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modern Characteristics Expressed on Characters' Make-up Coordination of Fantasy Movies - Focused on the works of Tim Burton -

판타지 영화의 캐릭터 분장 코디네이션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특성 - Tim Burton 감독의 작품을 중심으로 -

  • Chang, Mee-Sook (Dept. of Beauty Design,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장미숙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미용예술전공)
  • Received : 2008.01.19
  • Accepted : 2009.03.23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characters' make-up coordination that changes the narrative of the fantasy movies to a visual fantasy, especially it focuses on the post-modern features from the works of Tim Burton, a post-modernist.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firstly, studying post-modernism that influenced the works of Tim Burton, secondly, researching (1988), (1989), (1990), (1992), (2003) and (2005) and their main characters' make-up design. Thirdly, analyzing the otherness and plural-code that are the post-modern characteristics expressed on characters' make-up coordination of fantasy movies. The otherness means the division of the middle and the surroundings and the rise of the outsiders. Fantasy characters that scares off human such as ghosts, aliens, apes, kidults, mutations, man-made men are in the middle. The plural-code takes the symbolic and pluralistic dimension in to the movie, mixes the sign system, and which natural and supernatural system cross over. In the movies, Beetle Juice who was both ghost and devil expresses life and death, Bat man, Cat woman, Penguin man expresses human and animal, and Edward means human and inhuman. Willy Wonka's makeup makes him look younger, but his grown-up-like clothes show doubleness. For that matter, make-up coordination is the mirror of reflection of period and human being's inner life.

Keywords

References

  1. 고윤전. (1995). 영화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연구: 영화 텍스트 내에서의 해체와 재구성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은미. (2008). 홍상수 영화의 포스트모더니즘 미학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영준. (1994). 포스트모더니즘 영화연구: 현대 공상과학 영화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진아. (2006, 8. 7). 상상을 현실로 만들어내는 힘 '팀 버튼', 자료검색일 2008,7.10, 헤럴드생생. 자료출처 http://news.nate.com/view/20060807n04612
  5. 김진홍. (2005). 포스트모더니즘과 컴퓨터 애니메이션 발전의 사적 고찰.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현정. (2005. 9. 13). 광활한 상상의 세계, <찰리와 초콜릿 공장>. 자료검색일 2008, 7. 10. 씨네21. 자료출처 www.cine21.com
  7. 문신애. (2004). 포스트모더니즘 패션에 표현된 패치워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배트맨 특집(1)-배트맨의 탄생 과정과 역대 영상 작품 소개.(2005, 6. 3). 자료검색일 2008, 7. 10, 씨네21. 자료출처www.cine21.com
  9. 이수인. (2005). 컬렉션에 나타난 현대 헤어스타일과 메이크업의 포스트모더니즘 표현양상.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이진영. (1999). Tim button 영화의 Post-modernism 표현양식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현주. (2006). 타투(Tattoo)미학의 타자성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장광현. (2005). 영화적 이미지의 관점에서 본 영화 오프닝타이틀에 관한 연구:들뢰즈의 영화론과 포스트모더니즘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장미숙. (2005). 20세기 영화 특수 분장사와 캐릭터 특수분장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최세라. (2001). 포스트모더니즘 영화의 특성 연구:시간과 공간 변화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한혜영. (1993). 포스트모더니즘 측면에서 접근한 시각표현 연구:영상으로부터 도출된 평면작품을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Beetle Juice. (1988, March 30). Roger Ebert. Retrieved Aug. 15. 2008 from www.RogerEbert.com
  17. Best. S. & Kellner. D. (1991). Postmodern Theory: Critical Interrogations. New York:The Guilford Press. p.5
  18. Burton. T.(2006). Burton on Burton. London:Faber and Faber. pp.1-9
  19. Canby V. (1988. May 8). Beetle Juice is pap for the Eyes.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June 17. 2008. from www.wikipedia.org
  20. Edward Scissorhands. (2008, December 2). Wikipedia. Retrieved June 5, 2008. form www.wikipedia.org
  21. Harvy. D. (1990). The Condition of Postmodernism. Oxford:Blackwell. p.48
  22. Habermas. J. (1987). 모더니티:미완성의 프로젝트(이영철 역). 중앙일보계간미술(편), 현대미술비평 30선. 서울:중앙일보사. pp.162-170. (윈저 1981 출판)
  23. Howe. D. (1988. April 1). Beetle Juice. Washington Post. Retrieved Aug. 1. 2008. from http://www.washingtonpost.com/wp-srv/style/longterm/movies/videos/beetlejuicepghowe_a0b155.htm
  24. Joffe, H. (2002). 위험사회와 타자의 논리(박종연, 박해광 역). 서울:한울아카데미, pp.21-28 (윈저 1999 출판)
  25. Kehoe. V. J-R.(1991). Special Make-up Effects. Boston:Focal Press. p.58
  26. Leutrate, J-L. (2002). 영화의 환상성(김영온,오일환 역). 서울:동문선, p.38. (윈저 1995 출판)
  27. McGowan, J.(1991). Postmodernism and Its Critics. New York:Cornell Univ. Press, pp.16-17
  28. Oompa Loompa. (2007, June 1). Wikipedia. Retrieved Aug. 24, 2008. form www.wikipedia.org
  29. Story, J. (1999). 문화연구와 문화이론(박모 역). 서울:현실문화연구, pp.242-244. (윈저 1993 출판)
  30. Timpone, A. (1996). Men, Makeup and Monsters. New York: St. Martin's Griffin, p.48
  31. Tolkein, J.R.R. (2006, March 12). Wikipedia. Retrieved June 5, 2008. form www.wikipedi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