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diversity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on Organic Rice Paddy Field

유기농업 논에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다양성

  • 김종선 (전남대학교 생물학과) ;
  • 김도익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소) ;
  • 김선곤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소) ;
  • 강범용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소) ;
  • 고숙주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소) ;
  • 임경호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소) ;
  • 김홍재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소)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otal collected benthic macro invertebrates in rice paddy fields were identified 3 phylum, 5 class, 13 order, 25 family, 32 genera and 36 species, those in organic rice field were 12 order, 22 family and 28 species, and in conventional rice field were 10 order, 19 family and 25 species. The almost collected species inhabit lentic zone but Semisulcospira libertina, Corbicula fluminea, and Tipula sp. were habitat on lotic zone. The number of benthic macro invertebrates species was higher in organic paddy field than in conventional field. Eleven species were collected only on organic but eight species only on conventional field. The number of individuals were 870 on organic rice field which higher 3.6-fold on conventional field. The diversity indices of organic rice field were 1.57-2.45 and 0.71-2.61 in the first and second survey, respectively. The higher diversity indices, the lower dominance indices.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총 3문 5강 13목 25과 32속 36종이었는데, 출현한 분류군별 양상을 보면 주로 정수역에서 출현하는 종들이 많았지만 일반적으로 유수역에서 출현하는 다슬기나 재첩, 각다귀 등도 출현하였다. 유기농법 지역에서 출현한 분류군은 3문 4강 12목 22과 27속 28종이었고, 관행농법을 하는 지역에서 출현한 분류군은 3문 5강 10목 19과 23속 25종으로 유기농법 지역에서 3종이 더 출현하였다. 출현 분류군별 특성은 크게 유의한 결과를 찾기 힘들었고, 관행농법지역에서 출현하지 않았으나 유기농법 지역에서만 출현한 종이 11종이었고, 관행농법 지역에서만 출현한 종이 8종이었다. 개체수는 두 지역간에 큰 차이가 있었는데, 관행농법 지역에서는 245개체가 출현한 반면 유기농법 지역에서 총 870개체가 출현하여 3.6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종 다양도 지수는 1차 조사에서 관행농법 지역은 1.53-2.21의 범위와 유기농법 지역은 1.57-2.45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2차 조사에서는 각각 1.90-2.74와 0.71-2.61의 범위를 나타내어 우점도와 반대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오길. 박만갑. 이준상. 1993. 원색 한국패류도감. 아카데미서적.
  2. 김용화. 윤일병. 유순애. 1990. 농약이 자연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조사연구. 환경청 특정연구보고서. pp. 200.
  3. 김종길. 최영철. 최지영. 심하식. 박해철. 김원태. 박병도. 이종은. 강기경. 이덕배 농업 생태계내 수서곤충류의 생태 분석 및 환경 평가. 한응곤지. 46(3): 335-341.
  4. 김종선. 나철호 한국산 강도래목 곤충 2종(Oyamia nigribasis, Kamimuria coreana)의 생활사와 우화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29(2): 75-79
  5. 나철호. 김종선. 강양원. 함순아. 1994. 한국산 강도래류 3 과(넓은가슴강도래과, 그물강도래과, 강도래과)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 한국분류학회지 10(1): 1-15.
  6. 나철호. 조영관. 김종선. 1991. 지리산 뱀사골 강도래목 유충의 계절 및 고도에 따른 분포. 한국육수학회지. 24(2) : 69-76.
  7. 송광래, 1995. 한국산 거머리강(환형동물문)의 분류.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원두희. 권순직. 전영철. 2005. 한국의 수서곤충. (주)생태조사단.
  9. 위인선. 나철호. 이종빈. 백순기. 1991. 수환경오염에 대한 수서곤충 지표 종에 관한 연구 - 영산강을 중심으로-. 환경생물학회지. 9: 42-54.
  10. 윤일병, 1988. 한국동식물도감, 제30권 동물편(수서곤충류). 문교부.
  11. 윤일병. 공동수 원두희. 1992a. 금호강 수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한국육수학회지. 25: 167-175.
  12. 윤일병. 공동수. 유재근. 1992b.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에 의한 생물학적 수질평가 연구 (I).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0: 24-39.
