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Harvest Time and Cultivars on Forage Yield and Quality of Whole Crop Barley

청보리 품종의 적정 수확시기 및 사료가치 평가

  • 윤성근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박태일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서재환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김경훈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송태화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박기훈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한옥규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A field study was conducted from 2007 to 2008 at Department Rice and Winter Cereal Crop, NICS, RDA, to evaluate the effects of harvest time and cultivar on forage yield and quality. Four whole crop barley cultivars ('Youngyang', 'Wooho', 'Yuyeon' and 'Dami') were selected and harvested on five separate growth stages (heading, and intervals of 1, 2, 3 and 4 weeks after heading) in split plot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Results from this experiment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due to harvest time and cultivar in dry matter yield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yield for forage. The interaction between harvest time and cultivar was not significant. The TDN yield trends were increasing with later harvest time due to higher dry matter yield and TDN content. This experiment provides some interesting results with respects to optimum harvest time, feed value and ultimately yield for the different whole crop barley cultivars.

이 연구는 사료용 청보리 전용품종들의 수확 시기별 수량과 품질을 검토하여 적정 수확 및 이용시기를 도출하고자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포장에서 2007년 10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실시하였다. 시험은 수확시기를 주구로 5회 (출수기로부터 7일 간격), 품종을 세구로 4품종 ('영양', '우호', '유연', '다미')을 분할구 배치법 3반복으로 배치하여 실시하였고, 생육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지상부 이삭비율은 출수기 이후 직선적으로 증가하여 28 일에는 전체 건물중의 44%를 차지하였다. 건물수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 하였는데, 출수기에 4,185 kg/ha에서 출수 후 28얼에 8,997 kg/ha이였으며, 품종별 평균수량은 영양보리가 펑균 7,431kg/ha로 가장 많았고, 유연보리가 6,052 kg/ha로 가장 적였다. TDN 수량은 수확시기 및 품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출수기에 2,657 kg/ha에서 출수 후 28일에 5,957 kg/ha으호 증가하였고, 품종별 평균수량은 영양보리가 평균 4,654 kg/ha로 가장 많았고, 유연보리가 3,800kg/ha로 가장 적었다. 전체적으로 영양보리는 건물수량이 많았고, 우호보리는 NDF와 ADF 함량이 낮았으며, 단백질과 TDN 함량이 높았고, 유연보리는 낮은 수량 및 사료가치를 보였다. 이들의 적정 수확시기는 품종간 차이는 있으나 출수 후 30일 전후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찬호. 2004. 사료지급률 제고를 위한 맥류산업 발전방향. 호남농업연구소. 농산물 수입개방과 맥류산업 발전방안 심포지엄 자료. pp. 43-72
  2. 김호원, 서 성, 윤세형, 김기용, 조영무, 박태일, 고종민, 박근제. 2003. 사일리지용 우량 보리품종 선발. 2. 사료가치 및 TDA 수량. 한국초지학회지 23(4):283-288 https://doi.org/10.5333/KGFS.2003.23.4.283
  3. 김원호, 서 성, 임영철, 신재순, 성병렬, 지희정, 이상진, 박태일. 2007. 호남지역 답리작에서 사료용 총체보리 우량품종 선발. 한국초지사료학회지 27(3):161-166 https://doi.org/10.5333/KGFS.2007.27.3.161
  4. 김원호, 서 성, 정의수, 신동은, 박태일, 고종민, 박근제. 2002. 사일리지용 우량 보리품종 선벌. 1. 생육특성 및 생산수량. 한국초지학회지 22(3):201-208 https://doi.org/10.5333/KGFS.2002.22.3.201
  5. 김원호, 서 성. 2006. 총체보리를 중심으로 한 동계 사료작물의 재배 및 이용기술. 한국초지학회지 '06 학술심포지엄. pp. 37-57
  6. 김정갑, 양종성, 한민수, 이상범. 1988. 대맥 및 호맥의 건물생산성과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II. 생육단계별 화학성분, 소화율 및 에너지 함량변화. 한국축산학회지 30(3);193-198
  7. 김정갑, 한민수, 김건엽, 한정대, 강우성, 신정남. 1995. 주요 사료작물의 곤포 Silage 조제이용에 관한 연구. II. 생육단계별 건물축적형태와 곤포사일리지 조제이용. 한국초지학회지 15(3):198-206
  8. 김정갑, 한민수, 김건엽, 한정대, 진현주, 신정남. 1996. 주요 사료작물의 곤포 silage 조제 이용에 관한 연구. III. 작물별 곤포 silage의 일반성분과 에너지함량 평가. 한국초지학회지 16(1):87-92
  9. 김정갑, 한민수, 한흥전, 강우성, 한정대. 1992. 맥류의 Whole crop silage 생산 이용 연구. 축산기술연구소 보고서. pp. 961-974
  10. 농촌진흥청. 2005. 조사료 자급률 향상과 영양적 가치.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익산. p. 27
  11. 서삼불, 김정갑, 김영상. 1985. 답리작 사료용 작물 작황진단 시험. 축시연보. pp. 885-892
  12. 서 성, 김원호, 김종근, 최기준, 고종민, 임시규. 2007. 권역별 답리작 사료작물 최대 생산을 위한 적작목(품종) 선발. 3. 영남지방(밀양)을 중심으로.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27(2):85-92 https://doi.org/10.5333/KGFS.2007.27.2.085
  13. 서 성, 김원호, 김종근, 최기준. 2004. 권역별 답리작 사료작물 최대 생산을 위한 적작물(품종) 선발. 1. 중부지방(수원)을 중심으로. 한국초지학회지 24(3):207-216 https://doi.org/10.5333/KGFS.2004.24.3.207
  14. 서 성, 육완방. 2002. 한국에 있어서 답리작을 이용한 양질 조사료 생산기술. 한국초지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국제 심포지엄자료. pp. 3-56
  15. 송진달, 양종성, 김강식. 1982. 청예맥류의 생육 단계별 silage 제조 및 소화시험. 축산기술연구소 연구보고서. pp. 848-852
  16. 윤상기, 정연후, 정천용, 양종성. 1981. 청예 맥류 사일리지의 젖소 주년 급여 시험. 축산기술연구소 연구보고서. pp. 498-510
  17. 윤성중, 최경구, 박상래. 1997. 등숙중인 보리 종실중 (1-3, 1-4)$\beta$-giucan과 전분 함량 및 이들의 가수분해효소 활성. 한국작물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지. pp. 28-29
  18. 조장환, 한옥규, 이동진, 박문웅. 2004. 맥류생산 과학. 도서출판 한림원. 서울. pp. 108-115
  19. 지희정, 주정일, 이희봉. 2007. 유기물 함량이 총체보리 품종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조사료학회지 27(4):263-268 https://doi.org/10.5333/KGFS.2007.27.4.263
  20. 최기준, 김원호. 2008. 한국에서 동계사료작물 생산과 이용.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8년도 학술심포지엄 및 제46회 학술발표회. pp. 19-48
  21. 황종진, 성병렬, 연규복, 안완식, 이종호, 정규용, 김영상. 1985. 사료용 맥류 품종의 예취시기별 청예 및 건물수량과 영양가 비교. 한국작물학회지 30(3):301-309
  22.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23.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ic. Handbook. No. 397. USDA. Washington DC
  24. Park, T.I., O.K. Han, J.H. Seo, J.S. Choi. K.H. Park and J.G. Kim. 2008. New barley cultivars with improv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for whole crop in Korea. J. Kor. Grassl. Forage. Sci. 28(3): 193-202 https://doi.org/10.5333/KGFS.2008.28.3.193

