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Oriented Digital Maps for Supporting Decision Making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사용자 중심의 수치지도

  • 이동천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지구정보공학과) ;
  • 이용욱 (인덕대학 토목환경설계과) ;
  • 박기석 (공간정보기술 연구소)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Map is information media for human life. Recently, innovative map making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and most updated various data are provided to map users. In consequence, use of maps is rapidly increasing in various applications. One of the examples is car navigation map because navigation maps provide reliable and necessary information with convenient way. Therefore, maps are to be changed to user-oriented from map making-oriented design. The main goal of spatial data infrastructure is to allow various users to access the real world information easily for decision making. However, most of the digital maps are focused on map making aspect such as providing up-to-date data, acquisition of accurate data with state-of-the-art technology, and addition of layers (For example, ortho-images and DEMs). If map data processing tools are to be provided with the digital maps, users could utilize maps for decision making without professional software or knowledge. Therefor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scheme of the digital map data processing service with application examples.

지도는 인간생활에 필수적인 정보의 매체로서 최근에는 지도제작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뿐 아니라, 최신의 다양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여러 분야에서 지도의 활용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활용도가 높은 지도의 예는 차량항법 지도이다. 차량항법 지도의 사용이 많은 이유는 사용자가 원하는 신뢰성 높은 다양한 정보를 편리하게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지도는 제작 중심이 아닌 사용자 중심으로 변모해야 한다. 최근 국내외에서 구축되고 있는 공간 데이터 인프라의 궁극적인 목적은 사용자에게 필요한 실세계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수치지도의 구축은 최신의 데이터 제공을 위한 지도갱신 방안, 정확한 데이터 구축을 위한 첨단 측량기술 도입, 많은 데이터 제공을 위한 레이어(정사 영상, DEM 등) 추가와 같은 주로 제작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지도 사용자를 위한 지도 데이터 프로세싱 툴이 제공된다면, 전문적인 소프트웨어나 전문적 지식이 부족한 일반 사용자도 용이하게 원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다양한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지도 사용자를 위한 프로세싱 서비스에 관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6), 2차원에서 3차원으로의 지도학적차원의 변화모색 연구보고서,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 국토해양부 (2008), 차세대 수치지도 구축개발 제 1, 2차년도 연구보고서,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단
  3. 김정현, 이진형, 이동천 (2008), 공간데이터 인프라 구축사례 분석을 통한 차세대 수치지도 요구사항 도출, 한국측량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축량학회,pp. 301-306.
  4. 박지혜, 이임평, 최윤수, 김성준 (2005), 다중 데이터를 융합한 3차원 건물 모델링 자동화 방안, 한국측량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측량학회, pp. 259-266
  5. 오소정, 이임평, 김성준, 최경아 (2008). 3차원 소음지도 제작을 위한 도화원도와 수치지도를 이용한 도시공간모델 생성, 대한원격탐사학회지, 대한원격탐사학회, 제 24권 제 2호, pp. 179-188 https://doi.org/10.7780/kjrs.2008.24.2.179
  6. 이강원 (2004), 측량 및 GIS 관련 신기술 - 측량과 IT기술, 제3회 Geomatics Forum, 대한측량협회, pp.191-209
  7. 이동천, 염재홍 (2005),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수치지도의 건물 및 등고선 레이어 생성, 한국측량학회지,한국측량학회, 제 23권 제 3호, pp. 313-322
  8. 이동천, 유근홍, 손은정, 김호성, 문용현 (2006), 도화원도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수치지도 생성과 편집 시스템 개발, 한국측량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측량학회, pp. 359-367
  9. GeoConnections (2008), http://cgdi.gc.ca/en/aboutcgdi.html INSPIRE (2008), http://inspire.jrc.ec.europa.eu/
  10. Maling, D. (1989), Measurements from Maps: Principles and Methods of Cartometry, Pergamon Press, Oxford, p. 577
  11. Portele, C. (2007), INSPIRE-Harmonised Spatial Data for Europe, GeoWeb 2007, Vancouver, Canada
  12. Robinson, A., Sale, R., Morrison, J. and Muehrcke, P. (1984), Elements of Cartography, John Wieley & Sons, N.Y., pp. 3-403
  13. Thompson, M. (1981), Maps for America, U.S. Geological Survey, Washington, D.C. pp. 216-232
  14. USGS National Map (2006), http://nationalmap.go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