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안성천 유역의 토지이용별 비점오염원 원단위 산정

Estimating Unit Load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for Landuse Types in Anseongchun Watershed

  • 황병기 (상명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발행 : 2009.05.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안성천 유역을 대상으로 토지지용별로 산지, 농경지, 도시지역을 표본지역으로 선정하여 비점오염원 원단위를 산정하였다. 그리고 강우시 유출수의 유출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는 유량가중평균농도를 산정하고, 유출오염부하량을 산정하였다. 유출계수가 높게 나타났던 1차 강우시가 2차 강우시보다 오염물질의 유량가중평균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토지이용별 산정결과, 농지와 산지 같은 비도시지역보다 도시 지역에서 강우 유출시 높은 농도의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OD 유출부하량은 산지, 농지, 도시 지역에서 1차 강우 시 각각 1,395kg/d, 1,623kg/d, 2,268kg/d로, 2차 강우시 각각 503kg/d, 512kg/d, 898kg/d로 산정되었다. 강우량 및 강우강도에 따라 토지이용별로 유출부하가 크게 다르게 나타났다. 토지이용별 원단위는 BOD 기준으로 도시지역이 72.7kg/ha/yr로 농경지(6.5kg/ha/yr)보다 12배 이상, 산지(9.5kg/ha/yr)보다 8배 이상 높게 나타나 도시지역이 비도시지역보다 단위면적당 비점오염부하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computed the unit load of nonpoint source for the forest, agricultural, and urban representative region in Anseongchun watershed. In addition, Flow-weighted mean concentration (FWMC) that well represents runoff characteristics of storm water during rainfall, was calculated, and runoff pollutants loading was also examined. FWMCs of 1st rainfall, which runoff coefficient was high, had a tendency higher than those of 2nd rainfall. Based on landuse results, pollutant concentration of the non-urban such as forest and agricultural regions was higher than that of urban region. In case of BOD, runoff pollutants loading was calculated as 1,395, 1,623, 2,268kg/d in 1st rainfall for forest, agricultural, and urban regions, respectively, while runoff loading of 2nd rainfall was 503kg/d in forest), 512kg/d in agricultural, and 898kg/d in urban. By landuses, unit load of the urban as 72.7kg/ha/yr was 12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agricultural as 6.5kg/ha/yr, and 8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forest as 9.5kg/ha/yr.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환경연구원, 비점오염원 유출부하량 조사방법, 1994.
  2. 김성수, 김종석, 방기연, 권은미, 정욱진, “경안천 유역의 강우사상별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및 원단위 조사”, 대한환경공학회지, 24(11), pp.2019-2027, 2002.
  3. 김진호 외, “농촌유역의 강우사상별 농업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한국물환경학회지, 24(1), pp.69-77, 2008.
  4. 노성덕 외, “횡성호 유역의 비강우시 및 강우시 오염물질 유출특성”, 한국물환경학회지, 22(4), pp.695-705, 2006.
  5. 이현동 외, “강우시 유출부하량을 이용한 팔당상수원 유역의 비점오염원 원단위와 발생량 추정”, 한국물환경학회지, 17(3), pp.313-326, 2001.
  6. 이현동 외, “토지이용별 강우시 비점오염 물질의 유출특성”, 한국물환경학회지, 17(2), pp.147-156, 2006.
  7. 진영훈, 박성천, “영산강 유역 도시지역의 비점오염물질 배출측성에 관한 연구”, 한국물환경학회지, 22(4), pp.605-613, 2006.
  8. 최지용, 신은성, “농업지역 비점오염원 관리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KEI/1998/RE-09, 1998.
  9. 최지용, 신은성, “도시지역 비점오염원 관리방안 dsurn", 한국환경덩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KEI/1998/RE-17, 1997.
  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팔당상수원 비점오염원 유출특성과 최적관리방안”, 2000.
  11. 환경관리공단, “금강수계 비점오염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조사사업 최종보고서”, 2004.
  12. 환경부, 비점오염원 조사연구사업 보고서, 1995.
  13. 황병기, 유세진, 차영기 “안양천 유역의 강우 시 비점오염원에 따른 유출부하 특성에 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 10(3), pp.223-234, 2001.
  14. 한강수계관리위원회, "평택호 수질보존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 2006.
  15. CH2M HILL, Inc., "Nonpoint Source Impact Assessment", WPCF Research Foundation Report 90-5, 1990.
  16. Novotny, Nonpoint Pollution and Urban Storm Water Management, Technomic Publishing Co. Inc., Vol. 9,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