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evelopment of Size System for the Abdomen-obese Adult Males According to the Lower-body Obesity-type Analysis

복부비만 성인 남성의 하반신 비만유형별 치수체계 설정

  • Lim, Ji-Young (Dept. of Fashion Design & Business, College of Applied Science and Industry, Daejeon University)
  • 임지영 (대전대학교 응용산업대학 패션디자인.비즈니스학과)
  • Received : 2009.07.15
  • Accepted : 2009.08.12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help out-size consumers purchase the ready-made clothes and improve clothing fitness by classifying the lower bodies of abdomen-obese adult males and by setting up some size system according to each size interval of obesity types. The including criteria for subjects in this study was over 25 kg/$m^2$ of the BMI, over 90 cm of waist, and over 0.85 of WHR, and a total of 538 adult males satisfying them were enrolled. Results are as follows; 1st, the higher the age bracket was, the more increase in each age bracket's lower-degree obesity rate there was along with the more decrease in moderate-degree, while the higher the age bracket was, the more increasing tendency toward each age bracket's abdominal obesity there was. 2nd, 3 clusters were categorized by cluster analysis, into abdominal obesity, high-degree-type, trapezoid-type and cylinder-type. And 3rd, as a consequence of size system establishment according to lower-body types, the basic body sizes and reference body siz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ypes even in commonly-appeared size names at sections of respective types. The research findings above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the obesity types according to waist and hip sizes representing basic sizes and to design the pattern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obese body shapes when lower-half body clothes are designed among obesity groups. And it may be used as a basic data to decide the desirable output of production according to respective body types.

Keywords

References

  1. 김구자. (1991). 남성복의 치수규격을 위한 체형분류,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구자, 정명숙. (2001). 신사복의 패턴 그레이딩을 위한 체형분류 -44세에서 54세사이의 한국 성인남성을 대상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5(6), 1069-1078
  3. 김선옥, 권수애, 유정자. (2009). 복부 비만 노년 여성을 위한 슬랙스 패턴 개발.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157-166 https://doi.org/10.5934/KJHE.2009.18.1.157
  4. 김효숙, 이명희. (2008). 40, 50, 60대 비만체형 여성의 체형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2(4), 618-629 https://doi.org/10.5850/JKSCT.2008.32.4.618
  5. 박은주. (1993). 청년기 남성의 상반신 체형분석 및 원형설계를 위한 피복인간공학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보건복지부. (2005). 국민건강영양조사. 서울
  7. 백경자, 이정란. (2001). 남성 정장 바지원형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8), 1524-1535
  8.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2005). 의류제품치수관련 KS 규격 성인남성복. 서울
  9.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2005).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사업보고서. 서울
  10. 성민정, 김희은. (2001). 비만 판정지수에 의한 여대생의 체형분류 및 체형인지도. 한국의류산업학회지, 3(3), 227-234
  11. 성옥진. (2004). 중년 남성의 하반신 체형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3/8), 499-508
  12. 성옥진, 하희정. (2006). Plus-size 여성의 상반신 체형연구. 복식, 56(2), 101-111
  13. 손부현, 홍경희. (2005). 중년비만 여성의 기존 재킷 패턴 특성에 따른 착시효과 및 공극량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9(8), 1114-1124
  14. 유경진, 이정란. (2002). 남성 정장 상의원형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1), 62-73
  15. 유신정. (1991). 의복구성을 위한 20대 남성의 체형 변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선희, 서미아. (1997a). 남성 기성복의 적합성에 대한 소비자 실태 조사, 한국생활과학연구, 15, 155-176
  17. 이선희, 서미아. (1997b). 남성 기성복의 적합성에 대한 소비자 실태 조사. 한국생활과학연구, 25, 155-175
  18. 이진희. (2000). 비만 여성의 하반신 체형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2), 237-244
  19. 임지영, 김양원. (2009). 복부비만 중년여성의 슬랙스 패턴 그레이딩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1(5), 771-778
  20. Jee, S. H., Sull, J. W., Park, J, Lee, S.Y., Ohrr, H. & Guallar, E. (2006). Body-mass index and mortality in Korean men and women. N Engl J Med, 355(8), 779-787 https://doi.org/10.1056/NEJMoa054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