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ascular Plants in the Gyeryongsan National Park

계룡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 Oh, Hyun-Kyung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Beon, Mu-Sup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오현경 (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변무섭 (전북대학교 조경학과(농업과학기술연구소))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vascular plants in the Gyeryongsan National Park were listed 227 taxa; 71 families, 148 genera, 196 species, 1 subspecies, 26 varieties and 4 forms, Among them, trees and herbs were 103 taxa (45.4%), 124 taxa (54.6%), respectively. The rare plants were identified 6 taxa such as Paeonia obovata (Legal protection species), Viola albida, Acanthopanax chiisanensis, Lilium distichum, Lilium callosum and Goodyera schlechtendaliana by the Korea Forest Service.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8 taxa were recorded; Cephalotaxus koreana, Pseudostellaria multiflora, Thalictrum uchiyamai, Indigofera koreana, Acanthopanax chiisanensis, Asperula lasiantha, Weigela subsessilis and Carex okamotoi. Based on the list of approved for delivering overseas of plants, 6 taxa were recorded; Viola albida, Acanthopanax chiisanensis, Asperula lasiantha, Carex okamotoi, Lilium distichum and Lilium callosum.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21 taxa (9.3%); Paeonia obovata in class V, 5 taxa (Betula davurica, Acer palmatum, Asperula lasiantha, Lonicera subhispida, Phaenosperma globosa) in class III, 4 taxa (Viola orientalis, Acanthopanax chiisanensis, Ostericum melanotilingia, Lilium distichum) in class II and 11 taxa (Cephalotaxus koreana, Betula schmidtii, Quercus variabilis, Aphananthe aspera, Ilex macropoda, Meliosma oldhamii, Tilia amurensis, Lilium callosum, Erythronium japonicum, Polygonatum inflatum, Hosta capitata) in class I. It is important that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will be needed for pre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of Gyeryongsan National Park. As well, a long time of monitering and systematical management counterplan will be required.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공원관리공단,2004, 계룡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413pp
  2. 계룡산국립공원, 1997, 계룡산국립공원 자연생태계 보전계획, 108pp
  3. 양금철, 연명훈, 한미경, 2004, 계룡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식생-, 국립공원관리공단, 137-167
  4. 정태현, 1958, 계룡산 식물에 대하여, 성균관대학논문집 , 3, 1-40
  5. 정태현, 이우철, 1965, 한국 삼립식물대 및 적지적수론, 성균관대학논문집, 10, 329-435
  6. 이우철, 영양재, 1978, 한반도 관속식툴의 분포에 관한 연구, 식물분류학회지, 8(부록), 1-33
  7. 최두문, 1979, 식물편, 충남도지(상권), 112-157
  8. 이우철, 이은복, 1980, 계룡산 및 칠갑산의 식불상,칠갑산 및 계룡산일대종합학술조사보고서, 한국자연보존협회, 17, 63-90
  9. 이순용, 태경환, 소주엽, 강신호, 고성철, 1995, 계룡산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논문집 자연과학편, 25, 243-280
  10. 심정기, 태경환, 임인택, 윤창영, 김동갑, 김주환,1998, 계룡산 남사면 일대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자연보전협회, 한국생물상연구, 3, 281-309
  11. Kang S. H., Nakagoshi N., Ko S. C., 1999, Resources of herbaceous plants in Taejon area, Kor. Pla. Res., 2, 96-112
  12. Kang S. H., Nakagoshi N., Ko S. C., 2000, Resources of woody plants in Taejon area, Kor. Pla. Res., 3, 79-89
  13. 김용갑, 도재화, 전영호, 태경환, 김주환, 2000, 계룡산의 서사면 및 북사변의 식물상 연구, 한국자연보전협회, 한국생물상연구, 5, 69-99
  14. 고성철, 강신호, 2000, 계룡산(충남 공주)과 인근산 지의 식물상,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4차년도),환경부, 1-41
  15. 김용식, 임동옥, 전승훈, 추갑철, 신현탁, 2001 , 계룡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4), 311-323
  16. 고성철, 강신호, 이영심, 2004, 계룡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식물상-, 국립공원관리공단, 126-136
