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in Korea

우리나라 기록관리학 연구 동향 분석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is research presents research trend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in korea and future development plan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the thesis of the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journals in Korea according to subjects, issue periods, journals and researcher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core subject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research in Korea have been identified as law, establishment/policy, preservation and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and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 subject fields have come diverse thanks to the establishment of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Second, it has been proved that the productivity of research thesi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in Korea increases as time goes by, and, especially, it improved by a big margin during 1997-2001. Third, the subject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are generally comprehensive,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subject fields among the thesis that have been researched.

이 연구는 우리나라 기록관리학 전문 학술지의 논문을 주제영역별, 간행시기별, 학술지별, 연구자별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기록관리학 연구의 동향 및 향후 발전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우리나라 기록관리학 연구의 핵심 주제는 법률 제도/정책, 보존, 전자기록관리로 밝혀졌으며, 기록관리법의 제정으로 주제 영역의 다양성이 확보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우리나라 기록관리학 연구논문의 생산성은 시간의 흐름과 함께 증가한다는 것을 입증하였으며, 특히 1997-2001년에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분석대상의 논문은 학술지별, 연구자별로 주제영역의 차이가 있었지만, 대체로 기록관리학의 주제를 망라적으로 다루고 있음을 밝혔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희정. "저자 동시인용분석에 의한 국내외 기록관리학 분야의 지적구조 비교에 관한 연구."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9권, 제3호(2005. 9), pp.207-224.
  2. 김희정. "국내외 기록관리학 연구영역의 시계열적 분석 및 확장성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6권, 제2호(2006. 12), pp.5-25.
  3. 손정표. "한국의 문헌정보학 분야 연구동향 분석 : 1957-200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4권, 제3호(2003. 9), pp.9-32.
  4. 오세훈.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학술지 논문과 인용문헌 분석을 통한 연구동향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22권, 제3호(2005. 9), pp.379-408.
  5. 유사라. "주요 학술지 주제분석을 통한 정보학 연구동향 비교." 한국비블리아, 제14권, 제2호(2003. 1), pp.179-197.
  6. 이명희. "내용분석법에 의한 문헌정보학 학술지 연구논문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6권, 제3호 (2002. 9), pp.287-310.
  7. 이재윤, 문주영, 김희정.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 지적구조 분석."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1권, 제1호(2007. 3), pp.345-372.
  8. 정연경. "미국 문헌정보학 대학원의 기록관리학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6권, 제4호(2002. 12), pp.101-122.
  9. 정연경. "미국의 기록관리학 지식 범주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3권, 제2호(2003. 9), pp.34-51.
  10. 최정태. "기록관리학 그 교육의 향방 : 신설 9개 대학원 교과과정을 보면서."기록학연구, 제2호(2000. 6), pp.169-193.
  11. Brichford, Maynard. "Who Are the Archivists and What Do They Do." American Archivist, Vol.51(Winter/Spring 1988), pp.106-110. https://doi.org/10.17723/aarc.51.1-2.5m665816p722303q
  12. Couture, Carol. "Education and Research in Archival Science: General Tendencies." Archival Science, Vol.1, No.2(June 2001), pp.157-182. https://doi.org/10.1007/BF02435646
  13. Cox, Richard. J. "American Archival Literature: Horizons and Continuing Needs 1901-1987." American Archivist, Vol.50, No.1(Summer 1987), pp.306-323. https://doi.org/10.17723/aarc.50.3.l0r6284v0r925527
  14. Cox, Richard. J. "Searching for Authority: Archivists and Electronic Records in the New World at the Fin-de-Science." First Monday, Vol.5, No.1(2000).
  15. Gilliland-Swetland, Anne. J. "Archivy and the Computer : A Citation Analysis of North American Archival Periodical Literature." Archival Issues, Vol.17, No.2(1992), pp.95-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