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valuation of Wide-scale Site Suitability for Water-friendly Recreation Area Planning

친수 휴양활동공간 계획을 위한 광역수준의 부지 적합성 평가

  • Cho, Hyun-Ju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Ra, Jung-Hwa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Hyun-Taek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u, Ji-Na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feasibility of site suitability focused on the potential for environmentally- and water-friendly recreation area development in a wide area(Nakdong River 35km) and to study new methods for providing basic data in regard to the recreation planning over a wide area as well as in application to other si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rough classification by mesh method, the site of this study was classified into 42 grids, and by means of the analysis of evaluation indicators, 20 indicators were established and sorted into 4 types of significant recreation activ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 each recreation activity type, there were 8 essentials for water-friendly recreation activity types based on water use while water-friendly recreation types for static activity included 12 sub-essentials. As a result of the first evaluation(the minimum required evaluation) by each classified grid, 32 of the 42 total grids were implemented by the minimum requirements. These grids were usually distributed evenly through the whole site. In terms of the second evaluation(specific site evaluation) results, 6 grids were highly suitable for recreational nature experiences and landscape ecological learning, 4 grids for developing water-friendly recreation for exercise, 1 grid for building water-friendly recreation based on water use, and 4 grids for planning water-friendly recreation for static activity. The results of the grid evaluation of this study could be extended to contiguous grids or reduced. Actual planning for a water-friendly recreation area must change the grid shape or size through boundary adjustments.

본 연구는 비교적 광역규모인 낙동강 약 35km를 대상으로 어느 공간이 환경친화적 친수 휴양공간으로서 개발잠재력이 큰지에 대한 적지선정의 타당성을 검토해 보고, 또한 향후 이 지역의 광역권 휴양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및 타 지역으로의 적용가능성이란 측면에서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해 보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해 보면 아래와 같다. Mesh법에 의한 사례지의 격자구분 결과, 총 42개의 격자단위로 분류되었다. 또한, 평가지표의 분석결과, 총 20개로 설정되었으며, 이들은 중요도에 따라 다시 4가지의 휴양활동 유형별로 귀속되었다. 각 휴양활동 종류별 평가지표들의 중요성 정도를 분석해 본 결과, 필수요소는 물 이용을 중심으로 한 친수 위락활동공간에서 8개로 가장 많은 지표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충분요소는 정적 친수 휴양활동 공간에서 12개로 가장 많았다. 구분된 각 격자별 최소 요구조건 평가인 1차 평가를 수행한 결과, 최소요구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 격자는 전체 42개 중 32개의 격자로 나타났다. 휴양활동 종류별로 최소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 격자는 연구대상지의 전 구간에 걸쳐 비교적 고른 분포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인 부지 평가인 2차 평가 결과, 우선 자연체험 및 경관생태학습 공간에서는 총 6개의 격자, 운동 및 레크리에이션 중심의 수변 위락활동 공간은 총 4개, 물 이용을 중심으로 한 친수 위락활동 공간으로서는 1개 격자, 마지막으로 정적 친수 휴양활동 공간에 대한 각 격자별 적합성 평가 결과에서는 총 4개의 격자가 매우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수행된 격자단위 평가 결과는 지형적 조건 등으로 인해 인접 격자로 확대 및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경계의 재조정을 통한 격자형태 및 크기의 변형을 고려한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보다 더 타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동완(2007) 여가휴양 공공서비스로서 공원녹지 조성방향. 경기관광연구 10(0): 91-117
  2. 김도경, 최원만, 홍형순(2008) 여의도 한강공원 조성계획. 한국조경학회지 36(2): 14-23
  3. 김수봉, 김용수(1992) 대도시 공원녹지의 역할에 관한 연구 (I)-대구시민의 공원녹지의 가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19(4): 1-11
  4. 나정화, 류연수(2002) 도시비오톱의 자연체험 가치평가 모형개발과 적용. 한국조경학회지 30(3): 2-10
  5. 나정화, 이석철(2000) 대도시의 비오톱 구조분석-자연체험 및 휴양의 관점에서-. 한국조경학회지 28(3): 72-87
  6. 대구광역시(2007) 2020년 대구도시기본계획. 대구광역시. pp. 265-300
  7. 류연수(2005) 근린공원의 경관 생태학적 특성분석.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박사학위논문
  8. 류연수, 나정화, 김수봉(2006) 도시공원의 형태 및 완충성 분석에 따른 가치평가와 개선방안.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6): 23-27
  9. 사공정희(2004) 대도시의 경관생태적 녹지연계망 구축 방안.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박사학위논문
  10. 송지선, 이은희(2004) 서울시 공원내 자연학습장 현황분석과 개선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1(6): 42-50
  11. 신덕구(1999) 안동댐 주변 낙동강상류의 수질변동. 안동대학교 안동지역 사회개발 연구소보 제10집
  12. 안동시(2001) 안동시 도시계획 재정비
  13. 안동시(2002) 안동시 통계연보
  14. 오정학, 김유일(2001) 중요도-성취도분석에 의한 주제공원 계획요소평가-에버랜드를 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29(4): 35-43
  15. 유복모, 권현, 조규장, 박성규(1991) 수치지형모형을 이용한 경관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9(1): 53-76
  16. 이재준, 곽창재, 이상원(2008) 하천의 친수위락공간에서의 수해와 방재. 자연과 문명의 조화 56(8): 20-28
  17. 전라남도(2000) 남악신도시 마스터플랜. 전라남도. pp. 45-120
  18. 정건섭, 이상엽(2002) 레저문화의 도래에 따른 친수공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행정학회보 9(2): 1-23
  19. 정인주, 서규우, 김가야(2005) 수문지형인자 추출에 따른 격자크기의 결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3): 23-33
  20. 조창우(2003) 택지개발사업지구내 근린공원의 입지유형별 개발실태분석. 경북대학교 농업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한국자연보전협회(2000) 자연보존연구보고서 제19집
  22. 한국조경학회(2003) 조경계획론. 문운당
  23. 한국토지공사(2004) 대구 신서지구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을 위한 사전환경성검토서. 한국토지공사
  24. 한국토지공사(2007) 대구 신서 생태환경계획 수립. 한국토지공사. pp. 101-211
  25.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2004) 경관생태학. 보문당
  26. 한수진, 이우균, 곽두안(2006) GIS를 이용한 산림휴양 기능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1): 13-19
  27. 환경부(2002) 녹지자연도
  28. 환경부.국립환경연구원(2003) 2002전국 내륙습지 자연환경조사(낙동강 유역)
  29. Forman, R. T. T.(1995) Land Mosaics-The Ecology of Landscapes and Rig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Goossen, M. and F. Langers(2000) Assessing quality of rural areas in the Netherlands: Finding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for recreati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6: 241-251 https://doi.org/10.1016/S0169-2046(99)00058-4
  31. Jim, C. Y. and W. Y. Chen(2006) Recreation-amenity use and contingent valuation of urban greenspaces in Guangzhou, Chin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5: 81-96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4.08.008
  32. Kiemstedt, H.(1975) Landschaftsbewertung fuer Erholung im Sauerland. Dortmund. pp. 40-72
  33. Marks, R., J. Manfred, H. Leser, and H. J. Klink(1989) Anleitung zur Bewertung des Leistungsvermoegens des Landschaftshaushaltes. FDL Band 229. Trier. pp. 129-135
  34. Sukopp, H.(1969) Der Einfluss des Menschen auf die Vegetation. Vegetation 17: 363-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