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휴먼팩터 연구 방법론: 3D 시각 피로를 중심으로

  • 발행 : 2009.06.30

초록

키워드

참고문헌

  1. 이형철(2002).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기술개발에서의 휴먼팩터: 3차원 모양 및 깊이 항상성의 구현. 인포메이션디스플레이, 3권 2호, 49-55
  2. 이형철(2004). 3차원 모양 항상성의 휴먼팩터: 정신물리학적 접근.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5권 2호, 33-39
  3. 이형철(2008). 3DTV 기술도약의 발판: 3D 휴먼팩터, 방송공학회지, 13권 1호, 65-71
  4. 이형철, 김은수(2001). 3D 방송 시스템 개발에서의 심리학의 역할 및 기여, 방송공학회지, 6권 2호, 115-125
  5. 이형철(2009). 실감방송에서의 3D 깊이/모양 지각감 왜곡의 측정, 방송공학회 논문지, 14권 2호 210-218 https://doi.org/10.5909/JBE.2009.14.2.210
  6. 감기택, 이형철, 이승현(2009). 시각적 피로도에 영향을 미치는 입체영상과 시청환경 특성, 감성과학, 인쇄중
  7. Li, H.-C.O., Seo, J., Kham, K. & Lee, S.(2008). Method of measuring subjective 3D visual fatigue: a five-factor model. OSA:Digital Holography 2008
  8. Li, H.-C.O., Seo, J., Kham, K. & Lee, S.(2008). Measurement of 3D visual fatigue using event-related potential: 3D oddball paradigm, 2008 3D TV conference
  9. Kham, K., Li, H.-C.O. & Lee, S.(2008). Systematic measurement of visual fatigue from 3D contents with 3D specific scene parameters. Proceedings of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cognitive science, 623-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