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권오길. 박만갑. 이준상. 1993. 원색 한국패류도감. 아카데미서적.
- 김용화. 윤일병. 유순애. 1990. 농약이 자연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조사연구. 환경청 특정연구보고서. pp. 200.
- 김종길. 최영철. 최지영. 심하식. 박해철. 김원태. 박병도. 이종은. 강기경. 이덕배 농업 생태계내 수서곤충류의 생태 분석 및 환경 평가. 한응곤지. 46(3): 335-341.
- 김종선. 나철호 한국산 강도래목 곤충 2종(Oyamia nigribasis, Kamimuria coreana)의 생활사와 우화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29(2): 75-79
- 나철호. 김종선. 강양원. 함순아. 1994. 한국산 강도래류 3 과(넓은가슴강도래과, 그물강도래과, 강도래과)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 한국분류학회지 10(1): 1-15.
- 나철호. 조영관. 김종선. 1991. 지리산 뱀사골 강도래목 유충의 계절 및 고도에 따른 분포. 한국육수학회지. 24(2) : 69-76.
- 송광래, 1995. 한국산 거머리강(환형동물문)의 분류.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원두희. 권순직. 전영철. 2005. 한국의 수서곤충. (주)생태조사단.
- 위인선. 나철호. 이종빈. 백순기. 1991. 수환경오염에 대한 수서곤충 지표 종에 관한 연구 - 영산강을 중심으로-. 환경생물학회지. 9: 42-54.
- 윤일병, 1988. 한국동식물도감, 제30권 동물편(수서곤충류). 문교부.
- 윤일병. 공동수 원두희. 1992a. 금호강 수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한국육수학회지. 25: 167-175.
- 윤일병. 공동수. 유재근. 1992b.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에 의한 생물학적 수질평가 연구 (I).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0: 24-39.
- 윤일병. 공동수. 유재근. 1992c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에 의한 생물학적 수질평가 연구 (II).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0: 40-55.
- 윤일병. 1995. 수서곤충검색도설. 정행사.
- 윤종철. 1997. 논 생태계 내 절지동물 군집구조와 그 변화 패턴.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05.
- 조영관. 백순기. 김종선. 나철호. 1992. 동복천 수계에 서식하는 수서곤충의 군집에 관 한연구. 한국육수학회, 26(4): 285-292.
- 최영철. 김종길. 최지영. 김원태. 심하식. 박병도. 2007. 곤충다양성 지수를 이용한 도시 및 공단지역 농경지 환경 평가. 한응곤지. 46(3) : 363-373.
- 한민수. 2000. 친환경 농업 지역에서의 생물다양성 평가. 농공기술(5-6): 38-42.
- 한민수. 나은영. 김진오. 오영주. 김성필. 2003. 노에서의 생물다양성 평가 및 지표 생물 개발. 한국과학기술원 연구보고서. 371-381.
- 한민수. 강기경. 김진호. 김세근. 고문환. 박형만. 2000. 논농사에 있어서 생물 다양성 평가. 농과원 농환연보. 128-137.
- 한민수.나영은.방혜선.김영헌.김민경.노기안.이정택. 2007. 논 생태계 수서무척추동물상. 한국환경농학회지. 26(3): 267-273.
- 한민수. 신중수. 나영은. 이남종. 박문희. 김세근. 2002. 환경농업 시범마을 논시비에 따른 무척추 동물 개체수 변화. 한국환경농학회지. 21(2): 96-101.
- 홍용. 김태흥. 2007. 농생태계 서식하는 지렁이 종 분포조사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5(2): 88-93.
- Allen, J. D. 1995. Stream ecology. Structure and function of running waters. Chapman & Hall, London.
- Davies, S. P. 1996. 1995 NABS Secretory report. Bull. N. Am. Benthol. Soc.
- Edwards, C. A. 1988. Breakdown of animal, vegetable and industrial organic wastes by earthworms. Earthworms inwaste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SPB Academic Publishing, The Hague, The Netherlands. pp. 21-31
- Feber, R. E., L. G. Firbank, P. J. Johnson, D. W. Macdonald. 1997. The effects of organic fanning on pest and non pest butterfly abundance. Agriculture, Ecosystem and Environment. 64: 133-139. https://doi.org/10.1016/S0167-8809(97)00031-5
- Hynes, H. B. N. 1970. The ecology of running water. Liverpool Unv. Press.
- Magalof, R. 1958. lmfonn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atics. 3: 36-71.
- Magurran, A. E. 1988. Ecological diversity and its measurement. 179pp.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ndon.
- McNaughton, S. 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lassland. Nature. 216 : 168-198.
- Nakatani Y. and M. Ishii. 2002. Species diversity of Heteroptera communities in border vegetation of paddy fields cultivated with or without agrochemical applacation. Jpn. J. Appl. Entomol. Zool. 46: 92-96. https://doi.org/10.1303/jjaez.2002.92
- Pennak, R. W. 1978. Fresh-water invertebrates of United States. 2nd. ED.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 Pielou, E. C. 1969. An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ecology. Wily Interscience, pp. 29-331.
- Pielou, E. 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Nwe York. 165pp.
- Surdick, R. F., A. R.Gaufin. 1978. Environmental requirements and pollution tolerance of Plecoptera. EPA-600/4-77-062. Cincineti, Ohio, USA.
- Uchida, S. 1990. Distribution of Plecoptera in the Tama-gawa river system. central Japan. Kluwer Academic publishers.
- Ward, J. V. 1992. Aquatic insect ecology. 1. Biology and habitat. John Willy & Sons, New York.
- Wolfgang 8., A. Harenberg, J. Zimmerman, B. Wei. 2003. Biodiversity, the ultimate agriconventional indicator? Potential and limits for the application of faunistic elements as gradual indicators in agroecosystem. Agriculture Ecosystem & Environment. 99-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