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of Masstige Clothing Benefit Seeking and Brand Loyalty

경주시 대학생의 매스티지 의류추구혜택과 상표충성도의 관계

  • Yu, U-Jong (Department of Home Education of Gyeongju-Campus of Dongguk University) ;
  • Chung, Mi-Sil (Department of Home Education of Gyeongju-Campus of Dongguk University) ;
  • Jeon, Eun-Kyung (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 of Ulsan University)
  • 유우종 (동국대 경주캠퍼스 가정교육과) ;
  • 정미실 (동국대 경주캠퍼스 가정교육과) ;
  • 전은경 (울산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08.06.24
  • Accepted : 2009.02.11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masstige clothing benefit seeking and brand loyal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university students, 248 males and 262 females, living in Gyeong-ju, via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Four factors of the masstige clothing benefit seeking were identified; the rise of the social position and self-improvement, the popularity and durability, the desire for individuality and favorable impression, and the rare and precious value. Three factors of the brand loyalty were identified; the committed brand loyalty, the continued brand loyalty, and the symbolic brand loyalty. 2) The committed brand loyalty had a positive relation with two factors of masstige clothing benefit seeking, that is, the popularity and durability, the desire for individuality and favorable impression. The symbolic brand loyalty had a positive relation with the rise of the social position and self-improvement of masstige clothing benefit seeking. 3) There was sex difference on the desire for individuality and favorable impression, the popularity and durability of the masstige clothing benefit seeking. Also, there was sex difference on the committed brand loyalty.

Keywords

References

  1. 강지혜. (1995). 혜택세분화에 따른 남성정장 기성복의 브랜드인식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선숙. (2005). 매스티지명품에 관한 고찰(추구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9(11), 1381-1388
  3. 김선숙. (2006). 매스티지명품에 관한 고찰(쇼핑 성향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0(1), 12-19
  4. 김순아, 이영선. (1995). 소비자의 의복 상표충성도와 의복구매행동. 한국의류학회지, 19(4), 602-614
  5. 박민주, 이유리. (2005). 패션명품 소비자의 상표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11), 1485-1497
  6. 박정현. (2004. 7. 2). 매스티지 마케팅의 성공비결. LG주간경제, 787
  7. 송정민. (2005). 브랜드 확장개념으로서 매스티지브랜드에 대한 광고태도와 구매태도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양정하. (2003). 패션제품의 명품 추구 혜택, 상표충성, 유행선도력의 관계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원선. (1987). 의복변인에 의한 시장세분화 및 라이프스타일변인과의 관련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은영. (1992). 패션마케팅. 서울:교문사. 181-183
  11. 임정선, 임숙자. (1997). 고등학생의 상표충성차원에 의한 진의류 시장세분화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4), 782-794
  12. 정미실. (1997). 의복 상표충성도의 차원과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속옷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1(1). 237-247
  13. 정미실. (1998). 정장의복 상표충성도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경주와 서울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6(3). 161-172
  14. 진병호. (1991). 의복품목에 따른 상표충성의 결정변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진병호. (1995). 의류제품에 대한 상표충성의 차원과 형성모델.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채진미, 이은영. (2005). 연령과 사회계층 변인에 따른 해외명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 빈도. 한국의류학회지, 29(6), 885-895
  17. 최윤정, 이은영. (2004). 패션명품의 상표자산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8(7), 1007-1018
  18. 최일경. (1995). 혜택세분화와 인식도에 의한 진의류 브랜드 이미지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태희진. (2006). 매스티지 브랜드 개성이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홍희숙. (2005). 상황과 소비자특성에 의한 의류제품 혜택세분화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황선영. (2002). 명품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황진숙, 양정하. (2004). 패션제품의 명품 추구혜택과 상표충성도의 관계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6). 862-871
  23. Assael, H. (1995).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action(5th ed.), South-Western College Publishing, 20. pp. 131-136
  24. Aaker, D. A. (1991). Managing brand equity: Capitalizing on the value of a brand name. New York: The Free Press, 39-40
  25. Heley, R. L. (1971). Benefit segmentation: A Decision-oriented research tool. Journal of Marketing, 32(3), 30-35 https://doi.org/10.2307/1249759
  26. Peter, J. P., & Olson, J. C., (1987). Consumer behavior, Marketing Strategy Perspectives, Homewoods: Irwin Inc, 30
  27. Silverstein,,M.J., & Fiske, N. (2003). Luxury for the masses. Harvard Business Review, 81(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