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Village Groves in Bijeon-dong, Pyeongtaek City, Gyeonggi-do Province, Korea

경기도 평택시 비전동 마을숲의 생태적 특성

  • Ahn, Young-Hee (Department of Applied Plant Science, Chung-Ang University) ;
  • Park, Eun-Jin (Department of Applied Plant Science, Chung-Ang University) ;
  • Choe, Chang-Yong (Department of Applied Plant Science, Chung-Ang University)
  • 안영희 (중앙대학교 식물응용과학과) ;
  • 박은진 (중앙대학교 식물응용과학과) ;
  • 최창용 (중앙대학교 식물응용과학과)
  • Published : 2009.05.31

Abstract

A village grove is the one fostered and protected for a district's traditional life near the vicinity of a ruderal village. This research is done to grasp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to use a basis data needed for its management and preservation as well as restoration project by examining the vegetation and flora targeting a village grove of the southern district of Gyeonggi-do which has been seriously damaged subsequent to a rapidly progressing city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survey, there appeared an outgrowth flora of Pteridophyta consisting of 69 families, 136 genera, 20 varieties, 3 forms, 170 species-totalling to 193 taxa. Urbanization index was revealed to 4.55% and naturalization rate 6.74%. In life-cycle pattern, perennials were found to show the highest distribution rate; in infiltration-multiplication strategies, human wave tactics type was found to be the highest 51%, consisting of 98 species, and naturalization rate also was revealed to be 6.74%. The vegetation unit was divided into a total of 11 patterns, such as a community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Pinus rigida community, Pinus densiflora-Castanea crenata community, Pinus rigida community, Pinus rigida-Castanea crenata community, Pinus rigida-Quercus acutissima community, Castanea crenata community, Castanea crenata-Quercus acutissima community,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Quercus acutissima-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and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is of a community type dominated by Quercus acutissima, in place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selected by natural succession.

Keywords

References

  1. 김학범, 1991, 한국의 마을 원림에 관한연구, 박사학위논문, 임학과, 고려대학교, 서울
  2. 최재웅, 김동엽, 2000, 마을숲 문화가 있는 농촌 마을숲의 구조 및 보전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18(3), 51-64
  3. 남연화, 윤영활, 2002, 시대적 배경을 통해 본 마을숲의 변천과 보존, 한국정원학회지, 26(2), 133-142
  4. 심우경, 1991, 한국 보호수의 상정적 가치와 보호대책, 한국정원학회지, 9, 91-104
  5. 김덕현, 1986, 전통촌락의 洞數에 관한 연구 -안동 내앞마을의 開湖松을 중심으로, 지리학논총, 13, 29-45
  6. 장동수, 감학범, 김정태, 1995, 전통 도시숲의 실용적 기능에 관한 연구(I),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0(4), 237-250
  7. 최재웅, 김동엽, 2003 , 농촌 문화 경관으로서 강릉시 구정리 마을숲의 경관 특성,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 국토계획'. 38(4), 171-l8l
  8. 강현경, 방광자, 이숭제, 김학범, 2004,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마을숲의 관리방안 - 경상도와 강원도의 주요 마을숲을 중심으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22(2), 63-74
  9. 남연화, 1994, 전통 마을숲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원주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조경학과, 강원대학교, 춘천
  10. 박재철, 1998, 전북 농어촌 지역 마을숲과 해안숲의 비교고찰, 한국조경학회지, 26(2), 133-142
  11. 김학범, 장동수, 이승제, 2003, 한국 마을숲 관리 개선방안연구, 한국정원학회지, 21(4), 90-99
  12. 박서호, 1994, 대전권 내 자연마을의 변화와 적응에 관한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5, 81
  13. 박재철, 1997, 농촌정주생활권내의 마을 비보숲의 실태에 관한 연구 -전북진안군지역을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6(3), 152-161
  14. 김종원, 엄정철, 2006, 전통 마을숲에 대한 식물사회학적고찰, 한국학논집, 33, 81-112
  15. 박재철, 1999, 진안지역 마을숲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5(1), 56-65
  16. Walter H., Harnickell E., Mueller-Dombois D., 1975, Climate diagram maps, Springer, New York, 36
  17. http://www.kma.go.kr
  18. 농촌진흥청, 2000, 토양화학분석법, 450
  19. 이창복, 1985, 대한식물도감, 서울, 향문사
  20. 이영노, 2002, 원색한국식물도감, 서울, 교학사
  21. 한국양치식물연구회, 2005. 한국양치식물도감, 서울 지오북
  22. 이우철, 1996, 한국식물명고, 서울, 아카데미서적
  23. 노재현, 1998, 공원녹지 내 귀화식물 출현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3), 66-77
  24. 안영희, 신경미, 2006, 제부도 갯벌식생과 소산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1), 52-69
  25. Braun-Bla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de der Vegetation skunde, 3rd ed, Springer, New york, 85pp
  26. 김정언, 1987, 분류법과 서열볍에 의한 내장산 삼림 식생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여천생태연구회, 1997, 생태학설험서,교문사‘ 35-37, 152-159
  28. 沼田員, 1962, 植物生態野外觀察 の 方法, 葉地書館, 東京, 396pp
  29. 김종원, 이율경, 2006, 식물사회학적 식생 조사와 평가방법, 월드사이언스, 서울
  30. 임양재, 전의식, 1980, 한반도의 귀화식불분포, 한국식물학회지, 23, 69-83
  31. 정홍락, 이호준, 이재석, 2000, 대구 인접지역에 대한 삼림식생의 군락 분류, 한국생태학회지, 23, 407-421
  32. 김원, 서정호, 이종운, 1983, 당지동 산화적지의 초기 식생천이, 한국생태학회지, 6, 237-242
  33. 송호경, 1985, 계룡산 삼림군집형과 그의 구조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환경 연구보고, 3, 19-58
  34. 이규송, 정연숙, 김석철, 신승숙, 노찬호, 박상덕,2004, 동해안 산불피해지에서 산불 후 경과 년 수에 따른 식생 구조의 발달, 한국생태학회지, 27, 99-106 https://doi.org/10.5141/JEFB.2004.27.2.099