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D 적합성이 소비자의 감정적, 인지적, 행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 감정.인지이론과 인지.감정이론에 근거한 모델 검증 -

The Effect of VMD Image Appropriateness on Consumers' Affective, Cognitive, and Conative Responses - Testing Models based on the Emotion-Cognition Theory and the Cognitive Theory of Emotions -

  • 박민정 (계명대학교 패션마케팅학과) ;
  • 이소은 (용인송담대학 스타일리스트과)
  • 발행 : 2009.06.30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VMD image appropriateness in apparel shopping contexts. Two competing models are utilized. The first model is developed from the emotion-cognition theory which explains that environmental cues(i.e., VMD image appropriateness) generate consumers' emotion, and in turn, consumers' behaviors. The second model is developed based on the cognitive theory of emotions and posits that environmental cues stimulates consumers' cognitive perceptions of retail environments, subsequently influencing consumers' emotional and behavioral response. A 2(VMD image appropriateness: high vs. low) 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 experiment was conducted. Female college students(n=592)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tudy found that the emotion-cognition model better explains the effect of VMD image appropriateness on consumers'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respons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영심 (2001). “점포 이미지 및 브랜드 이미지에 따른 매장 내 감정이 만족과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지연, 이은영 (2004). “의류 점포의 서비스 품질, 제품품질과 가격이 점포애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8권 1호.
  3. 박민정, 이소은 (2008). “VMD 이미지와 브랜드 인지도가 위험지각, 브랜드 이미지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학회지 16권 5호.
  4. 박성연, 황정은 (2005). “매장내 체험적 경험이 브랜드 태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논총 23권 2호.
  5. 박옥련, 이영주, 하종경, 김현진, 정형도 (1995). 패션 디스플레이의 이론과 실제. 서울: 형설출판사.
  6. 박현희, 전중옥 (2004). “VMD 구성요소의 패션 브랜드 태도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권 2호.
  7. 박현희, 정중옥, 곽원일 (2007). “패션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과 VMD 적합성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관리연구 12권 1호.
  8. 신수연, 김민정 (2002). “여성 의류매장의 VMD(Visual Merchandising)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0권 6호.
  9. 신수연, 김민정 (2006). “광고 태도와 VMD 태도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웨어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4권 5호.
  10. 신수연, 김희수 (2002). “여성 의류매장의 VMD(Visual Merchandising)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0권 6호.
  11. 심낙훈 (2008). 비주얼머천다이징 & 디스플레이. 서울: 우용출판사.
  12. 옥혜정 (1994). “백화점 마케팅 전략으로서의 비주얼 머천다이징에 관한 연구: 서울 ‘S’ 백화점을 대상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유창조 (1996). “쇼핑행위의 경험적 측면: 쇼핑시 느끼는 기분이나 감정이 매장 태도와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7권 1호.
  14. 유창조, 현소은, 전중옥 (1997). “매장의 특징, 매장 내 감정 및 쇼핑 행위에 관한 구조적 연구.” 마케팅연구 12권 2호.
  15. 이소은 (2008). “의류 점포의 VMD와 브랜드 인지도에 따른 구조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소은, 임숙자 (2008).“VMD 효과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6권 5호.
  17. 지성구, 이헌종 (2006). “매장내 고객의 감정 반응: 선행요인과 결과.” 유통정보학회지 9권 3호.
  18. 한영호, 안진근 (2007). 비주얼디스플레이. 서울: 기문당.
  19. 홍금희 (2002). “쇼핑동기와 서비스 품질 지각이 고객의 감정적 반응과 패션점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6권 2호.
  20. (주) 디자인 쏨니엄 2008년 VMD 컨설팅 내부자료.
  21. (주) 이랜드 퓨마코리아 2003년 내부 영업자료.
  22. Anderson, J. and D. Gerbing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Vol. 103, No. 3.
  23. Bellizzi, J. A., A. E. Crowley and R. W. Hasty (1983). “The effects of color in store design.” Journal of Retailing Vol. 59.
  24. Browne, M. and R. Cudeck (1992).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Vol. 21, No. 2.
  25. Fisher, J. D. (1974). “Situation-specific variables as determinants of perceived environmental aesthetic quality and perceived crowdedness.” Journal of Research Perspectives Vol. 8.
  26. Joreskog, K. and D. Sorbom (1993). LISREL 8: User's Reference Guide. Chicago, IL: Scientific Software International, Inc.
  27. Kerfoot, S. B., Davies, and P. Ward (2003). “Visual merchandising and the creation of discernible retail brands.”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Vol. 31, No. 3.
  28. Lazarus, R. S. (1991). Emotion and Adoption. New York: Oxford Univ. Press.
  29. Mackenzie, S. B., R. J. Lutz and G. E. Belch (1986). “The role of attitude toward the Ad as a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A test of competing explan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25.
  30. Mehrabian, A. and A. Russell, J. (1974). An Approach to Environmental Psychology. Cambrige. MA: MIT Press.
  31. Miltenberger, R. G., J. Redlin, R. Crosby, M. Stickney, J. Mitchell, S. Wonderlich, R. Faber and J. Smyth (2003). “Direct and retrospective assessment of factors contributing to compulsive buying.” Journal of Behavior Therapy Vol. 34.
  32. Raghubir (2004). “Free gift with purchase: Promoting or discounting the brand?.”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 14, No. 1&2.
  33. Shen, F. (2001). “Effects of violence and brand familiarity on responses to television commercial.”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Vol. 20.
  34. Zajonc, R. B. and H. Marku (1982). “Affective and cognitive factors in preferen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