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mulation Program for Estimating the Environmentally Acceptable Building Height using the GIS Simulation Technique

시뮬레이션 기법을 활용한 친환경적 건축물 높이 예측 프로그램 개발

  • Park, Young-Kyu (Division of Forest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ion) ;
  • Jeon, Jun-Heon (Division of Forest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ion) ;
  • Roh, Hye-Jung (Division of Forest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ion) ;
  • Kwon, Soon-Duk (Division of Planning and Coordin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ion)
  • 박영규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탄소경영연구과) ;
  • 전준헌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탄소경영연구과) ;
  • 노혜정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탄소경영연구과) ;
  • 권순덕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기획과)
  • Received : 2009.07.24
  • Accepted : 2009.09.01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In this study, we intended to develope a simulation program for assessing a building height whether or not acceptable for maintaining the visual quality of a forest landscape. A number of geographical factors were considered within the assessment procedure. As the visual quality of a landscape could vary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view points, we examined 3 methodologies for setting up the view points. The result for comparison between method of selecting viewpoints was not significantly effecting method of selecting viewpoints. Post hoc test showed a moderately large p-value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observed. The result from a case study indicated that the simulation program is able to estimate an environmentally acceptable building height in an efficient manner. In this study, however, only the geographical factors were considered for the assessment, but forest dynamic information such as stand height was not considered. Thus, in the further study, forest stand height would be necessarily considered to estimate a more reliable and desirable building height.

본 연구에서는 GIS기반의 공간분석과 시뮬레이션기법을 활용하여 산림스카이라인 및 자연경관 훼손을 사전에 검증할 수 있는 친환경적 건축물 높이 예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지적정성을 검토하였다. 건축물의 높이 예측과 같은 경관평가에 조망점의 위치 등의 선정방법이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므로 GIS의 지형분석과 가시권분석을 이용하여 자동조망점을 선정하고, 기존의 조망점 선정방법과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모든 사례지역에서 조망점 선정방법에 따른 평균값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따라 자동조망점 선정방법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 조망점을 선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5개 사례지역에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결과, 산림경관 및 주변 환경과 조화로운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등고선을 기준으로 건축물 높이를 예측하였기 때문에 건축물 값이 다소 낮게 나온 경향이 있으므로 향후연구에서는 나무의 높이와 같은 산림요소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태현. 2008. 지리정보시스템(GIS)를 이용한 경관분석 조망점 선정. 한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1쪽.
  2. 군산시. 1993. 월명공원 보전을 위한 공원주변의 용도지구설정 및 도시설계. 102쪽.
  3. 김기호. 1996. 게슈탈트 이론을 적용한 도시경관 관리에 관한 연구 - 산을 중심으로 -. 대한국토계획학회지 83:143-157.
  4. 김학범, 장동수, 김정태. 2000. 지방도로 주변 경관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 정원학회지 18(2):89-104.
  5. 남제주군. 1996. 송악산관광지구경관고도규제계획. 104쪽
  6. 박영규, 정진현, 박찬우, 류주형, 최막중. 2000. 자 연친화적 산지개발 기준설정(골프장, 스키장, 숙박시설). 한국임학회. 2000년도 하계총회 및 학술연구발표회 137-139쪽.
  7.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7. 서울시 도시경관 관리방안 연구. 141쪽.
  8. 서울특별시. 2000. 서울의 산경관풍치보전계획. 140쪽
  9. 서울특별시. 2001. 서울의 주요산 경관풍치 보전을 위한 우면산 경관 시뮬레이션. 149쪽.
  10. 서울특별시. 2003. 서울 주요산 주변 조망경관보전계획. 152쪽.
  11. 서주환, 양희승. 2004. AHP기법을 활용한 경관평 가법 작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32(4):94-104.
  12. 신지훈. 1995. 경관영향평가를 위한 물리적 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건축물의 규모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3쪽.
  13. 신지훈. 2003. 도시경관계획 지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22쪽.
  14. 안홍탁. 1989. 도시경관의 시각적 질 분석 및 시각 Simulation에 관한 연구:한강변 지역을 사례대상지역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9쪽.
  15. 이동현, 백태경. 2007. 경관시뮬레이션을 통한 건축물 높이 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4):132-141.
  16. 임승빈, 신지훈. 1995. 경관 영향평가를 위한 물리적 지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1(10):157-166.
  17. 임승빈. 1987. 시각적 질의 계량적 측정기법에 관한 연구:SBE 기법의 일반화. 한국조경학회지15(2):91-100.
  18. 정정섭. 2003. 조망의 물리적 조건과 시각량에 따른 선호도 모형, 청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14쪽.
  19. 조동범. 1996. 환경계획.설계를 위한 컴퓨터 활용기법, 조경컴퓨터응용연구회편, 성안당. 496쪽.
  20. 조용호, 곽성남. 2007. GIS 공간분석과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조망점 위치결정방법 모델링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지 9(2):35-45.
  21. 조용호. 2008. GIS와 AHP에 기반한 조망점 위치선정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92쪽.
  22. 주신하, 임승빈. 1998. 경관시뮬레이션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3):312-320.
  23. 최형석. 2008. 경관계획 및 설계 기준에 관한 연구 - 건축물 높이와 산림스카이라인의 조화를 중심으로-. 한국경관복원녹화기술학회지 11(1):39-51.
  24. 환경부. 2004. 자연경관보전.관리를 위한 제도운영방안 연구. 179쪽.
  25. Ervin. 1997. Virtual Possibilities, Landscape Architecture. 97(6):48-51.
  26. Shinohara Osamu. 1999. 경관계획의 기초와 실제. 내하출판사. 3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