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ing Forecast Technique of Landslide Hazard Area by Integrating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and Topographical Data -A Case Study of Uljin Area-

기상과 지형자료를 통합한 산사태 위험지 예측 기법 개발 -울진지역을 대상으로-

  • Jo, Myung-Hee (Dept. of Geo-satellite Information Engineering, Kyungil University) ;
  • Jo, Yun-Won (Dept. of Geo-satellite Information Engineering, Kyungil University)
  • 조명희 (경일대학교 위성정보공학과) ;
  • 조윤원 (경일대학교 위성정보공학과)
  • Received : 2009.01.29
  • Accepted : 2009.05.30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Recently the large scale of forest disaster such as landslide and forest fire gives a very bad impact on not only forest ecosystem but also farm business so that it has became the main issue of environmental problems. In this study, the landslide hazard area forecast method was developed by considering not only the topographic thematic maps based on GIS and satellite images but also amount of rainfall data, which are very important factors of landslide. Uljin-gun was selected as the study area and the GIS weight score and overlay analysis were applied to topographical map and meteorological observation map. Finally the landslide area distribution map was constructed by considering the evaluation criteria. Also, the accuracy could be acquired by comparing the landslide hazard area forecast map and real damaged area extracted from satellite image.

최근 대규모 산사태, 산불등과 같은 산림재해로 인한 산림환경 훼손은 산림 농가 피해뿐만 아니라 산림생태계에도 매우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도 매우 민감한 환경문제로서 국민의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여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지형 GIS 자료와 위성영상자료에 기반을 둔 주제도뿐만 아니라 산사태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강우량 자료를 고려하여 산사태 발생 위험지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울진지역을 대상으로 지형자료와 기상자료를 활용하여 주제도를 작성하고 GIS 중첩분석을 통하여 평가기준을 검토 한 후 산사태 발생가능 위험지역의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아울러 고해상 위성영상 자료에서 획득한 산사태 피해 지역과의 가시적 비교를 통하여 산사태 발생 위험지 예측 방법 기술을 확보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산림과학원. 2007. 산림의 공익기능 계량화 연구. 국림산림과학원 연구보고서. 354쪽.
  2. 김경태, 정성관, 박경훈, 오정학. 2005. GIS 및 RS기법을 활용한 산사태 취약성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1):75-87.
  3. 이진덕, 연상호등. 2002. 산사태의 발생 가능지 예측을 위한 GIS의 적용.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1):38-47.
  4. 이사로, 지광훈, 박노욱, 신진수. 2001. 산사태와 지형공간정보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장흥지역 산사태 취약성 분석. 자원환경지질 34(2):205-215.
  5. 산림청. 2006. 산림과 임업 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616쪽.
  6. 소방방재청, 국립방재연구소. 2006. 원격탐사 자료의 재해분야 활용방안 연구. 소방방재청 국립방재연구소 연구보고서. 98쪽.
  7. 한국자원연구소. 2000. 산사태 예측 및 방지기술연구. 289쪽.
  8. 산업자원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8. 산사태재해 예측 및 저감기술 개발. 56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