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Montage der Assoziation Shown in the Animation <Paprika>

애니메이션 <파프리카>에서 나타나는 연상 몽타주 분석

  • Received : 2009.08.25
  • Accepted : 2009.11.16
  • Published : 2009.12.28

Abstract

This research tries to interpret Montage der Assoziation shown in animations. Eisenstein's 'Montage' is "Montage der Assoziation" where a variety of Montage pieces are combined, symbolizing one aggregate image. Though influenced by Russian Formalist Film Theory and Kuleshov, Pudivkin and Rudolf Amheim, by contraries, he recognized Montage as an issue between an artist and the audience and an anti-representation apparatus. Especially, he developed the mind action issue previously advocated by Eikhenbaum and deemed the audience's role an essential part in completing a film. Montage expression implied in Eisenstein's theory can be regarded as attraction, collision, and dynamic and intellectual Montage. However, with an in-depth approach, Montage der Assoziation can be interpreted by repetitive, relative and juxtaposed analysis. The reason is that animation Montage is a visual action which takes place in a row among scenes and in the frame. This research addresses communications with the audience which are attained by Montage der Assoziation.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makes an in-depth access to how Montage der Assoziation appears and communicates with the audience in an animation work.

이 연구는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나는 연상몽타주에 관한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몽타주'는 다양한 몽타주 조각들이 결합되어 하나의 총체적인 이미지로 상징되는 연상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몽타주 이론은 쿨레쇼프, 푸도스킨, 아른하임, 에이젠슈테인까지 러시아 형식주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사실주의, 충돌, 그리고 지적 몽타주에서 나타나는 연상 몽타주는 예술가와 관객의 문제로 대두되었다. 여기서 관객과 작품 사이에서 일어나는 소통의 문제는 필수적 요인이다. 이러한 소통은 이미지와 이미지 사이의 공백을 관객들이 유추하는 연상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상을 몽타주에서 논리적 연상과 충돌적 연상으로 크게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애니메이션 <파프리카>에서 씬과 씬 사이에서 그리고 프레임 안에서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시각적 작용이 어떠한 관계적 작용을 통해 연상이 이루어지는 가에 대한 문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가 추구하는 바는 연상몽타주가 애니메이션 작품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관객과 소통하는지에 관하여 심층적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Jay Leyda, "The Film Sense", Harcourt Brace & Company, 1975.
  2. 랄프 슈넬, 강호진.이상훈.주경식.육현승역, "미디어 미학",이론과 실천, 2005.
  3. pudovkin, Vsevolod, "Die Zeit in $Gro{\beta}aufnahme$. Erinnerungen/Aufsatze/Werksttnotizen, Berlin: Henschel, p.330, 1983
  4. Constantin Stanislavsky, "An Actor Prepares", trans. Elizabeth Reynolds Hapgood(New York:Theatre Arts, p.121, 1952.
  5. 김용수, "영화에서의 몽타주 이론",열화당, 2006.
  6. 루이스 자네티, 김진해 역, "영화의 이해", 현암사, 1987.
  7. Eisenstein, "Montage of Attractions" 1924.
  8. 김용수, "충돌몽타주의 이론의 본질과 재평가", 한국영화학회, p.167, 1996.
  9. 홍상우,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 에이젠슈테인 몽타주", 경성대학교 출판부, p.563, 2006
  10. 뱅상 아미엘, 곽동준.한지선역, "몽타주의 미학", 동문선, 2009.
  11. Rodowick , 백선기, 최민재역, 영상 텍스트의 맥락적 의미구성에 관한 연구, 1994..
  12. Stanislavsky, An Actor, 1936.
  13. 세르게이 M 에이젠슈테인.블라디미르 니즈니, 이경운역, "영화 연출 강의", 예건사,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