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nsation Seeking Analysis of Olympic Team's Athletes and General Athletes

올림픽 국가대표 선수들과 일반선수들의 감각추구 성향 분석

  • Published : 2009.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a sensation seeking profiles of the members in Korean Olympic team with those of common athletes. The 261 participants(male: 134, female: 127) as the members of Korean Olympic team were randomly selected from the athletes, who were under training as the entrants for Athens 2004 Olympic Games. And 252 athletes who have never been national representatives, participated for the common athletes. We should find following result. First, Olympic team's athletes were lower than common athletes in TAS(p<.05), BS(p<.05), DIS(p<.001). Second, The ES factor did not find any difference following sex and level. Third, Male athle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famale athletes in TAS(p<.01) and DIS(p<.001). Fourth, TAS was the highest factor in male athletes, otherwise BS was the highest factor in female athletes.

본 연구의 목적은 올림픽 국가대표선수들과 일반선수들의 감각추구 성향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대한민국 대표선수로 발탁되어 태능선수촌에서 훈련 중인 261명(남:134, 여:127)의 선수들과 고등학교, 대학 및 실업팀에서 측정 당시 선수로서 활동하며, 국가대표 경력이 전혀 없는 252명(남:192, 여:60)의 일반 선수들이 피험자로 참여하였다. 다음과 같은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국가대표 선수들이 일반선수들에 비해 스릴과 모험추구(p<.05), 권태 민감성(p<.05), 탈제지(p<.001)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험추구 요인에서는 성별과 수준별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남자 선수들이 여자 선수들에 비해 스릴과 모험추구(p<.01) 및 탈제지(p<.001) 요인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남자 선수들의 경우 스릴 및 모험추구 성향이 가장 높은데 반해 여자 선수들은 경험 추구 성향이 가장 높다는 특징을 발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안정덕, 송강영, "올림픽국가대표 선수와 일반선 수의 자기관리 비교분석", 한국스포츠 심리 학회, 제19권, 제3호, pp.197-207, 2008.
  2. M. Zuckerman, E. A. Kolin, L. Price, and I. Zoob, "Development of a sensation seek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28, pp.477-482, 1964. https://doi.org/10.1037/h0040995
  3. M. Zuckerman, "Sensation seeking and risk taking," In C. E. Izard(Ed.). Emotion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New York: Plenum, pp.163-197, 1979.
  4. M. Zuckerman, "Sensation seeking and spor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Vol.4, No.3, pp.285-293, 1983.
  5. M. Zuckerman, "Sensation seeking: A comparative approach to a human trait,"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7, pp.413-471, 1984. https://doi.org/10.1017/S0140525X00018938
  6. M. Zuckerman, "Bebavioral expressions and biosocial bases of sensation seek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7. 유진, 강필중, 한국형 감각추구척도의 타당도 검증과 스포츠 참가 예측 분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제14권, 제2호, pp.249-264, 2003.
  8. C. Cronin, "Sensation seeing among mountain climb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2, pp.653-654, 1991. https://doi.org/10.1016/0191-8869(91)90264-C
  9. A. Ewert and S. Hollenhorst, "Testing the adventure model: Empirical support of a model of risk recreation participa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21, No.2, pp.124-139, 1989.
  10. M. G. I. Freixanet, "Personality profile of subjects engaged in high physical risk spor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2, pp.1087-1093, 1991. https://doi.org/10.1016/0191-8869(91)90038-D
  11. J. Potgieter and F. Bisschoff, "Sensation seeking among Medium and Low risk sports," Perceptual and Motor Skill, 71, pp.1203-1206, 1990. https://doi.org/10.2466/pms.1990.71.3f.1203
  12. D. W. Robinson, "A descriptive model of enduring risk recreation involvement,"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4, pp.52-63, 1992.
  13. E. Slanger and K. Rudestam, "Motivation and disinhibition in high risk sports: Sensation seeking and Self-efficac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Vol.31, No.3, pp.355-375, 1991.
  14. W. F. Straub, "Sensation seeking among high and low-risk male athletes," Journal of sport Psychology, Vol.4, pp.246-253, 1982. https://doi.org/10.1123/jsp.4.3.246
  15. A. M. Wagner and D. Houlihan, "Sensation seeking trait anxiety in hang- glider pilots and golfer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16, No.6, pp.975-977, 1994. https://doi.org/10.1016/0191-8869(94)90240-2
  16. 정용각, "여가운동 참가자들의 각성추구 행동분석", 외대논총, 제19집, 제2호, pp.399-412, 1999.
  17. 정용각, "한국형 각성추구척도의 통계적 검증: 탐색 및 확인적 요인분석", 한국스포츠심리 학회지, 제13권, 제1호, pp.105-128, 2002.
  18. 김희진, "모험 및 안전성향 스포츠 참가자들의 감각추구 성향과 위험행동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9. 장영대, "모험스포츠와 일반스포츠 참여에 따른 운동정서와 감각추구 성향의 관계", 미간행 경남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20. L. Von Konrring and L. Oreland, "Personality trait and platelet monoamine oxidase in tabacco smokers," Psychological Medicine, 15, pp.327-334. 1985. https://doi.org/10.1017/S0033291700023606
  21. R. J. Daitzman and M. Zukerman, Disinhibition sensation seeking personality and gonadal hormon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1, pp.103-110, 1980. https://doi.org/10.1016/0191-8869(80)90027-6
  22. 신규리, 하지원, 원형중, "감각추구성이 스포츠 관여도와 스포츠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44권, 제6호, pp.905-917, 2005.
  23. 김태은, "중학생의 체육수업형태에 따른 감각추 구성향이 스트레스와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4. 소영호, "생활체육 참가자의 참가정도와 감각추 구성향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8권, 제3호, pp.21-36, 2007.
  25. M. Zuckerman, S. B. G. Eysenck, and H. J. Eysenck, "Sensation Seeking in England and American : Cross sultural, age, and sex comparis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6, pp.139-149, 1978. https://doi.org/10.1037/0022-006X.46.1.139
  26. M. B. Barbars, "A premier of LISEL: Basic appliciations and programming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model," New York : springer-Verlag, 1989.
  27. 전병관, "감각추구척도(Sensation Seeking Scale)로 살펴본 체육계대학생과 비체육계대학생 간의 특성비교연구", 체육과학논총, 제3호, pp.61-70, 1991.
  28. 김병석, 이병일, "감각추구성향 및 도덕적 요인과 음주운전과의 관계", 청소년상담연구, 제10권 2호, pp.59-80, 2002.
  29. 이병희, 김상훈, 박상학, "알코올 중독과 감각추구 성향", 신경정신의학, 제35권, 제1호, pp.144-156, 1996.
  30. 양돈규, "청소년의 감각추구성향과 인터넷 중독 경향 및 인터넷 관련 비행간의 상관성", 청소년학연구, 제7권, 제2호, pp.117-136, 2000.
  31. 박영신, "감각추구성향과 또래관계 요인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32. I. L. Ball, D. Farnill, and J. F. Wangeman, "Sex and age difference in sensation seeking :Some national comparison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75, pp.257-265, 1984. https://doi.org/10.1111/j.2044-8295.1984.tb01897.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