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s of Physical Self-efficacy by Sport Leisure Activity on General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for Women

여성의 스포츠여가활동을 통한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이재형 (상지대학교 관광학부) ;
  • 윤진영 (세종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과) ;
  • 조은아 (세종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과)
  • Published : 2009.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hysical self-efficacy by a participation of sport leisure activity on general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for women based on the survey data from 174 women participating in swimming program in indoor pools at the area of Daegu and Gyongbuk. With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data,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physical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on all general self-efficacy factors. Thus physical self-efficacy were influenced on pride, interpersonal relations, overcome difficulties, endurance. Second, physical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on life satisfaction. thirdly, general self-efficacy was partly significant on life satisfaction. Thus pride, interpersonal relations were not influenced on life satisfaction but influenced on overcome difficulties, endurance. Fourth, in case of the women over 40 years of age, physical self-efficacy was not significant on life satisfaction, and only endurance of general self-efficacy factors was influenced on life satisfaction. Whereas in case of the women under 40 years of age, physical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on life satisfaction, and overcome difficulties, endurance general self-efficacy factors were influenced on life satisfaction.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의 실내 수영장에서 수영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여성의 스포츠여가활동을 통한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모든 일반적 자기효능감 변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자신감, 끈기/노력, 대인관계, 상황극복에 모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생활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생활만족에 부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신감, 대인관계 변수는 생활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상황극복, 끈기/노력 변수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0세 이하의 여성에서만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생활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자기효능감 변수 중 40세 이상에서는 끈기/노력, 40세 이하의 여성에서는 상황극복과 끈기/노력 변수가 생활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설민신, 문행자, "상업스포츠센터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레션학회지, 제32권, 제2호, pp.71-81, 2008.
  2. 김하영,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기혼여성의 여가 활동 참가유형, 여가유능감 및 가족여가공유여부 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제32권, 제 3호, pp.85-96, 2008.
  3. 박순호, 권오일, "여가스포츠 활동참여자의 신체 적 자기개념, 인지된 자유감과 심리적 웰빙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제32권, 제4호, pp.93-106, 2008.
  4. 신혜숙, 오수일, "생활무용 및 스포츠형 여가활동에 따른 여성의 자아존중감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29권, pp.773-784, 2007.
  5. 이지선, 이덕성, 석강훈, "여성 수영참가자의 참여 동기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32권, 제2호, pp.1195-1203, 2008.
  6. 곽한병, 서승석, 이기찬, "기혼여성의 여가활동과 가족스트레스 및 자아실현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6권, 제2호, pp.123-130, 2006.
  7. M. Kaplan, Leisure: Theory and Policy, John Wiley & Sons, 1975.
  8. 권용우, 정태홍, 김선희, 관광과 여가 : 관광지리학적 접근, 한울, 1995.
  9. 조명환,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활동 유형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17권, 제4호, pp.7-23, 2005.
  10. J. Zuzanek, P. J. Robinson, and Y. Iwasaki,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Health and Physically Active Leisure as a Function of Life-cycle," Leisure Science, Vol.20, No.4, pp.253-275, 1998. https://doi.org/10.1080/01490409809512286
  11. R. J. Kelly, Leisure (3rd ed.), Allyn and Bacon, 1996.
  12. S. Iso-Ahola, The Social Psychological of Leisure and Recreation, Brown, 1980.
  13. 한국관광공사, 국민여가활동 참여실태조사, 1987.
  14. 통계청, 사회통계조사, 2004.
  15. 박종영, 사회심리학, 대왕사, 1995.
  16. A. Bandura, "Self-Efficacy Theor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pp.191-215, 1977.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17. 장인실, 과제특성이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18. 안명식, 댄스스포츠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효능 감 차이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9. 도상욱, 목표설정 훈련이 농구 자유투 수행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20. M. L. Medley,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Persons. 65 and Older: A Cause Model,"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6. pp.27-45, 1976.
  21. A. Bandura,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Vol.37, pp.122-147, 1982. https://doi.org/10.1037/0003-066X.37.2.122
  22. R. A. Kalish, Late Adulthood Perspectives on Human Development, Cold Publishing Company, 1975.
  23. E. Diener, R. Emmons, and R. Larse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A Measure of Global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9, pp.71-75, 1985.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24. A. Campbell, E. P. Converse, and L. W. Rogers,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C. V. Mosby, 1976.
  25. 이에리사, 생활체육 활동과 직장인의 여가몰입.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26. 이효재, "한국 저소득 노인생활에 관한 사회경제 및 공간문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논총. 제34권, 1979.
  27. 장연옥, 현대노인의 여가활동 유형과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8. 최성재, "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논총, 제49권, 1986.
  29. 최영옥, 김윤태, 원주연, "고교볼링 선수들의 경 쟁지향성과 경쟁상태 불안, 자기효능감 및 수행 결과와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제39권, 제3호, pp.338-348, 2000.
  30. 이은석, 김종욱, "스킨스쿠버 참가자의 자격유형 에 따른 신체적 자아효능감과 인지된 자유감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16권, pp.1249-1259, 2001.
  31. E. McAuley, Self-Referent Thought in Sport and Physical Activity, In T. S. Horn (Ed). Advances in Sport Psychology, 101-118. Champaign, IL: Human Kinetics, 1992.
  32. 이종길,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33. 김미향, 지속적인 스포츠활동의 참여가 생활만족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34. 조연철, 최창석, "청소년의 여가스포츠 참가와 자아효능감 및 자아성취감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15권, pp.213-221, 2001.
  35. M. Csikszentmihalyi, Flow: The Psychology of Experience, Harper & Row, 1990.
  36. E. Diener, "Subjective Well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95, pp.542-575, 1984.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37. 김민현, "수준별 동계스포츠 참여자의 자기효능 감 비교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22권, pp.789-800, 2004.
  38. 김정남, 여성의 지속적인 스포츠참가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39. 전태준, "생활체육 참가자의 자기효능감과 운동 중독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제44권, 제6호, pp.267-277, 2005.
  40. D. Schunk, "Self-Efficacy, Motivation, and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Sport Psychology, Vol.7, No.2, pp.112-137, 1995. https://doi.org/10.1080/10413209508406961
  41. 성영호,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자아효능감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제39권, 제3호, pp.911-919, 2000.
  42. 소수연, 자기능력지각 유형과 내적 귀인 피드백이 자아효능감과 읽기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43. J. M. Mahoney, "Psychological Predictors of Elite and Mom Elite Performance in Olympic Weight lif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Psychology, Vol.20, No.1, pp.1-12, 1988.
  44. 이상구, 생활체육 참가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45. E. Diener, M. Diener, and C. Diener, "Factors Predicting the Subject Well-Being of N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9, pp.851-864, 1995. https://doi.org/10.1037/0022-3514.69.5.851
  46. 여호근, 김치영, "여성의 여가활동 참가, 자아존 중감, 재참가의도의 관계", 컨벤션연구, 제7권, 제 1호, pp.193-210, 2007.
  47. 홍성아, 중년여성의 여가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Cited by

  1. The Effects of Fashion and Beauty Consumption Behavior on Self-Satisfaction vol.35, pp.11, 2011, https://doi.org/10.5850/JKSCT.2011.35.11.1285
  2. The Effects of Beauty Involvement on Self-Satisfaction by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Groups vol.16, pp.1, 2014, https://doi.org/10.5805/SFTI.2014.16.1.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