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Gender Role Changes of Korean Women Reflected on Women's Costume Design during 20th Century

근.현대 한국 여성 복식에 나타난 여성 성역할 변화 연구

  • Lee, Jee-Hyun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이지현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ender role changes of Korean women reflected on their costumes during 20th century. To analyze the diachronic gender role changes, social environments(education, job, economy, family systems, mass-media) of 20 th century were inquired by 10 years and comparatively analyzed with 680 images of representative costumes each periods. The results are as followed. 1) $1900s{\sim}1910s$: The most representative women's gender role was a wise mother and good wife. Therefore the adopted western costume, a symbol of civilization, were represented women as a passive and sexual object of man. 2) $1920s{\sim}1930s$: 'Shin Yeosung(Modern Girl)' was the representative gender role of that time. They were the symbol of enlightenment and new education. Their costumes influenced to the changes of traditional Hanbok in functional side. 3) $1940s{\sim}1950s$: In World War II. a strong and stubborn women were wanted to support their family. They threw feminity and changed their costumes into an active and functional 'Mombbe'. 4) $1960s{\sim}1970s$: Women asserted Gender equality and resisted the traditional women's gender role. Mini Skirts and Unisex costumes were symbolic costumes reflecting the changes. 5) 1980s: The self confidence of women's gender role affected the androgynous look and body-conscious look in modern fashion. 6) $1990s{\sim}2000s$: Now, the dichotomy of gender role is not no longer effective way to understand the social changes and fashion trend rather tha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lifestyle trends.

Keywords

References

  1. 강정구 (1990). “성역할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논문집 30호.
  2. 고부자 (2001). 우리생활 100년; 옷. 서울: 현암사.
  3. 금기숙, 김민자, 김영인, 김윤희, 박명희, 박민여, 배천범, 신혜순, 유혜영, 최해주 (2002). 현대패션 100년. 서울: 교문사.
  4. 기승주 (1988). “주부의 성역할 태도에 따른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남천 (1940). “여성의 취업문제.” 여성 5권 12호.
  6. 김양희 (1995). “직장 내 성희롱 경험과 관련정책에 관한 인식.” 여성연구
  7. 김은경 (1989). “청년 후기 여성의 성역할 사회화 결정요인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재희 (1994). “유행스타일을 중심으로 한 사무직 남성의 의복태도와 성역할 태도와의 상관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혜원, 김명소 (1998). “취업이 기혼여성에게 주는 심리적 영향.” 여성 3권 1호.
  10. 문옥표 (2003). 신여성. 서울: 청년사.
  11. 박숙자 (1978). “전통적 성역할 규범에 대한 태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인미 (1989). “여고생의 의복디자인 선호도와 성격 및 사회계층과의 상관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태온 (1983). “도시주부의 성역할 태도와 결혼 만족도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원미숙 (1983). “유니섹스 의복행동과 성역할과의 관계.” 한국의류학회지 7권 2호.
  15. 유경숙, 이명희 (1997). “성역할 정체감, 성 및 연령에 따른 의복 무늬 선호에 관한 연구.” 복식 33호.
  16. 유수경 (1990). 한국 여성양장변천사. 서울: 일지사.
  17. 이경우, 이은지 (1987). “한국 어린이의 전통적 집단놀이에 관한 조사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韓國文化硏究院 13차 주제 연구집.
  18. 이선이 (2005). “TV 프로그램의 성역할 정형화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조사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선재 (1996). “성인 여성의 성역할 태도와 의복디자인에 나타난 음양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29호.
  20. 이선재 (1996). “한국 성인여성의 성역할 태도와 의복 행동과의 상관연구.” 아세아여성연구 29권.
  21. 이연희, 김영인 (2005).“현대 패션 룩에 표현된 성 정체성.” 복식문화연구 13권 5호.
  22. 이인자 (1974). “여대생의 의복 디자인 선호와 흥미간의 상관연구.” 대한가정학회지 12권 3호.
  23. 이정옥 (1988). “한국의 공업화와 여성의 경제 활동.” 여성문제연구. 대구: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4. 이지현 (2005). “한국 복식색채의 특성과 문화기호론적 해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이화형, 허동현, 유진월, 맹문재, 윤선자, 이정희 (2004). 한국 근대여성의 일상문화 3; 복식. 서울: 국학자료원.
  26. 이형실 (1985). “남편과 부인의 성역할태도와 의사결정 유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임정빈, 정혜정 (1997). 성역할과 여성. 서울: 학지사.
  28. 전경옥, 변신원, 김은정, 이명실 (2005). 한국 여성 문화사2.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9. 전경옥, 김은정, 조윤아, 이명실 (2006). 한국 여성문화사3.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30. 조영호, 박해관 (1987). “잡지광고에 나타난 여성역할 묘사의 종단적 분석.” 경영학연구 16권 2호.
  31. 주은희 (1996). “한국 교육에서의 성차별 모니터링.” 서울: 한국여성단체협의회.
  32. 차진희, 김재숙 (1995). “성역할 개념, 의복 성정체감, 유니섹스 의복에 대한 태도 사이의 상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9권 5호.
  33. 최경희, 강혜원 (1985). “여고생의 의복행동과 성역할 태도와의 관계.” 한국의류학회지 9권 1호.
  34. 최규련 (1984).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2권 2호.
  35. 최윤경 (1990). “성인여성의 성역할태도 및 직업과 의복행동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한국 사상전집 6;한국의 근대사상 (1983). 서울: 삼성출판사.
  37. 황유선 (2002). “한국과 일본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남성과 여성 진행자의 성역할 차이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통계청, 현대 산업유형 별 여성 비율 (1963-2000) (2006년 8월 10일 검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 @http://kosis.nso.go.kr.
  39.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2002년 장래가구추계 (2006년 8월 10일 검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kosis.nso.go.kr.
  40. 통계청, 2005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여학생의 대학진학률 (2006년 8월 10일 검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kosis.nso.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