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Overview on the Cultural Festivals of Korean Medicine

한의학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축제 현황 분석

  • Park, Sang-Young (TKM Information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Ahn, Sang-Young (TKM Information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Kwon, Oh-Min (TKM Information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Han, Chang-Hyun (TKM Information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박상영 (한국한의학연구원 문헌연구센터) ;
  • 안상영 (한국한의학연구원 문헌연구센터) ;
  • 권오민 (한국한의학연구원 문헌연구센터) ;
  • 한창현 (한국한의학연구원 문헌연구센터)
  • Received : 2009.02.17
  • Accepted : 2009.04.10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Objectives : The study aims at assessing information on cultural festivals of Korean medicine. Method : We investigated data about the National Festival collected from asking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Efestival of YonhapNews, Driving Korea of KBS and JOINS. Result : Since the 1990s, cultural festivals of Korean medicine are increased. The festival of the ginseng was the most. 5 cultural festivals held on The Chungcheongnam-do are the best in cultural festivals of Korean medicine. 65% of cultural festivals was held in the fall. In the budget of the cultural festivals in Korean medicine, the most were 1~5 hundred million won. Conclusions : We wish to propose a model for developing cultural semiology and visual literacy, with the Korean medicine. Subsequently, it is expected that such a model can underpin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coherent edutainment content while illustrating the true meaning/value of local festivals.

Keywords

References

  1. 이시영, 심준영, 지방문화축제에 관한 인터넷정보의 평가-2001년 문화관광부지정 문화축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001;29(2):85-94.
  2. Getz D, Festivals, Special Events, and Tourism, New York:Van Nostrand Reinhold, 1991.
  3. Getz D, Event Management and Event Tourism, New York:Cognizant Communication Corporation, 1997.
  4. Hall C, Hallmark Tourist Event: Impacts, Management and Planning, London:Belhaven Press, 1992.
  5. 이정록, 함평나비축제 관광객이 형태적 특성: 제4회 축제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03;6(2):339-353.
  6. 이우종, 김남정, 도시브랜드 이미지의 구성요소와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2005;40(6):177-192.
  7. 이정록, 문화관광축제의 성립과 전개과정: 함평나비축제를 사례로, 한국경제리리학회지, 2006;9(2):197-210.
  8. 변재상, 도시 경관 및 이미지 향상을 위한 랜드마크 형성모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9. 손대현, 관광론, 서울 : 일신사, 1990.
  10. 추명희, 이제는 이벤트 관광이다, 문화도시 문화복지, 2000;83:20-25.
  11. 김명자, 지역축제의 방향을 위한 시론, 비교민속학회,1995 12권, 185-186.
  12. 김성혁, 지역축제 관광객의 시장세분화와 측성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2000;24(1):260.
  13. 백선혜, 소도시의 문화예술축제 도입과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대한지리학회지, 2004;39(6):888-906.
  14. 이장주, 조현상, 지역축제의 이미지 특성화에 관한 실증연구, 관광학연구, 2000;24(1):205-244.
  15. 변재상, 임승빈, 주신하, 초고층 랜드마크의 인지거리 및 인지강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서울시 30층 이상 고층건물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007;35(4):90-104.
  16. 안성혜, 지역문화축제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기획 방안의 모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2008;8(12):168-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