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복추구혜택에 따른 20대 여성의 속옷구매행동

Clothing Pursuit Benefits and Underwear Purchase Behaviors of Females in Twenties

  • Jeon, Min-Ji (Dept. of Desig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Oh, Hee-Sun (Dept. of Desig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09.02.20
  • 심사 : 2009.07.10
  • 발행 : 2009.08.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othing pursuit benefits of female consumers in twenties, and explain the differences in underwear purchase behaviors among them. For data collection,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responded by 232 female consumers living in Busa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frequency factor analysis using SPSS 12.0 for Windows, the factor analysis using Varimax, reliability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Duncan test, and ${\chi}^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sumers' clothing pursuit benefit was drawn from six factors: Self-esteem, Individuality, Fashion, Brand, Practicality, and Price pursuit.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of clothing benefit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rand pursuit group, Fashion pursuit group, Self-esteem pursuit group, and Individuality/rationality pursuit group. Second, the results of analysing underwear purchase behaviors among clothing pursuit benefit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urchase motive, source of information, evaluation criteria, and purchase practices. The underwear purchase motiv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diversity purchase factor between the groups; sources of information used for underwear purchas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window display factor. The underwear evaluation criteri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in decoration and practicality factors, while purchase practic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only in underwear purchasing plac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지현, 홍금희. (2000). 남성집단의 의복추구혜택에 따른 쇼핑성향과 정보원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1), 43-54
  2. 강지흔. (2003). 20-30대 남녀 소비자의 속옷태도와 구매동기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유화, 권수애, 김은영. (2001). 20대 여성의 내의류 상표 선호도와 구매시 평가기준. 한국의류학회지, 25(7), 1203-1214
  4. 김미영, 이은영. (1992). 생활양식유형과 의복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1), 3-22
  5. 고애란, 홍희숙. (1995). 의류제품에 대한 혜택세분화와 정보원사용 및 상점 선택행동 연구-제주지역 여성을 대상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9(5), 811-825
  6. 고인숙. (1996). 성인여성의 자아개념과 속옷구매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남미우, 김광경. (2003). 여자 대학생의 쇼핑성향에 따른 의복추구혜택, 정보원 활용 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9), 55- 67
  8. 박미경. (1987). 직업여성의 속옷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신수연. (2001). 20-30대 성인남성의 의복추구혜택에 따른 쇼핑성향, 점포속성중요도, 자기이미지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9(6), 818-829
  10. 속옷업계 유통 채널이 바뀐다. (2006, 3. 13). 어패럴뉴스. 자료검색일 2008, 5. 15, 자료출처 http://www.apparelnews.co.kr
  11. 안나영. (2006). 20-30대 소비자의 의복태도에 따른 속옷 구매행동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금실. (1992). 사회계층변인에 따른 여성의 의복태도와 구매행동에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이홍. (1995). 여성 내의의 브랜드 이미지에 따른 포지셔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안양숙, 김용숙. (1999). 여고생의 성역할정체감과 속옷 구매행동.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1(1), 1-11
  15. 이옥희, 김경희. (2003). 혜택세분화에 따른 20대 여성의 니트웨어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6), 601-611
  16. 임종원, 김재일, 홍성태, 이유재. (1994). 소비자행동론. 서울: 경문사, pp. 325-326
  17. 이명재. (2003). 대학생들의 패션내의 구매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정미실. (1997). 의복 상표충성도의 차원과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속옷을 중심으로 -. 한국의류학회지, 21(1), 237-247
  19. 조은희. (1998). 성인여성의 속옷구매동기와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정혜원. (2004). 여성의 내의 소비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3/4), 422-432
  21. 차수정. (2005). 청소년 전기 여학생의 브래지어 착용실태 및 패턴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최종명, 박은희, 심규진, 김인숙. (1998). 속옷에 대한 착용태도 및 구매실태: 청주시내 여중생과 어머니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7(2), 103-112
  23. 최종명. (2002). 청주지역 여대생의 속옷에 대한 태도와 개인적 특성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1(2), 189-196
  24. 최진화. (1990). 구매자의 연령 및 수입정도에 따른 외의와 내의의 선택. 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최경은. (2006). 소비자의 성별 구매특성에 따른 내의류 제품전략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가정학회지, 9(4), 41-53
  26. 패션시장 총 점검-이너웨어: 패션·고급화 현상 더욱 가속화된다. (2003, 1. 10). 텍스헤럴드. 자료검색일 2008, 4. 30, 자료출처 http://www.fashionn.com
  27. 포지셔닝 특집-이너웨어: 라이프스타일 란제리에 주목하라. (2007, 9. 19). 텍스헤럴드. 자료검색일 2008, 4. 30, 자료출처 http://www. fashionn.com
  28. 한국섬유산업연합회. (2005). 2005년 의류소비실태 조사보고서. 자료 검색일 2008, 4. 24, 자료출처 http://www.kofoti.or.kr
  29. Engel, J. F., Blackwell, R. D., & Miniard, P. W. (1986). Consumer behavior(5th ed.). Chicago: The Dryden Press
  30. Gutman, J. (1982). A means-end chain model based on consumer categorization processes. Journal of Marketing, 46(2), 60-72 https://doi.org/10.2307/3203341
  31. Peter, J. P., & Olson, J. C. (1987). Consumer behavior. Marketing Strategy Perspectives, Homewood: Irwin Inc, p. 30
  32. Shim, S. Y., & Bickle, M. C. (1994). Benefit segments of the female apparel market: Psychographics, shopping orientations and demographics.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12(2), 1-12 https://doi.org/10.1177/0887302X940120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