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erties of Reaction Rim on Blast Furnace Slag Grain with Alkali Activator according to Hydration Reaction

알칼리 자극제(刺戟劑)에 의해 고로(讀爐) 수쇄(水碎) 슬래그의 주위(周圍)에 형성(形成)된 Reaction Rim의 특성(特性)

  • Published : 2009.06.27

Abstract

Since there are $OH^-,\;[SiO_4]^{4-}$ ion of high concentration at early hydration in the system added with activator (NaOH+$Na_2OSiO_2$) in the blast furnace slag, different from cement hydration, hydration progresses fast without induction period and forms reaction rim around the blast furnace slag grain. $0.6{\mu}m$ reaction rim was formed around the blast furnace slag grain from the 1 day of reaction period, and the thickness of reaction rim increases over the reaction time, growing to $1{\mu}m$ on the 28 days. Unreacted blast furnace slag grain deformed from angular shape to the spherical shape. Mole ratio of Ca/Si tends to decrease from inside of blast furnace slag grain to reaction rim. Difference of Ca/Si mole ratio between reaction rim and inside the blast furnace slag grain decreased and generated hydrate was a poor crystalline CSH(I) with Ca/Si mole ratio less than 1.5.

고로 수쇄 슬래그에 알칼리 자극제(NaOH+$Na_2O.SiO_2$)를 첨가한 계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수화반응과 다르게, 수화반응 초기에 높은 농도의 $OH^-,\;[SiO_4]^{4-}$ 이온이 존재하게 되므로, 유도기가 없이 수화반응이 빠르게 진행되며, 슬래그 입자 주위에 수화물에 의한 reaction rim을 형성한다 반응기간 1일부터 고로 수쇄 슬래그 입자 주위에 $0.6{\mu}m$의 reaction rim이 형성되었고, 반응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reaction rim의 두께는 증가하여 28일에 $1{\mu}m$으로 성장하였으며, 미반응 고로 수쇄 슬래그 입자는 각진 형태에서 구형의 형태로 변화되었다. 슬래그 입자의 내부로부터 reaction rim으로 갈수록 Ca/Si의 몰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었다. 그리고 반응기간이 경과할수록 슬래그 입자 내부와 reaction rim간의 Ca/Si 몰비 차이는 작아졌으며, 생성된 수화물은 저결정성의 Ca/Si 몰비가 1.5 미만인 CSH(I)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원기, 2000 : 폐기물을 이용한 무기결합재의 개발, 세라미스트, 3(6), pp. 20-25
  2. 김원기, 소정섭, 배동인, 2002 : 알칼리 첨가 침 양생방법에 따른 슬래그 경화체의 특성, 한국 콘클리트학회 가을학술발표회 논문집, 14, pp. 27-32
  3. S. D. Wang, 1995 : Hydration products of alkali activated cement, Cem. Concr. Res., 25, pp. 561-571 https://doi.org/10.1016/0008-8846(95)00045-E
  4. D. M. Roy, 1999 : Alkali-activated cement: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Cem. Concr. Res., 29, pp. 249-254 https://doi.org/10.1016/S0008-8846(98)00093-3
  5. J. Davidovits, 1994 : Geopolymers: Man-made rock geosynthesis and the resulting development of very early high strength cement, J. Materials Education, 16(2&3), pp. 91-139
  6. A. R. Brough and A. Atkinson, 2002: Sodium silicatebased, alkali -activated slag mortars: Part I. Strength, hydration and microstructure, Cem. Concr. Res., 32, pp. 865-879 https://doi.org/10.1016/S0008-8846(02)00717-2
  7. 조재우, 2000 :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이용한 시멘트 기술, 세라미스트, 3(6), pp. 25-30
  8. 안지환, 조진상, 2003 : 알칼리 자극제에 의한 고로 수쇄 슬래그의 활성화 특성, 한국세라믹학회지, 40(10), pp. 1005-1014
  9. 문경주, 2004 :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비소성 시멘트 및 콘크리트의 특성,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0. C. Shi and R. Day, 1995: A calorimetric study of early hydration of alkali-slag cement, Cem. Concr. Res., 25, pp. 1333-1346 https://doi.org/10.1016/0008-8846(95)00126-W
  11. M. Roode, E. Douglas and R. T. Hemmings, 1987 : X-ray diffraction measurement of glass content in fly ashes and slags, Cem. Concr. Res., 17, pp. 183-197 https://doi.org/10.1016/0008-8846(87)90101-3
  12. C. Shi and R. Day, 1996 : Some factors affecting early hydration of alkali-slag cement, Cem. Coner. Res., 26, pp. 439-447 https://doi.org/10.1016/S0008-8846(96)85031-9
  13. 장복기 등, 1998 : 시멘트 재료화학, pp. 179-188, 전남대학교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