  13. 윤일병. 공동수. 유재근. 1992c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에 의한 생물학적 수질평가 연구 (II).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0: 40-55.
  14. 윤일병. 1995. 수서곤충검색도설. 정행사.
  15. 윤종철. 1997. 논 생태계 내 절지동물 군집구조와 그 변화 패턴.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05.
  16. 조영관. 백순기. 김종선. 나철호. 1992. 동복천 수계에 서식하는 수서곤충의 군집에 관 한연구. 한국육수학회, 26(4): 285-292.
  17. 최영철. 김종길. 최지영. 김원태. 심하식. 박병도. 2007. 곤충다양성 지수를 이용한 도시 및 공단지역 농경지 환경 평가. 한응곤지. 46(3) : 363-373.
  18. 한민수. 2000. 친환경 농업 지역에서의 생물다양성 평가. 농공기술(5-6): 38-42.
  19. 한민수. 나은영. 김진오. 오영주. 김성필. 2003. 노에서의 생물다양성 평가 및 지표 생물 개발. 한국과학기술원 연구보고서. 371-381.
  20. 한민수. 강기경. 김진호. 김세근. 고문환. 박형만. 2000. 논농사에 있어서 생물 다양성 평가. 농과원 농환연보. 128-137.
  21. 한민수.나영은.방혜선.김영헌.김민경.노기안.이정택. 2007. 논 생태계 수서무척추동물상. 한국환경농학회지. 26(3): 267-273.
  22. 한민수. 신중수. 나영은. 이남종. 박문희. 김세근. 2002. 환경농업 시범마을 논시비에 따른 무척추 동물 개체수 변화. 한국환경농학회지. 21(2): 96-101.
  23. 홍용. 김태흥. 2007. 농생태계 서식하는 지렁이 종 분포조사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5(2): 88-93.
  24. Allen, J. D. 1995. Stream ecology. Structure and function of running waters. Chapman & Hall, London.
  25. Davies, S. P. 1996. 1995 NABS Secretory report. Bull. N. Am. Benthol. Soc.
  26. Edwards, C. A. 1988. Breakdown of animal, vegetable and industrial organic wastes by earthworms. Earthworms inwaste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SPB Academic Publishing, The Hague, The Netherlands. pp. 21-31
  27. Feber, R. E., L. G. Firbank, P. J. Johnson, D. W. Macdonald. 1997. The effects of organic fanning on pest and non pest butterfly abundance. Agriculture, Ecosystem and Environment. 64: 133-139. https://doi.org/10.1016/S0167-8809(97)00031-5
  28. Hynes, H. B. N. 1970. The ecology of running water. Liverpool Unv. Press.
  29. Magalof, R. 1958. lmfonn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atics. 3: 36-71.
  30. Magurran, A. E. 1988. Ecological diversity and its measurement. 179pp.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ndon.
  31. McNaughton, S. 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lassland. Nature. 216 : 168-198.
  32. Nakatani Y. and M. Ishii. 2002. Species diversity of Heteroptera communities in border vegetation of paddy fields cultivated with or without agrochemical applacation. Jpn. J. Appl. Entomol. Zool. 46: 92-96. https://doi.org/10.1303/jjaez.2002.92
  33. Pennak, R. W. 1978. Fresh-water invertebrates of United States. 2nd. ED.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34. Pielou, E. C. 1969. An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ecology. Wily Interscience, pp. 29-331.
  35. Pielou, E. 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Nwe York. 165pp.
  36. Surdick, R. F., A. R.Gaufin. 1978. Environmental requirements and pollution tolerance of Plecoptera. EPA-600/4-77-062. Cincineti, Ohio, USA.
  37. Uchida, S. 1990. Distribution of Plecoptera in the Tama-gawa river system. central Japan. Kluwer Academic publishers.
  38. Ward, J. V. 1992. Aquatic insect ecology. 1. Biology and habitat. John Willy & Sons, New York.
  39. Wolfgang 8., A. Harenberg, J. Zimmerman, B. Wei. 2003. Biodiversity, the ultimate agriconventional indicator? Potential and limits for the application of faunistic elements as gradual indicators in agroecosystem. Agriculture Ecosystem & Environment. 99-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