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s of Growth and Forage Yield at Different Cutting Dates among Five Winter Cereals for Whole Crop Silage in Middle Region

중부지역에서 총체맥류의 예취시기별 생육 및 조사료 수량 변화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re are barley, wheat, oat, rye and triticale winter cereal crops for whole crop silage. These small grains have been suitable to use for round-baled silage making as livestock feed. Studies were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growth and productivity of five winter cereals grown at paddy field in middle region of South Korea. The ratio of culm weight per plant were described by quadratic function for 5 winter cereals crops. The peak of culm ratio were 1 May in barley variety 'Youngyang', 5 May in wheat variety Keumkang', 10 May in rye 'Gogu'(Rye), 11 May in triticale variety 'Shinyoung' and 13 June in oat variety 'Samhan', respectively. The ratio of leaf per plant were linearly decreased by growing. In barley and oat, the ratio of spike weight per plant were linearly increased after heading, but in wheat and triticale, it were not accumulated at one time after heading and rapidly increased after fertilization. The ratio of spike weight per plant in barley was outstandingly higher than that of wheat, triticale, rye and oat, respectively. So, barley variety 'Youngyang' recommended for whole crop forage use was suitable for forage use because of high at ratio of the leaf and spike. The proper cutting date by the percentage of dry matter for baled-silage making, 30$[\sim}$40%, were 25 May in barley variety 'Youngyang', 25 May to 5 June in wheat variety 'Keumkang' and triticale variety 'Shinyoung', 15 May in rye 'Gogu' and 5 June in oat variety 'Samhan', respectively. The total aerial fresh weight accumulation at different cutting dates were described by quadratic function for barley, wheat and triticale. The forage fresh yield were peaked at 7 May in barley, 14 May in wheat, 17 May in triticale and late of May in oat, respectively. The dry matter yields of four small cereals were linearly increased after over-wintering. The yield at the date of proper harvesting time by water content for baled silage making were sequently high oat, barley, wheat, triticale and rye. The relative growth rate was relatively high in rye at early cutting but high in oat at late cutting. In barley, wheat and triticale, the rate were similar.

