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f Countermeasures and Efficient Use of Volume of Artificial Reefs Deployed in Fishing Grounds

어초어장으로 시설된 사각형어초의 수량 산정 및 유효공용적 평가

  • 김호상 (국립수산과학원 자원조성사업단) ;
  • 이정우 (국립수산과학원 자원조성사업단) ;
  • 김종렬 (국립수산과학원 자원조성사업단) ;
  • 윤한삼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개발연구소)
  • Received : 2009.06.12
  • Accepted : 2009.08.18
  • Published : 2009.08.25

Abstract

To estimate the status and volume of artificial reefs(ARs) deployed at the sea bottom in fishing grounds, this study assessed the initial volume of ARs, the cubic volume of AR groups, and the porosity of each AR using image data collected during a survey using a multi-beam echo sounder(MBES) and a side scan sonar(SSS).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data collected during diver surveys and used to develop a new method and prediction formulas for countermeasures, facility volume, and efficient use of volume for deployed ARs(cubic concrete). The field survey results for nine ARs deployed in the Busan Sea region were calculated, and the average value of coefficient k(indicating the efficient use of volume ratio) among ARs was 0.753,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oefficient k and year(Yr) of deployment was calculated as k=0.0023Yr+0.72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factors was poor. In years following the deployment of artificial reefs, coefficient k and year of deployment were not correlated, in spite of the hardening ground due to subsidence and the reduced distance between ARs. Consequently, it is reasonable to suppose that coefficient k was defined by bottom surface conditions and initial deployment conditions.

본 연구에서는 인위적인 어장 조성을 위해 해저에 시설된 사각형어초의 현존 상태 및 수량을 평가하고자 Multi-Beam Echo Sounder(MBES)와 Side Scan Sonar(SSS) 등의 조사에서 생산된 자료를 사용하여 단위어초의 부피, 산적 어초의 체적 및 공극률을 계산하고 이를 잠수조사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단위어초(사각형 어초)의 현존 시설량 산정공식의 효율성을 검토하였다. 부산연안에 시설되어 있던 총 9곳의 사각형어초로 조성된 단위어초의 평균 유효공용적율 k값은 0.753이었으며 k값과 시설경과년수(year,Yr)와의 상관식은 k=0.0023Yr+0.725로 추정되었으나 그 상관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공어초 설치후 시간이 경과할 수 록 산적되어진 어초의 침하 또는 간극의 축소로 인해 다짐의 정도가 커지는 효과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어초의 시설 경과 연도와 k값과의 상관성은 낮았으며 이에 반해 해역의 저질 조건 및 초기 시설 당시의 설치조건에 따라서 k값이 달라 질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수산과학원, 2008, 2007년 부산광역시 인공어초어장관리 조사보고서, 291pp.
  2. 김승철, 신현옥, 2001, 자란만의 해저지형 및 인공어초의 분포 조사 연구, 한국수산학회, 제37권, 제3호, pp 214-222.
  3. 김진호, 유재근, 홍준표, 손팔원, 최낙중, 김병균, 최용석, 2006, 사각형 인공어초의 실체적율 및 개수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마린엔니지어링학회 전기학술대회 논문집, pp.211-212.
  4. 김헌태, 2001, 비정상 흐름장의 인공어초 침하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제15권, 제2호, pp.33-38.
  5. 류청로, 류연선, 신현옥, 1994, 해양목장화를 위한 적정어초 및 설계기술 개발, 수산청, RCOID 931-1213-06-1, 276pp.
  6. 서성호, 이영권, 이익효, 김대권, 2007, 강제어초의 효율성에 관한 현장조사, 한국해양공학회지, 제21권, 제5호, pp.61-67.
  7. 윤상준, 김헌태, 2001, 비정상 흐름-파랑 공존장의 인공어초 침하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제15권, 제3호,pp.28-34.
  8. 이정우, 2000, 인공어초시설사업의 향후 정책방향, 한국양식학회, 한국양식, 제12권, 제1호, pp.35-76.
  9. 제종길, 이형곤, 신상호, 2003, 경기도 연안 인공어초의 수중 관찰, 한국수중과학기술, pp.9-26.
  10. 카키모토 히로시, 2003, 외국의 인공어초, 한국수중과학기술논문집, pp.37-47.
  11. 홍종현, 김문훈, 우광성, 고성현, 2004, 인공어초용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최적 배합설계 모델, 한국해양공학회지, 제18권, 제1호, pp.5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