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reasing Instream flow in Nonsancheon by Water Storage Securing Scenario of Upstream Reservoirs

상류 저수지군의 저수량 확보 시나리오에 의한 논산천의 유지유량 증가

  • Noh, Jae-Kyoung (Dept. of Agricultural and Rur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노재경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환경토목전공)
  • Received : 2009.03.24
  • Accepted : 2009.06.03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increasing instream flow at Nonsancheon stream of Nonsan city by securing water storages in upstream reservoirs; Ge-ryong, Gyoung-cheon, Dae-dun, and Tab-jeong. The paralleled and cascaded upstream reservoir operations for 8 storage securing scenarios were considered to simulate daily streamflows at Nonsan station. Using Tab-jeong reservoir water storage, the DAWAST model's parameters were determined, and the verified result showed Nash-Schcliffe's coefficient of 0.666. Instream flows were analyzed to supply maximum $59.85Mm^3$ on an annually average from upstream reservoir storage securing scenarios. The storage securing set of 2 m heightened Ge-ryong, 5 m Dae-dun, and 1 m Tab-jeong showed that the additional secured water storages were $17.132Mm^3$ and instream flow at Nonsan station was increased to $2.183m^3/s$, 2 times of present condition.

논산시의 논산천 도심구간의 하천유지유량을 확보하기 위해 상류의 계룡지, 경천지, 대둔지와 탑정지 등을 증고하여 저수량을 확보하는 시나리오별로 상류의 저수지 군을 직렬, 병렬 연계 운영을 고려하여 논산 지점의 유량을 1966년부터 2007년까지 일별로 모의하여 유황을 분석하고 유지유량의 증가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역 내 하천유량의 관측자료가 없어 유입량을 DAWAST 모형에 의하고 관개용수를 공급할 때 탑정지의 저수량 변화를 모의하여 관측-모의의 저수량 오차를 목적함수로 함으로써 모형 매개변수를 구해 적용한 결과 Nash-Schcliffe 모형효율은 0.661, 관측-모의 저수량의 등가선의 결정계수는 0.666로 되는 모형의 검증을 거쳐 저수지 유입량, 하천유량 모의에 사용하였다. 둘째, 계룡지 2 m, 5 m, 대둔지 5 m, 탑정지 1 m 등을 증고하는 시나리오를 설정하였고, 상류 저수지에 의한 저수량 확보 시나리오별로 단일 및 연계 저수지 운영을 모의한 결과 하천유지유량을 연평균 최대 59.85백만 $m^3$까지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논산 지점의 하천 유황은 갈수량 기준으로 저수지를 증고하지 않은 현재 상태는 $1.086m^3/s$이었으나 대둔지가 준공되면 $1.809m^3/s$로 증가되고, 계룡지를 2 m, 5 m로 증고하면 각각 $1.841m^3/s$, $1.862m^3/s$로 증가되고, 추가로 탑정지를 1 m 증고하면 각각 $1.978m^3/s$, $2.011m^3/s$로 증가되고, 추가로 대둔지를 5 m 증고하면 각각 $2.183m^3/s$, $2.218m^3/s$ 증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요약하면 계룡지를 2 m, 대둔지를 5 m, 탑정지를 1 m 각각 증고하여 17.132백만 $m^3$의 저수량을 추가로 확보함으로써 논산 지점의 하천유지유량을 현재의 2배 정도로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7. 자연사회환경 개선을 위한 하천유지유량 산정방안 보고서.
  2.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2006. 2020 수자원 장기종합계획(수정본).
  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9. HyGIS 매뉴얼.
  4. 노재경. 2009a. 대전 3대 하천 유지유량 확보방안.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CD.
  5. 노재경. 2009b. 칠갑지 숭상에 의한 청양 도심하천유량 증가 효과.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CD.
  6. 노재경. 2008. 하천에 물이 얼마나 흘러야 하나. 사람과 물(편집대표 권순국) : 355-396. 서울대학교출판부.
  7. 노재경. 2004. A system for estimating daily paddy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in simulating daily streamflow. 한국농공학회논문집 46(7) : 71-80.
  8. 노재경. 2003. 용수 수요를 고려한 DAWAST 모형의 적용성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6(6) :1097-1107.
  9. 노재경. 2000. 저수량 오차를 목적함수로 한 저수지 일 유입량 모의. 한국농공학회지 42(4): 76-86.
  10. 노재경. 1991. 토양수분저류에 의한 일 유출량 유역 모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Nash, J.E. and J.V. Sutcliffe.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1 - 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10(3) : 282-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