조사료 생산에 유망한 동계작물중 보리, 밀, 호밀, 귀리, 트리티케일(라이밀) 등 5종의 총체맥류에 대하여 월동 후 예취시기에 따른 생육 및 조사료 생산성에 관한 생장곡선을 조사하기 위하여 충남 예산군 소재의 충남농업기술원 답리작 포장에서 2006${\sim}$2007년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상부 건물중에서 줄기가 차지하는 비율은 월동 후 점차 증가하다가 어느 정점부터는 감소하는 2차원적인 경향을 보였는데, 줄기의 구성비율이 최고가 되는 시기는 각각 영양 보리 5월 1일, 금강 밀 5월 5일, 곡우 호밀 5월 10일, 신영 트리티케일 5월 11일, 삼한 귀리 5월 13일경이었다. 잎은 월동 후 성숙이 진행될수록 직선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삭이 차지하는 비율은 영양 보리가 출수 후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는데 밀, 트리티케일, 귀리에 비하여 높았고, 호밀이 가장 낮았다. 영양 보리가 출수기 이후에 다른 총체맥류에 비하여 줄기의 구성비율이 낮고 이삭과 잎의 구성비율이 높은 전형적인 총체맥류에 속하였고, 다음은 밀과 귀리이었으며, 호밀은 알곡 비율이 적은 조사료 작물에 해당하였다. 사일리지 제조에 알맞은 수분 함량(60${\sim}$ 70%에 도달하는 시기는 영양 보리 5월 25일, 금강 밀 5월 25일${\sim}$6월 5일, 삼한 귀리 6월 5일이었고, 이 때 생체수량은 곡우호밀>삼한 귀리>신영 트리티케일>영양 보리>금강 밀 순으로 높았다. 생체수량은 월동 후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증가하다가 일정시기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중부지역에서 생체수량이 최대로 되는 시기는 영양 보리 5월 7일경, 금강 밀 5월 14경, 곡우 호밀 5월 9일, 신영 트리티케일 5월 17일경, 삼한 귀리 5월 말이었다. 건물수량은 4종의 총체맥류 모두 월동 후 성숙기까지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사일리지 제조에 알맞은 수분 함량에 도달하는 시기에 조사한 건물수량은 귀리 > 보리 > 밀 > 트리티케일 > 호밀 순으로 높았다. 상대 생장률은 월동 후 서서히 증가하다가 정점 이후로 감소하는 2차원적인 생장을 보였는데, 월동 후 예취시기가 빠를수록 곡우 호밀이 높은 상대생장률을 보였고,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삼한 귀리가 높았으며, 금강 밀, 영양 보리, 신영 트리티케일은 비슷한 상대생장률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두, 곽종형, 문영식. 1987. 호맥의 생육단계별 수량과 whole crop silage의 품질에 관한 연구. II. 호맥의 생육시기별 silage의 품질. 한초지 7(3):153-156
  2. 권영업. 2004. 사료용 맥류의 생장해석, 사료가치 분석 및 최적 수확시기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p. 84
  3. 김정갑, 한민수, 김건엽, 한정대, 강우성, 신정남. 1995. 주요 사료작물의 곤포 silage 조제이용에 관한 연구. II.생육단계별 건물축적형태와 곤포 사일리지 조제이용. 한초지 15(3):198-206
  4. 김종근, 정의수, 서 성, 강우성, 함준상, 김동암. 2001. 수확시 숙기가 호밀 라운드베일 사일리지의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1(1):1-6
  5. 농촌진흥청. 2003.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분석기준. p 291
  6. 심정남, 고기환, 김병호. 1992. 가을재배 연맥의 파종시기별 건물수량 및 화학적 조성분. 한초지 12(1):67-70
  7. 송달진, 임근발, 양종성. 1988. 호맥(Secale cereale L.)의 청예이용을 위한 재배모형에 관한 연구. I . 답리작 호맥의 수확시기별 청예사료 생산 및 silage 품질. 한초지 8(3):165-168
  8. 연규복, 이춘우, 장영희, 이석순, 박연규. 1991. 총체용 맥류의 사료생산성 및 사료적 가치. 한국 작물학회지 36(6):496-500
  9. 이석순, 박찬호, 장영동. 1985. Triticale과 호밀의 청예사료 생산성. 한국작물학회지. 30(4):388-397
  10. 주정일. 2004. 조사료 겸용 맥류의 작물학적 특성 및 서료가치.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76
  11. 황종진, 성병렬, 연규복, 안완식, 이종호, 정규용, 김영상. 1985. 사료용 맥류 품종의 예취시기별 청예 및 건물수량과 영양가 비교. 한국작물학회지 30(30):301-309
  12. 현종내, 권순종, 김현태, 고종민, 임시규, 김정곤, 박형호, 허화영, 권영업, 김종근. 총체사료용 다수성 호위축병 저항성 '영양 보리'. 한국육종학회지 40(4):484-489
  13. Bauer A, A.B. Frank and A.L. Black. 1987. Aerial parts of hard wheat. I. Dry matter distribution by plant development stage. Agron. J. 79(5):845-852 https://doi.org/10.2134/agronj1987.00021962007900050019x
  14. Bruckner, P.L. and W.W. Hanna. 1990. In vitro digestibility of fresh leaves and stems of small-grain species and genotypes. Crop Sci. 30: 196-202 https://doi.org/10.2135/cropsci1990.0011183X003000010043x
  15. Heo, H.Y., H.H. Park, M.J. Kim, S.W. Choi, K.G. Park, J.H. Nam, J.G. Kim, C.K. Lee and Y.U. Kwon. A new cold tolerant, high forage and grain yielding winter oat cultivar 'Samhan'. Korean J. Breed. 35(5):331-332
  16. Polan, C.E., T.M. Starling, J.T. Huber, C.N. Miller and R.A. Sandy. 1968. Yields, positions and nutritive evaluation of barley silages at three stages of maturity for lactating cows. J. Dairy Science 51(11):1801-805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68)87281-9

Cited by

  1. Effect of Biomass and N Production by Cultivation Methods of Leguminous and Gramineae Green Manures on Rice Growth in Central Regions of Korea vol.44, pp.5, 2011, https://doi.org/10.7745/KJSSF.2011.44.5.853
  2. Evaluation of Productivity and Silage Quality for Domestically Developed Forage Crops in Korea vol.35, pp.2, 2015, https://doi.org/10.5333/KGFS.2015.35.2.145
  3. Effect of Addition of Lactic Acid Bacteria on Fermentation Quality of Rye Silage vol.35, pp.4, 2015, https://doi.org/10.5333/KGFS.2015.35.4.277
  4. Potential effects of Novel Lactic Acid Bacteria on Fermentation Quality of Rye Haylage vol.36, pp.1, 2016, https://doi.org/10.5333/KGFS.2016.36.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