Cited by

  1. Study on Nutritive Values of Whole Crop Barley Varieties Grown in a Paddy Field vol.33, pp.1, 2013, https://doi.org/10.5333/KGFS.2013.33.1.30
  2. Examination of Availability of Whole Crop Silage TMR for Late Fattening Hanwoo Steers in the Cattle vol.33, pp.2, 2013, https://doi.org/10.5333/KGFS.2013.33.2.131
  3. Evaluation of Productivity and Silage Quality for Domestically Developed Forage Crops in Korea vol.35, pp.2, 2015, https://doi.org/10.5333/KGFS.2015.35.2.145
  4. Effect of Microbial Flora and Inoculation of Probiotics on Fermenting Characteristics of Naked Barley Grain (Hordeum Vulgare L.) vol.35, pp.4, 2015, https://doi.org/10.5333/KGFS.2015.35.4.321
  5. Effects of Different Cutting Height on Nutritional Quality of Whole Crop Barley Silage and Feed Value on Hanwoo Heifers vol.29, pp.9, 2016, https://doi.org/10.5713/ajas.16.0099
  6. Changes of Dry Matter Productivity and Feed Value of Forage Barley and Italian Ryegrass According to Cultivation Conditions in Mid-west Plain of Korea vol.38, pp.2, 2018, https://doi.org/10.5333/KGFS.2018.38.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