  17. 도재화, 김동갑, 태경환, 김주환, 2005, 계룡산의 자원식물상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8(1), 85-116
  18. 고성철, 강신호, 2005 , 계룡산국립공원 동윌계곡일원의 식물상 조사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8(2), 223-239
  19. 박봉규, 이인숙, 1980, 계룡산 및 칠갑산의 삼림식생의 구조적 특성과 수직분포, 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17, 105-116
  20. 박종성, 신창남, 송호경, 1983, 계룡산 삼림군집의 천이에 따른 식생의 변화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환경연구보고, 1(1), 1-11
  21. 신창만, 이심신, 1984, 계룡산 관목림 군집의 구조와 동태분석, 충남대학교 환경연구보고, 2(1), 1-13
  22. 송호경, 1984, 계룡산 삼림군집의 연속변화에 관하여, 충남대학교 환경연구보고, 2(2), 18-24
  23. 송호경, 1986, 계룡산 삼림식생의 수직분포, 충남대학교 환경연구보고, 4(2), 72-75
  24. 송호경, 신창남, 1985, 계룡산 삼림 군집형과 그의 구조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환경연구보고, 3(1), 19-58
  25. 남이, 이수욱, 1988, 계룡산 및 삼림식생분포와 토양수분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환경연구보고, 6(2), 34-41
  26. 김성덕, 김명현, 2000, 대전.논산지역의 식생·계룡산, 우산봉, 금수봉, 함박봉-,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4차년도), 환경부, 1-16
  27. 이선, 송호경, 2000, 계룡산국립공원 계곡부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1), 88-98
  28. 이경재, 권전오, 김정호, 2001 , 계룡산국립공원 갑사계곡 노거수군집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4), 217-237
  29. 한봉호, 조우, 이수동, 20이, 계룡산국립공원 동학사계곡의 식물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4), 238-251
  30. 최송현, 조현서, 2001, 계룡산국립공원 동학사-남매탑 구간의 삼림군집구조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14(4), 252-267
  31. 오구균, 박석곤, 2001 , 계룡산국립공원 등산로의 주연부 식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4), 280-286
  32. 추갑철, 김갑태, 김정오, 201, 계룡산국립공원 자연보전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4), 287-295
  33. 박인협, 서영권, 2001 , 계룡산국립공원 계곡부의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산림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4), 296-302
  34. 박인협, 서영권, 이석면, 이만용, 2001, 계룡산국립공원 연애골지역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4), 303-310
  35. 송호창, 이규석, 이선, 김효정, 이미정, 지윤의,2001, 계룡산국립공원 내 군사보호구역의 산립식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4), 332-340
  36. 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상,하), 향문사,서울, 914, 910pp
  37. 이우철, 1996, 원색 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 서울, 624pp
  38. 이영노, 2006, 새로운 한국식물도감(I ,II), 교학사,서울, 974, 885pp
  39. 산림청, 1996,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보존지침 및 대상식물-, 140pp
  40. 환경부, 2005, 야생 동.식물보호법(제 2조 관련)-멸종위기야생 동.식물 I,II 급-
  41. 김무열,2004, 한국의 특산식물, 솜과학,서울,pp.247-351
  42. 환경부,2002, 국외 반.출입 규제대상 생물종
  43. 김철환, 2000, 자연환경 평가-1. 식물군의 선정-,한국환경생물학회지, 18(1), 163-198
  44. Melchior, H., 1964, A Engler’ 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 Gebruder Bomteaeger, Berlin, 666pp
  45. 국립공원관리공단, 2004,계룡산국립공원 자원 모니터링 -1 차년도-,81-133
  46. 계룡산국립공원, 2005, 계룡산국립공원 자원 모니터 링 -2차년도-,81-124
  47. 김용식,1994, 우리나라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평가기준 선정의 필요성,응용생태연구지,8(1), 1-10
  48. 유주한, 진연희, 장혜원, 조흥원, 김덕식, 이철희,2004, 충청북도 미동산의 자원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17(2), 122-134
  49. Nakai, T., 1952, A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Bul. Nat. Sci., Tokyo, 31, 1-52
  50. Lee, T.B., 1984, Outline of Korean endemic plants and their distribution, Kor. Jou. Pla. Tax., 14(1), 21-32 https://doi.org/10.11110/kjpt.1984.14.1.021
  51. 백원기, 1994, 한국특산식불의 실체와 분포조사, 한국자연보존협회 자연보존연구보고서, 13, 5-84
  52. 백원기,1999, 특산식물의 현황과 21세기 우리의 책무, 식물분류학회지, 29(3), 263-274
  53. 정우규,윤석, 김상희,2005, 울산의 멸종위 기 및 희귀식물, 울산생명의 숲.울산광역시, 206pp
  54. 전승훈,1997,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평가 및 조사지침, 환경부, 216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