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yeongjae O Chiik's Views on Classical Studies

경재(褧齋) 오치익(吳致翼)의 경학관(經學觀)

  • Received : 2009.08.03
  • Accepted : 2009.09.11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views of Gyeongjae O Chiik on Classical Studies. O is the second son of Noju O Heesang (1763-1833). The characteristics of his views are as follows. First, unlike his father, Gyeongjae is more interested in Chinese Textual Criticism than in Hsing-li hsüeh. Therefore, he provides textual interpretation in detail with erudition in his Manrok and Munjip on the formation and problems for such classics as The Four Classics, The Classic of Poetry, The Book of Changes, The Rites of Zhou, The Book of Rites, and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Second, his openness. He didn't canonize The Book of Changes. Also, he thought that the analysis of Jeongja in his Annotation on the Book of Changes and Zhuxi's Original Interpretations,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time, were not the only interpretation possible. He argued that other interpretation is possible depending on perspectives and it is desirable. We can see that Gyeongjae had transcended the world view of Zhuxi Studies. Third. he put the emphasis on the theories during the Han dynasty. He showed the inclination toward the Yuheung theories rather than Zhuxi theories in regard of the discussion of names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Fourth, unlike other Confucius scholars in Chosun, he showed interests in Gongyangjeon and Gokryangjeon. He compiled Gonggokmunseon with beautiful writings from both works. Fifth, he was interested in the dynamics of constant numbers. He grasped that what is important in the Book of Changes is not right principles but constant numbers and points. Thus he compiled Sangjeomyuhoe. Besides, he was also interested in the Rites of Zhou.

본 논문은 조선 순조 대 산림(山林)인 노주 오희상의 차자(次子)인 경재(褧齋) 오치익(吳致翼)의 경학관(經學觀)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경재 경학관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재는 부친 노주와는 달리 성리설 보다는 고증학(考證學)에 관심을 두었다. 이에 경재는 『만록(漫錄)』과 『문집』에서 『시경』 『서경』 『주역』 『주례』 『예기』 『춘추』 등 제 경서의 성립 및 의문점에 대한 상세하고 해박한 고증학적 견해를 서술하고 있다. 둘째, 개방성을 들 수 있다. 경재는 『주역』을 신성시하지 않았다. 또한 당시까지만 해도 절대적인 권위로 군림하고 있던 정자(程子)의 『역전(易傳)』과 주자(朱子)의 『본의(本義)』만이 유일무이(唯一無二)의 해석이 아니라 보는 이의 각도에 따라서 얼마든지 다른 견해가 가능하며 또 그런 태도가 바람직한 태도임을 주장하고 있다. 이에서 경재의 주자학적(朱子學的) 세계관(世界觀)을 초탈한 일면을 볼 수 있다. 셋째, 한 대(漢代) 학설에 비중을 두었다. 이에 『논어』의 인명에 대한 견해에서도 경재는 당시까지 권위의 상징이던 주자설 보다도 오히려 유흠설(劉歆說)에 더 기울어지는 것을 감지(感知)할 수 있다. 넷째, 당시 조선시대 유학자들과 다르게 『공양전』과 『곡량전』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에 『공양전』과 『곡량전』에서 문장이 아름다운 것을 선택하여 『공곡문선(公穀文選)』을 편찬하였다. 다섯째, 상수역학(象數易學)에 관심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경재는 역(易)은 의리가 주가 아니라 상수와 점(占)임을 명확히 파악하고 있었다. 이에 『상점유회(象占類會)』를 편찬하였다. 이밖에 『주례』에 관심을 두기도 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