 이영상. 1985. 사료용 맥류품종의 예취시기별 청예 및 건물수량과 영양가 비교. 한작지. 30(3):301-309
  15. Haizel, K.A. 1974. The agronomic significance of mixed cropping. I. Maize interplanted with cowpea. Ghana J. Agric. Sci. 7:169-178
  16. James, R.A. and R.K. Obura. 1983. Yield of com, cowpea and soybean under different intercropping systems. Agron. J. 75: 1005-1009 https://doi.org/10.2134/agronj1983.00021962007500060032x
  17. 出井嘉光, 小川和夫. 1964. 作村樣式に關する硏究. 第 I 報. 靑冬刈作物地方の變仙について. 東海近畿農報告 11:53-65
  18. 井上吉雄, 阿部林, 桃木德博, 田邊忍, 石井忠雄, 宫田保彦.1989. トウモロゴシ,ソルガム播万式を主體としに餇料作物作村體系の技術的檢討. 農業センタアー報告 15:31-45
  19. 甲谷潤, 足立健夫. 1986. 圃場整備田における早期熟畑化關する硏究. 京都農硏報 13:1-11
  20. 尾形昭逸, 藤田耕之輔, 松本幐上, 實岡寛文. 1986. マメ科 . イネ料の浘作に闙する硏究. 第 I 報. ソルガムと靑刈ダイス, セイラトロの泯作に乾物生産および窒素の動熊. 日作誌. 32(1): 36-43
  21. 吉田辛正, 光井式, 早瀬文繁, 野上興志朗, 天野省吾, 古巿充刹, 古川陽一, 岸川良吉. 1986. 轉換畑における飼料作物の周年多收栽堷技衚體糸の檢討. 岡山懸酪試報告 23:52-62

Cited by

  1. Cost Analysis of Wrap Silage Production in the Paddy Field for Forage Crop Cropping System vol.32, pp.1, 2012, https://doi.org/10.5333/KGFS.2012.32.1.75
  2. Comparison of Forage Yields and Growth of Summer Forage Sorghum, Proso millet and Japanese millet according to Cropping System with Winter Forage Barley vol.38, pp.4, 2018, https://doi.org/10.5333/KGFS.2018.38.4.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