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acial Color & Shape of an Elderly Women

노인여성의 얼굴색과 얼굴 형태 분석

  • Kim, Ae-Kyung (Dept. of Clothing & Textil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Kyung-Hee (Dept. of Clothing & Textile, Pusa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08.06.10
  • Accepted : 2008.12.07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is study is to help make-up and coordination for image-making after analysis of facial color and shape of elderly women. The data was analyzed 55-75 years old 212 elderly women's face color and pictures by means of SPSS 12.0 statistics package. On the basis of the colorimetric data on face by Minolta CM2500D, this research considered the analysis of facial color, patternization of facial color and its analysis by age group; for the analysis of facial shape, this research patternized facial shape and analyzed its characteristic using both contour-based facial shape analysis and Kamata facial shape analysis. As for facial color, it was found that the lower age bracket has bright and reddish face, looking fine, while the higher age bracket has a conspicuously yellowish face, looking bad. The community of facial color is classified as 3 types and it was found out that the facial color of the subjects belonging to Type 3, whose L value is the largest, looked the brightest; the face of the subjects belonging to Type 2, whose a value is the largest, was much tinged with red, and the face of the subjects belonging to Type 1, whose b value is the largest were tinged with yellow.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facial shape, there appeared oval & long forms in the classification by contour, while there appeared a lot of downward-directed power and inner-directed power in the classification by Kamata, which is believed to reflect the phenomenon that their chin line becomes roundish and the facial length also tend to be longer due to aging.

Keywords

References

  1. 고충환. (1977). 얼굴형태에 따른 성격분류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구자, 정혜원. (2002). 한국노인여성의 피부색 분류와 선호색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2), 303-314
  3. 김구자. (2003). 한국 성인 남성의 피부색 분류와 선호색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11), 1338-1349
  4. 김진숙, 이경화. (2004). 영상계측 프로그램을 이용한 여대생 얼굴의 유형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8(11), 1470-1481
  5. 김지은. (2004). 우리나라 도시여성의 기성복 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이회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나혜은. (1989). 개인 색채 진단에 따른 이미지 연출에 관한 연구.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문남원. (2000). 시각적 판단에 의한 얼굴유형 분류와 계측 특성 연구. 복식문화연구, 8(1), 133-144
  8. 박화순. (2000). 대학생의 퍼스널 칼라 유형분류와 그에 따른 의복색의 이미지 평가.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송미영, 박옥련. (2004). 20대 여성의 얼굴유형과 분류 및 형태적 특성 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지, 8(1), 76-90
  10. 신향선. (2002). 퍼스털 컬러 시스템에 따른 유형의 분포도와 색채진단변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우윤정. (1998). 한국여성의 피부색, 얼굴색, 화장색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민아, 김구자. (2002). 한국 여성의 피부색 분류와 의상선호색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1), 133-143
  13. 이원자, 심규남, 박혜령, (1997). 나이와 지역에 따른 피부색, 화장색, 얼굴색의 분포. 한국색체학회지, 9(1), 37-47
  14. 이해영. (2004). 색조화장에 있어서 퍼스털 컬러 인지도와 유형별 색채 선호도 조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화순. (1992). 한국여성의 메이크업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통계청. (2008). 2008 고령자 통계. 대전. (통계청)
  17. Kamata Juku. (2008) 顔分析鎌田塾. Tokyo : 講談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