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전통약탕기와 전자약탕기를 이용한 이산화황 제거효율 연구

A study of SO2 Removal Efficiency from Traditional Herbal Medicine Using Traditional & Electronic Medicine Boilers

  • 발행 : 2009.05.31

초록

본 이산화황이 잔류하는 한약재를 탕제로 달이는 방식에 따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약 달이는 방식을 전통약탕기와 진자약탕기 2종류로 설정하였다. 전통약탕기로 156.4ppm을 함유하는 한약재를 1시간 달였을 때 96.7%의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2시간 달였을 때 100%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 전통약탕기 뚜껑을 전통한지, 일반한지, 거름종이, 일반종이를 사용하였을 경우 전통한지를 사용할 경우가 이산화황 제거효율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한지의 초기 pH는 10.03으로, 전통약탕기에 이산화황이 48ppm, 193ppm, 753ppm 및 1,506ppm 함유하는 한약재를 넣고 1시간 달인 후 pH 측정결과 9.37, 9.14, 8.9 및 8.03으로 각각 나타났다. 전자약탕기 파이롯트실험은, 전자약탕기로 1시간 약을 달일 경우 82.8%의 이산화황제거율을 보였으며, 약탕기 내부 중판부분에 전통한지, 거름종이, 활성탄, 참숯을 넣고 약을 달였을 때 73.6%, 72.8%, 73.9% 및 69.5%의 제거율을 보여 전자약탕기는 내부에 어떤 물체를 넣었을 경우 이산화황의 휘발을 방해하여 제거를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most efficient method of removing sulfur dioxide from traditional herbal medicine (hanyak) by slow boiling using a traditional pipkin and an electronic slow boiler. By boiling a hanyak batch containing] 56.4ppm of sulfur dioxide for one hour using a traditional pipkin, 96.7 percent of the sulfur dioxide was removed, while two hours of slow boiling removed ]00 percent. Among different cover materials placed over the pipkin during the slow boiling process including the traditional Korean paper (hanji), regular hanji, filter paper and regular paper, the traditional hanji produced the best performance of sulfur dioxide removal. The initial pH level of the traditional hanji was] 0.03. After one hour of slow boiling hanyak batches in a traditional pipkin covered with traditional hanji, where each batch contained sulfur dioxide of 48ppm, 193ppm, 753ppm and 1,506ppm respectively, the pH level of the hanji cover material was reduced to 9.37, 9.14, 8.9 and 8.03 in respective cases. Our experiment using an electronic medicine slow boiler showed 82.8 percent removal of sulfur dioxide after one hour of slow boiling a hanyak batch containing 753ppm of sulfur dioxide. When hanyak batches were boiled by placing traditional hanji, filter paper, active carbon and hardwood charcoal separately in the middle area within the electronic slow boiler, the sulfur dioxide removal rate was 73.6 percent, 72.8 percent, 73.9 percent and 69.5 percent, respectively. When charcoal was added so as to remove toxic materials from the hanyak, its presence impeded the sulfur dioxide flow and thus reduced the removal efficiency contrary to our anticip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중앙일보. 2005. 11. 30.
  2. 박나영, 윤혜정, 전대훈 등 : 국내 유통 나무 젓가락 중 이산화황 이행량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3(3). 218-221. 2008.
  3. 문윤섭 : 울산 지역에서 2001년 이후 이산화황(SO2)의 고농도 사례분석과 저감 정책 방안의 검토. 한국환경과학회지 17(4), 423-437. 2008.
  4. 허성규, 차윤엽, 김유진 등 : 모 한방병원 한약재내 중금속과 이산화황 함량 및 잔류농약 분석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2(4), 948-953. 2008.
  5. 서창섭, 황대선, 이준경 등 : 전탕 전과 후의 중금속, 잔류농약 및 잔류이산화황의 농도변화. 대한본초학회지 23(4). 51-58. 2008.
  6. 생약의 잔류이산화황 검사기준 및 시험방법 :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8-3호.
  7. 오창환, 성동원, 육창수 등 : 건조방법에 따른 한약재 중 이산화황 잔류량 및 지표성분 변화. 생약학회지, 38(4). 299-304. 2007.
  8. 신영민, 김재이, 김우성 등 : 국내 유통중인 한약재에서 이산화황 잔류량에 대한 연구. 동의 생리병리학회지. 21(4). 1039-1044. 2007.
  9. 강길진, 오금순, 김형일 등 : 생약중의 천연유래 이산화황 함유량 및 그 출처. 한국식품과 학회지Vol.33. No.514-520. 2001.
  10. 김희연, 이영자, 홍기영 등 : 식품 중 천연 유래 이산화황함유량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32(3). 544-549. 2000.
  11. 김충모, 송병준, 나환식 : 생약재에 함유된 이산화황 함유량 조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9(3), 375-379. 2000.
  12. 최윤수, 김종국 : 한약재 가운데 $SO_2$로서의 잔류표백제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위생 학회지. 5(2).71-77. 1999.
  13. 정소영, 김일영, 김성단 등 : 산증류-HPLC법과 모니어 윌리암스변법을 이용한 절임류 중의 이산화황 함량 분석. 한국식품과학회지 35(6), 1028-1032.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